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종교의 현상학

종교의 현상학

리하르트 셰플러 (지은이), 이종진 (옮긴이)
하우
1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5,300원 -10% 0원
850원
14,4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종교의 현상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종교의 현상학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종교일반 > 종교철학
· ISBN : 9791167481115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23-09-15

책 소개

철학의 종교적인 자기이해와 종교의 철학적인 이해 사이의 그와 같은 연결은 우선은 종교적인 언사의 특수한 형태, 곧 시간에-앞선 근원들에 대한 이야기(Protologia)를 철학적인 변증론의 모범으로서 파악하게 해주며, 이 변증론은 경험세계와 그 경험세계를 묘사하는 개념들의 모순성을 세계와 철학적 사유의 역사 안에서의 진척시키는 계기로서 이해시킨다.

목차

서언

1장. 종교철학의 방법들

1. 종교철학의 첫 번째 방법적 단초는, 철학이 종교로부터 유래하였다는 관찰에 의거한다.
2. 종교철학의 두 번째 방법적 단초는, 종교들이 철학 역시 제기하는 동일한 물음들에 대답하는 곳에서도 철학적 논변 안에서 발생하는 것과는 다른 방식으로 말한다는 관찰에 의거한다.
3. 세 번째 방법적 단초: 철학적 신학을 토대로 한 종교철학과 “종교신앙”의 해석수단으로서의 “순수한 이성신앙”
4. 네 번째 방법적 단초: 선험적 신학을 토대로 한 종교철학
5. 다섯 번째 방법적 단초: 현상학을 토대로 한 종교철학
6. 여섯 번째 방법적 단초: 종교철학 안에서의 언어적 전환

2장. 종교적 언어 - 형태, 기능, 의미

1. 주제선정에 대한 예비적인 소견
2. 주도적인 관점들
A 기도의 언어형식들
1. “이름을 부름Acclamatio Nominis”- 화용론, 문법, 의미론
2. 기도와 송가 안에서의 신(神)이름의 사용
3. 종교적 주관성- 신약성서의 송가들의 보기에서
4. 종교적 설화
B 외적인 말Verbum externum과 내적인 말Verbum internum 그리고 종교적인 진술문들의 기능
1. 일반적인 언어철학으로부터의 규칙들
2. 특수하게: “경청을 요구하는” 종교적 진술들
3. 종교적 진술들과 그것들의 진리주장
4. 문제: “구원에 중요한 의미가 있는” 진리들의 구분표지
C 경쟁적인 진리주장들 사이에서 결정의 필연성과 가능성
1. 종교사적인 실상
2. 경쟁하는 진리주장들에 대한 결정의 척도들
D 신학의 논증언어: “무엇이 논증으로서 유효한가?”
1. 사람들이 증거로 끌어대는 것은 무엇인가?
논증법정들에 대한 보기들
2. 증명-의도
3. 교조주의와 회의주의 저편에 있는 종교의 비판적인 자기이해
4. 그 주제는 종교철학의 교훈적인 한계경우를 지시한다
5. 기술적인 그리고 규범적인 과제들
6. 논증영역들 (=신학적 분과들)
E 충돌 속의 종교들 그리고 서로에게서 배우는 가능성: 종교들의 대화의 언어
1. 종교 간의 배움의 종교 내부적인 전제
2. 외래 종교들로부터의 텍스트와 의례들 - 자신의 전승의 재독을 위한 계기들
F 문제제기들과 결과들 – 혹은: 그것이 우리가 알고자 했던 것인가?
종교적인 호명과 송가적인 텍스트들의 원문보기들

