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 인문/사회
· ISBN : 9791167140227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22-01-20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글
^^1장 노동과 인권 이야기^^
1. 인간은 왜 노동을 할까?
2. 노동은 어떻게 변해왔을까?
3. 학교 선생님도 노동자일까?
4. 노동자들은 왜 거리로 나갔을까?
5. 우리 주변의 사회 현상을 노동인권 관점으로 보면?
영화로 보는 노동인권 이야기: <내일을 위한 시간>
더 나은 노동을 위한 생각 더하기
^^2장 청소년과 노동, 그리고 인권^^
1. 아동 노동은 왜 사라지지 않을까?
2. 청소년 노동은 어떻게 보아야 할까?
3. 청소년이 일하기 전에 알아야 할 것은?
4. 우리나라는 아동·청소년 노동을 어떻게 보호할까?
5. 청소년 노동인권을 법적으로 보장받으려면?
6. 현장실습은 노동일까 아닐까?
영화로 보는 노동인권 이야기: <부력>
더 나은 노동을 위한 생각 더하기
^^3장 우리 사회와 노동인권 문제
1. 감정노동부터 갑질까지, 노동을 힘들게 하는 우리 사회의 모순들
2. 「근로기준법」은 제대로 역할을 해왔을까?
3. 쉼과 일상이 가능한 노동은 불가능할까?
4. 임금, 존엄한 삶을 위해 어느 정도가 적정할까?
5. 안전하게 노동한다는 것은?
영화로 보는 노동인권 이야기: <나는 나를 해고하지 않는다>
더 나은 노동을 위한 생각 더하기
^^4장 행복한 노동을 위한 연대^^
1. 우리: 노동에 대한 편견을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
2. 사회: 노동3권을 보장하는 사회가 되려면?
3. 기업: 노동하기 좋은 환경은 어떻게 만들어야 할까?
4. 정부: 노동인권을 위해 국가는 무엇을 해야 할까?
5. 다시, 청소년: 미래 세대를 위한 지속 가능한 노동 의제들
영화로 보는 노동인권 이야기: <카트>
더 나은 노동을 위한 생각 더하기
나오는 글
부록 꼭 알아둬야 할 청소년 노동 관련 서류
미주
리뷰
책속에서
“야외에서 일하는 백화점 주차요원이 아름답게 보여야 한다는 이유로 얇은 코트를 입고 추위에 떨면서 일하게 하는 것은 문제야.” “내가 주문을 하면서 배달을 재촉하면 배달 노동자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어서 문제야.” “상품 생산량을 높이기 위해 휴가나 쉼 없이 일주일에 60시간 이상을 일하도록 하는 회사는 문제가 있어.” “밤에 잠을 자지 않는 것이 발암 원인이 될 수 있다고 하는데, 새벽 배송 상품을 사는 것이 맞는지 고민하게 되네.” “엘리베이터가 없는 5층에 사는데 배달이 어려울 정도의 상품을 한꺼번에 구매하는 것은 하지 않아야 해.” “노조가 파업을 하는데 그들의 정당한 권리인데도 이를 문제라고 하면서 빨리 해결해야 한다는 뉴스를 내보는 것은 문제야.”
이처럼 노동인권이라는 관점을 가지고 보면 노동하는 인간의 고통과 그들이 인간으로서 존중받지 못하는 현실을 파악할 수 있다. 즉, 그 일을 하는 사람들이 노동 중에 어떤 어려움을 겪는지, 그 어려움이 인간으로서 존엄성을 누리고 살아가는 것을 어렵게 하지는 않는지, 그 어려움을 알면서도 소비자의 편리함이나 기업의 이윤을 위해서 눈 감고 있는 것은 아닌지, 노동을 하는 사람의 고통을 해결하기 위한 법이나 제도는 제대로 만들어져서 제대로 시행되는지 등을 고려하는 인식을 가질 수 있다.
- <1장 노동과 인권 이야기> 중에서
청소년을 대상으로 임시적이거나 일시적인 일자리 광고를 낼 때 ‘청소년 알바 구함’이라고 한다. 문제는 ‘청소년 알바’라는 표현인데 이와 관련하여 청소년은 두 가지 측면에서 사회적 약자의 위치에 놓이게 된다.
하나는 성인 노동자와 비교하여 생업에 필수적인 노동을 하는 사람이 아니라는 생각을 하게 한다는 점이고, 다른 하나는 연속적이고 장기적인 일이 아니라 임시적이고 단기적인 일을 하는 사람이라는 생각을 하게 한다는 점이다. 이런 두 가지 생각은 청소년 노동에 대하여 사회적으로 중요하게 인식해야 한다는 점을 간과하게 만드는 요소가 될 수 있다.
즉, 잠시 하는 일 정도, 용돈벌이 정도, 정책적으로 크게 신경을 쓰지 않아도 되는 일 정도라고 청소년 노동을 이해하게 만든다. 이렇게 되면 일을 하던 청소년이 일자리를 잃게 되어도 크게 문제 삼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 <2장 청소년과 노동, 그리고 인권> 중에서
손님은 왕이 아니다. 고용주도 왕이 아니다. 민주주의 사회인 오늘날 왕은 존재하지 않으며 존재해서도 안 된다. 어쩌면 우리 대부분이 노동자로 살아가고 있다는 사실을 잊고 있는 것은 아닐까? 아니면 우리 사회에서 만연된 갑질로 인해 을의 위치에서 받은 갑질을 또 다른 곳에서 누군가의 갑이 되어 풀고 있는 것은 아닐까? 서로에게 감정노동을 요구하고 갑질하면서 모두의 인간 존엄성을 훼손하는 것은 아닌지 걱정스럽다.
- <3장 우리 사회와 노동인권 문제>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