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蘇氏演義 譯註 刊誤 譯註 資暇集 譯註 소씨연의 역주 간오 역주 자가집 역주

蘇氏演義 譯註 刊誤 譯註 資暇集 譯註 소씨연의 역주 간오 역주 자가집 역주

김만원 (옮긴이)
역락
2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6,600원 -5% 0원
1,400원
25,2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蘇氏演義 譯註 刊誤 譯註 資暇集 譯註 소씨연의 역주 간오 역주 자가집 역주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蘇氏演義 譯註 刊誤 譯註 資暇集 譯註 소씨연의 역주 간오 역주 자가집 역주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중어중문학
· ISBN : 9791167421951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21-08-31

책 소개

≪소씨연의蘇氏演義≫는 당나라 때 사람 소악蘇鶚이, ≪간오刊誤≫는 이부李涪가, ≪자가집資暇集≫은 이광예李匡乂가 중국 고대의 여러 가지 제도와 문물에 대해 고찰하면서, 자신들 나름대로 습득한 지식과 그에 관한 견해를 덧붙여 완성한 저술들이다.

목차

서문
일러두기
참고문헌
부록 ≪蘇氏演義≫ 四庫全書提要
≪刊誤≫ 四庫全書提要
≪資暇集≫ 四庫全書提要

≪蘇氏演義≫

蘇氏演義卷上
蘇氏演義卷下

≪刊誤≫

刊誤卷上
◇序(서문)
◇二都不並建(두 도읍을 동시에 건설하지 않다)
◇春秋仲月巡陵, 不合擊樹(봄 2월과 가을 8월에 황릉을 순찰할 때는 나무를 쳐서 안 된다)
◇禮儀使(예의사)
◇開府儀同三司(개부의동삼사)
◇宰相不合受節察防禦團練等使櫜鞬拜禮(재상은 의당 절도사ㆍ관찰사ㆍ방어사ㆍ단련사 등의
사신이 무장을 하고 절을 올리는 예법을 받아서는 안 된다)
◇副大使(부대사)
◇都都統(도도통)
◇上事拜廳(업무를 보고할 때 청사를 향해 절을 하다)
◇壓角(압각)
◇曾參不列四科(증참이 사과에 속하지 않다)
◇出土牛(토우를 내놓다)
◇侍中僕射官號(시중과 복야라는 관직명)
◇士大夫立私廟, 不合奏請(사대부는 개인 사당을 세울 때 임금에게 주청해서는 안 된다) 177
◇九寺皆爲棘卿(구경은 모두 극경이다)
◇京尹不合避御史(경조윤은 어사를 피해서 안 된다)
◇火(불)
◇座主當門生拜禮(시험감독관이 문하생의 배례를 받다)
◇非驗(진짜 현실이 아니다)

刊誤卷下
◇封爵(봉작)
◇祈雨(기우제)
◇發救兵(구원병을 징발하다)
◇進獻奇零(우수리를 바치다)
◇起居(기거)
◇佳禮(가례)
◇鵞(거위)
◇拜客(하객에게 절하다)
◇拜四(네 번 절을 하다)
◇婦謁姑, 不宜表以絹囊(며느리가 시어머니를 배알할 때는 비단주머니로 표현해서 안 된다)
◇樂論(악론)
◇釋怪(괴이한 주장에 대해 해석하다)
◇昭穆(소목)
◇洛隨(‘洛’자와 ‘隨’자)
◇僅甥傍繆廐薦(‘僅’ ‘甥’ ‘傍’ ‘繆’ ‘廐’ ‘薦’)
◇奉陵(황릉을 관리하다)
◇宰相合與百官抗禮(재상이라도 백관과 동등한 예법을 취해야 한다)
◇切韻(절운)
◇祭物先(제물을 우선시하다)
◇弔者跪(조문하는 이는 무릎을 꿇어야 한다)
◇短啓短疏(짧은 서신이나 상소문)
◇七曜曆(칠요력)
◇廐焚(마구간이 불타다)
◇臈日非節(납일은 절기가 아니다)
◇繕完葺牆(‘지붕을 수선하고 담장을 보수하다’라고 해야 한다)
◇論醫(의술에 대해 논하다)
◇舅姑服(시부모를 위한 상복)
◇杖周議(상장을 짚고 1년상을 치르는 것에 대해 논의하다)
◇祭節拜戟(부절에게 제사를 지내고 창에게 절을 하다)
◇客卿(객경)
◇參謀(참모)