3장 종교적인 세계이해의 표현으로서의 예배

1. 이해의 어려움들
2. 문제제기와 방법
A 예배적인 행위의 유형들
예비적인 소견: 의례와 의식
1. 길들-의식들: 순례, 영접의 의례들, 성체거동 행렬들
2. 제의들, 가면들 그리고 그림들에 대하여
3. “근원들로부터의 갱신”의 의례들: 신년축제, 즉위축제, 도시창립 축제
4. “신적인 생명에 참여함”의 의식들: 죽임의 의식들, 희생제물, 성찬례
5. 입교의례들과 정화의례들
B 예배를 통해서 해석된 세계의 “기초건립계획”
1. 세계의 이념
2. 공간과 시간의 직관형식들
3. 예배 안에서의 세계-주석의 범주들

4장 종교적인 전통들과 제도들 - 과제들과 그들의 평가의 척도들

A 언어 - 전승과 그 산물의 가장 중요한 매개체
1. 언어의 보편적인 특징들
2. “인간의 언어구조의 상이성들”
3. 전통들과 제도들의 이해를 위한 결론
B 종교적인 전통들과 제도들의 특수한 과제들과 적법성의 척도들
1. 종교적 전승의 언어적 형식들 그리고 말씀에 대한 봉사의 제도화된 방식들
2. 전승의 언어적 형식들과 비-언어적 형식들의 결합.
탁월한 보기: 예배
3. 종교적인 법규
C 유대교와 그리스도교의 전승 및 그 제도들의 특성들
1. 이스라엘의 전승 175
2. 유대교, 혹은: 자기 전승의 위기들에 처한 이스라엘 183
3. 그리스도교 전승

5장 ‘종교들의 신들’, ‘철학자들의 신’ 그리고 ‘성서의 신’

1. “신”, 종교철학의 주제?
2. 신에 대해서 말하는 세 방식들
도입: 신은 어떻게 종교 안으로 들어오는가?
1. 종교적인 언사와 행위 일반
2. 어떤 전제하에서 “누멘”은 “인격적인 신”으로서 이해되는가?
1부: 종교들의 신들
A 종교들의 신들, 그들의 차이 그리고 “성현의 강세hierophantische Akzent”
1. 다신교 발생의 근거로서의 각각의 개별적인 종교적 경험의 절대성
2. 길들의 다양성으로서의 종교들의 다양성
3. 결정의 척도: “성현의 강세”는 어떤 경험영역 위에 놓이는가?
4. 종교사 안에서 성현의 강세의 전이와 “종교비판적인 종교들”의 발생
B “종교비판적인 종교들”
1. 전제: 종교의 내적인 계기들로서의 자기비판과 혁신
2. 형성되던 유럽의 종교사 안에서의 위기들
2부: 철학자들의 신
A 고전적인 고대의 철학 안에서의 “신”
1. 철학의 발생은 종교사의 비판적인 국면 안에 놓인다
2. 신화적인 “시원론”에서 논리적-존재론적인 “원리론”에로의 전회
3. 종교의 자기이해를 위해서 생성되던 철학이 갖는 의미
B 근대 초기의 “철학자들의 신”
1. 근대의 철학적 신학 발생의 동기: 천문학의 “코페르니쿠스적 전회”
2. 데카르트는 어떻게 신에 대해서 말하는가?
3. 스피노자는 어떻게 신에 대해서 말하는가?
4. 라이프니츠는 어떻게 신에 대해서 말하는가?
5. 칸트는 어떻게 신에 대해서 말하는가?
6. 이중의 의미에서 “칸트에 따른” 신에 대한 언사: “칸트의 의견에 따라서” 그리고 ”칸트 이후의 시대에”
3부: 성서의 신
A 역사의 주인으로서의 성서의 신 - 성서의 전유물
1. “태초에”가 아닌, 시간 한가운데서의 시작
2. 성서의 신은 하늘과 땅에 대한 지배권을 자유로운 선택의 행위들 안에서 행사하는 신이다
3. 시간 한가운데서의 시작은 모든 시간에 앞선 시작의 보도를 통한 해석을 요구한다
4. 성서의 신: 무상의 은총 안에서 죄인들에게 회심의 길을 열어주는 역사의 신
5. 그것은 철학자들이 말하는 그 신인가?
공통점들과 차이들
B 시간 한가운데서의 “시간들의 충만”
- 그리스도교의 전유물
1. “충만” - 그리스도교 선포의 핵심어
2. 이 “충만”의 현상형태는 십자가상에서의 아들의 “비움”이다
3. 그리스도교 공동체는 예수 그리스도의 아버지로서의 신에 대해서 어떻게 말하는가?
4. 그것은 철학자들 또한 그에 대해서 말할 수 있는 그 신인가?
C 십자가의 어리석음에 대한 보도 - 신에 대한 모든
철학적 언사의 끝인가 혹은 철학에 대한 새로운 도전인가?
1. 신의 “어리석음”과 “약함”에 대한 보도
- 철학자에게도 시사하는 것이 많음
2. 철학적으로 습득된 신의 “어리석음”과 “약함”에 대한 보도와 철학의 새로운 과제
D 신의 구원작용과 그의 피조물들의 자유
전망: 계속 발전된 요청이론 그리고 종교와 현세적인 이성 간의 대화의 새로운 방식
- 강령형식의 프로그램

