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 인문/사회
· ISBN : 9791167140159
· 쪽수 : 248쪽
· 출판일 : 2021-12-24
목차
머리말
1장 세계를 어떻게 바라봐야 할까
1. 세상 속 나의 모습은?
2. 세계관이 왜 중요할까
3. 전통 사회의 세계관은 어땠을까
4. 종교는 세계관에 어떤 영향을 끼칠까
5. 현대 사회의 세계관이 혼란스러운 이유는?
6. 미래지향적 세계관은 왜 중요할까
• 생각해 볼 문제 •
2장 개인은 세계에서 어떻게 존재할까
1. 우리는 과연 도덕적 사회에서 살고 있을까
2. 비도덕적 세계란 무엇일까
3. 세계는 어떻게 움직이고 있을까
4. 왜 세계인의 안목을 갖춰야 할까
5. 이웃 간의 사랑과 협동이 필요한 이유는?
6. 가치판단은 세계를 어떻게 변화시킬까
• 생각해 볼 문제 •
3장 우리는 왜 자아실현을 할까
1. 나는 누구인가
2. 자아란 무엇일까
3. 청소년들은 사회를 어떤 눈으로 바라봐야 할까
4. 어떻게 자아실현을 해야 할까
5. 십 대들에게 비판 정신이 필요한 이유는?
6. 주체성을 길러야 하는 이유
• 생각해 볼 문제 •
4장 세계는 평평할까
1. 집안 vs 집안
2. 사람을 계급으로 나눈다고?
3. 가진 자와 가지지 못한 자
4. 직업에 귀천이 있다고?
5. 자유와 평등은 어떻게 실현될까
6. 직업에도 휴머니즘이 필요하다
• 생각해 볼 문제 •
5장 행복한 삶이란?
1. 나 혼자 누리는 쾌락이 행복일까
2. 감정과 정서는 어떻게 다를까
3. 최대다수의 최대행복
4. 젊을 때 고생은 돈 주고도 못 산다?
5. 행복에 대한 철학자들의 논쟁
6. 개인의 행복과 사회의 행복
• 생각해 볼 문제 •
6장 정의로운 사회와 행복
1. 정의의 다양한 얼굴들
2. 자유와 권리와 의무는 어떤 관계가 있을까
3. 절차민주주의와 사회 정의
4. 왜 우리에게는 정의 개념이 부족할까
5. 자유민주주의와 공정함
6. 배움과 교육, 민주주의의 필수 조건
• 생각해 볼 문제 •
7장 삶과 죽음을 어떻게 바라보아야 할까
1. 생명의 고귀함을 알아야 하는 이유
2. 인생의 발달 단계는 어떻게 나뉠까
3. 생명의 윤리적 가치는 어디까지 허용되는가
4. 육체적 건강과 정신적 건강
5. 삶과 죽음은 하나다
• 생각해 볼 문제 •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그렇다면 대학 입시 준비에 몰두하고 있는 것이 지금 세상 속에서 살아가는 네 모습이라고 해도 될까?”
“그것은 일부분인 것 같아요. 한 인간에게도 여러 가지 면이 있잖아요.”
“바로 그거야. 철이는 이제 한 사람의 청년이 된 자기 자신을 바라보고 생각하는 자신의 모습을 인식하고 있는 것 같구나. 그렇다면 방금 여러 가지 면이 있다고 했는데 무슨 의미인지 말해 볼 수 있겠니?”
“제가 지금 대학 입시 준비에 몰두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에요. 하지만 무조건 명문대학에 붙고 보자는 식으로 준비하지는 않아요. 저는 대학에서 경영학을 전공한 후 취직해서 경력을 쌓은 다음에 회사를 경영하면서 문화 재단을 설립해 우리나라의 문화 수준을 높이는데 평생을 바칠 생각이에요. 그래서 지금 입시 준비를 하면서도 틈틈이 그림도 그리고 문화 관련 책들도 읽고 있어요.
세계 속의 제 모습이라면……. 세계 속에서 세계를 더 깊게 그리고 넓게 바라보면서 우선 제가 속한 세계, 곧 사회를 개선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고 있는 것이 바로 제 모습이라고 할까요?”
- <1장 세계를 어떻게 바라봐야 할까> 중에서
현대 사회는 매우 복잡해졌고 지구촌은 시간과 공간 면에서 과거 어느 때보다도 좁아지고 가까워졌다. 세계는 날이 갈수록 정치, 경제, 과학, 문화, 사회적으로 많은 문제를 짊어지고 있으며 전쟁, 공해, 식량부족, 인구 증가 등으로 신음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세계인의 안목을 갖춰야만 한다. 가능하면 청소년들을 위한 국제교류 프로그램을 활발하게 추진해야 한다. 또한 청소년들도 자발적으로 글로벌 감각을 키우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세계에는 더 이상 개인이 아닌 세계인이 필요하다.
- <2장 개인은 세계에서 어떻게 존재할까> 중에서
신체에 비해 아직 정신이 성숙하지 못한 청소년기는 심한 갈등을 겪는다. 청소년들은 자신의 정체를 확립하지 못했기 때문에 자신의 올바른 모습을 알기 위해서 ‘나는 누구인가?’라는 물음을 던지면서 번민의 늪에서 절규한다. 고뇌와 번민의 늪에서 용감하게 뛰쳐나오면서 ‘나는 누구인가’에 대한 답을 스스로 마련하기 시작할 때 청소년 들은 몸과 마음이 건강한 성인으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 <3장 우리는 왜 자아실현을 할까>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