≪資暇集≫

資暇集卷上
◇車馬有行色(거마에 행색이 있다)
◇不拜單于(흉노족 왕에게 절하지 않다)
◇行李(사신)
◇祿里(녹리선생)
◇客散(손님이 흩어지다)
◇蟲霜旱潦(충상한료)
◇生子紿(자식을 낳고서 거짓말을 하다)
◇戱源驛(희원역)
◇梅槐(매회나무)
◇藥欄(약란)
◇月令(월령)
◇晝寢(낮잠을 자다)
◇問馬(말에 대해 묻다)
◇字辨(문자의 변별)
◇非五臣(오신을 비판하다)
◇杜度(두도)
◇初學記對(≪초학기≫의 대구)
◇七步(칠보)
◇渭陽(외숙부의 별칭)
◇方寸亂(마음이 심란하다)
◇綠竹漪漪(푸른 대나무가 하늘거리다)
◇萬幾(만기)
◇請長纓(긴 갓끈을 요청하다)
◇酇侯(찬후)
◇栢臺烏(어사대의 까마귀)
◇除授(제수와 배수)
◇徧謝(여러 사람에게 일일이 돌아가며 사례를 올리다)

資暇集卷中
◇甘羅(감나)
◇押牙(압아)
◇揚州(양주)
◇星貨(상점)
◇合醬(장을 담그다)
◇座前(좌전)
◇起居(기거)
◇不僅(불근)
◇彭原公(팽원공)
◇朝祥(아침에 상례를 지내다)
◇辰日(진일)
◇成服(성복)
◇出城儀(성을 나서서 치르는 제례)
◇忌日(기일)
◇豹直(표범처럼 조용히 숙직하다)
◇引從(길을 인도하며 따르다)
◇拜禮(배례)
◇卜則嫗(점술은 노파를 본받으면 그만이다)
◇急急如律令(율령처럼 급박하다)
◇永樂冢(영락방의 무덤)
◇蜀馬(촉마)
◇蹙融(축융)
◇錢戱(전희)
◇寓直(우직)
◇端午(단오)
◇俗字(속자)
◇俗譚(세간에서 쓰는 말)
◇挽歌(만가)
◇上馬(말을 탈 때의 예법)

資暇集卷下
◇非麻胡(마호는 틀린 말이다)
◇不反剉(마초를 쏟지 않다)
◇三臺(삼대)
◇借書(책을 빌리다)
◇卷白波(권백파)
◇龍鍾(용종)
◇啑咒(체주)
◇阿茶(아차)
◇下俚(하리)
◇揚聲(양성)
◇屋頭(옥두)
◇車輊(거지)
◇竹笪(죽달)
◇驢爲衛(나귀를 ‘위衛’라고 하다)
◇奴爲邦(노비를 ‘방邦’이라고 하다)
◇措大(조대)
◇抱木(포목)
◇薛陶牋(설도전)
◇稠桑硯(조상연)
◇石鏊餠(석오병)
◇李環餳(이환당)
◇風爐子(풍로자)
◇相思子(상사자)
◇甘草(감초)
◇投子(투자)
◇熊白㗖(곰의 등고기를 먹다)
◇生肝鏤㔌(생간누추)
◇畢羅(필나)
◇阮咸(완함)
◇琴甲(금갑)
◇茶托子(차탁자)
◇拆封刀子(탁봉도자)
◇書題籤(서신을 보낼 때 쪽지로 표기하다)
◇門狀(문장)
◇藥忌(약처방에서의 금기사항)
◇席帽(석모)
◇被袋(피대)
◇注子偏提(주전자와 편제)
◇承床(승상)

저자소개

김만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립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 학사 / 석사 / 박사 국립대만대학교 중국문학연구소 방문학자 국립강릉대학교 인문학연구소장 국립강릉원주대학교 인문대학장 겸 교육대학원장 현 국립강릉원주대학교 인문대학 중어중문학과 교수 ≪山堂肆考 譯註≫(20책), 도서출판 역락(2014) ≪事物紀原 譯註≫(2책), 도서출판 역락(2015) ≪氏族大全 譯註≫(4책), 도서출판 역락(2016) ≪四庫全書簡明目錄 譯註≫(4책), 도서출판 역락(2017) ≪白虎通義 譯註≫, 도서출판 역락(2018) ≪獨斷ㆍ古今注ㆍ中華古今注 譯註≫, 도서출판 역락(2019) ≪金樓子 譯註≫, 도서출판 역락(2020) ≪蘇氏演義ㆍ刊誤ㆍ資暇集 譯註≫, 도서출판 역락(2021) ≪고대 중국의 이해≫, 도서출판 역락(2022) ≪死不休-두보의 삶과 문학≫, 공저, 서울대학교출판부(2012) ≪두보 고체시 명편≫, 공역,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2015) ≪두보 근체시 명편≫, 공역,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2018)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