결론
참고 문헌

저자소개

리하르트 셰플러 (지은이)    정보 더보기
뮌헨에서 출생하였다. 뮌헨의 예수회철학대학에서 철학공부를 시작하였다. 독일 튀빙겐 대학에서 야스퍼스Jaspers철학에 대한 연구로 철학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이 밖에도 심리학과 신학을 연구하였고, 역사철학의 주제로 교수자격취득논문(Habilitation)을 썼다. 이후 보훔Bochum 대학에서 은퇴할 때까지 철학교수로 재직하였다. 성서 전반에도 신학자들 못지않게 해박한 지식을 가지고 있으며, 그런 이유로 기초신학을 연구하는 사람들에게도 큰 관심이 되고 있다. 이미 두 개의 명예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명예신학박사, 명예철학박사). 셰플러의 주요 연구 분야는 칸트철학, 역사철학, 종교철학, 철학과 신학의 경계문제 등이다. 연구업적은 40여권에 달하는 저서를 포함하여 도합 300여 편에 이르는 논문과 책을 저술하였다. 한국에 소개된 저서들로는 『종교철학』(1판: 김정희 옮김. 1995), 『역사철학』(5판: 김진 옮김. 1997), 『기도언어』(김진태 옮김. 2011) 등 세 권의 책들이 있다. 그의 주저들로는, 『현실과의 대화로서의 경험』(Erfahrung als Dialog mit der Wirklichkeit, Munchen 1995)과 『신학을 위한 철학적 사유의 훈련』(Philosophische Einubung in die Theologie, 3 Bande. Munchen 2004)을 들 수 있다.
펼치기
이종진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철학과를 졸업하고, 인스브룩 대학교에서 신학석사, 독일 뮌헨의 예수회철학대학에서 철학박사학위(2002년)를 취득하였다. 현재 서강대학교 전인교육원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 분야는 철학적 신론과 종교철학, 인식론이다. 저서로는 『초월의식과 실천이성』(Transzendenzbewusstsein und praktische Vernunft.Richard Schaeffl ers Hermeneutik der religiosen Erfahrung, 독일 Kohlhammer 출판사, 2004), 역서로는 『철학적 신학』(요셉슈미트 지음, 서강대학교출판부, 2006), 『릭켄의 종교철학』(프리도 릭켄 지음, 도서출판 하우, 2010. 2011년도 대한민국 학술원 선정 우수학술도서), 『신에 대해서 철학적으로 말하기』(리하르트 셰플러 지음, 도서출판 하우, 2016)가 있다. 논문으로는 “Religiose Erfahrung oder religiose Interpretation?”, 「리하르트 셰플러의 종교현상학」, 「종교언어의 유의미성: 프리도 릭켄의 일상언어적 분석에 대한 고찰」, 「셰플러에 의한 ‘우주론적 신 증명’의 비판적 재해석」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