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ISBN : 9791167427397
· 쪽수 : 568쪽
· 출판일 : 2024-05-10
책 소개
목차
1부 고전문학
Ⅰ. 고전시가
향가의 세계 _서철원
속요의 정서 _서철원
시조 문학의 흐름 1 _조해숙
−발생기와 발전기의 시조
시조 문학의 흐름 2 _조해숙
−변환기의 시조
가사의 특성과 변모 _조해숙
근대전환기 전통 시가 _조해숙
Ⅱ. 한문학
삼국과 고려의 한시 _이종묵
조선 전기의 한시 _이종묵
조선 후기의 한시 _이종묵
한문산문 1 _김대중
−거주 공간에 부친 기문
한문산문 2 _김대중
−죽음을 가정하여 ‘나’를 돌아보다
한문산문 3 _김대중
−인물군상의 탐색
Ⅲ. 고전소설
삼국과 고려의 서사문학 _정길수
조선의 전기소설 _정길수
조선의 장편소설 _정길수
조선의 야담 _김지윤
영웅소설 _채윤미
가문소설 _유인선
소설의 생산과 유통 _정병설
Ⅳ. 구비문학
한국의 창세신화 _조현설
한국의 건국신화 _조현설
한국의 민담 _나수호
한국의 전설 _나수호
구비문학의 자료와 연구방법 _나수호
Ⅴ. 한국 고전문학과 문화교류
삼국유사와 한국문화 _서철원
삼국유사와 문화콘텐츠의 기반 _서철원
한국 신화와 유라시아 신화 _조현설
한국 문인과 중국 문인의 교류 _이종묵
중국과 일본에의 시선 _김대중
−『해유록』과 『열하일기』
동아시아 여성의 자기 탐색과 한글 산문 _조혜진
2부 현대문학
Ⅰ. 현대시
한국 현대시의 원천이 되는 토착적 미학 _홍승진
방정환과 윤석중의 ‘어린이주의’와 동시 _홍승진
1930년대 한국시 속 언어 실험의 가치 _홍승진
일제 말기의 시적 저항은 ‘무엇’이 아니라 ‘어떻게’이다 _홍승진
시와 혁명이 한 몸을 이루려 한 1960년대 _홍승진
Ⅱ. 현대소설
신소설과 근대 동아시아의 사상 _김종욱
한국문학의 근대 이행과 이광수 _방민호
일제강점기 페미니즘 문학의 두 양상 _손유경
1920년대 소설에 나타난 계급화한 고통과 동정 _손유경
1930년대 모더니즘 문학과 새로운 ‘현실’의 발견 _김종욱
일제말기 ‘사소설’의 의미 _방민호
한국 전후의 이데올로기 문제와 아프레게르 _나보령
월남문학의 세 유형 _방민호
산업화 시대 성장서사의 의미 _손유경
노년소설과 여성 _손유경
1990년대 한국소설의 마이러니티와 그 양상들 _노태훈
Ⅲ. 극/영화
신연극의 전개 _양승국
프롤레타리아 연극운동의 전개 _양승국
1930년대 극예술연구회의 신극운동 _양승국
한국영화 100년의 역사 _양승국
세계로 나아가는 한국영화 _양승국
Ⅳ. 비평
리얼리즘 문학담론과 발자크 _김종욱
김기림 비평의 문명비평론적 성격 _방민호
전후 문학 비평과 프랑스 실존주의 _김종욱
1970년대 민족문학론과 제삼세계 문학론의 위상 _김종욱
Ⅴ. 한국문학의 세계사적 교류
근대 동아시아 문화권의 재편과 번역 _김종욱
상하이 임시정부와 한국문학 _김종욱
귀환의 여로와 식민주의 의식의 극복 _김종욱
국가의 형성과 재일 조선인 디아스포라 _김종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