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사진 > 사진 실기
· ISBN : 9791167526526
· 쪽수 : 302쪽
· 출판일 : 2025-07-23
책 소개
목차
추천사│머리말
01. 사진이란 무엇인가?
■ 사진은
빛의 예술 ┃ 빛과 그림자의 예술 ┃ 생각을 담는 그릇 ┃ 문화의 전달 매체 ┃ 역사의 기록 ┃ 증거자료 ┃ 삶의 흔적(사진은 이야기를 찍는 것!) ┃ 학습 매체(도감, 삽화 등) ┃ 광고 매체 ┃ 소통의 도구
02. 촬영 장비와 기술
■ 사진기 종류와 쓰임
휴대전화 사진기 ┃ 다양한 사진기 ┃ 사진기의 원리 상이 맺히는 과정
■ 렌즈
렌즈의 이해와 화각 ┃ 렌즈의 종류와 쓰임 ┃ 렌즈 차이와 사진 비교
■ 촬영 보조 장비
보조 장비1 ┃ 보조 장비2 ┃ 보조 장비3 ┃ 필터 효과 편광 필터 ┃ 필터 효과 ND 필터
03. 노출과 피사계 심도
■ 노출
노출이란? ┃ 적정 노출
■ 심도
피사계 심도 ┃ 렌즈 종류에 따른 피사계 심도
04. 빛의 방향과 적용
■ 빛의 종류
빛의 방향과 빛의 종류
05. 촬영 각과 적용
■ 촬영 각
수평 각 ┃ 앙각 ┃ 부감(=조감)
06. 사진 미학: 미의 요소
■ 미의 요소
미의 요소 1-여백 ┃ 미의 요소 2-균형 ┃ 미의 요소 3-통일 ┃ 미의 요소 4-변화 ┃ 미의 요소 5-조화
07. 구도의 미학
■ 구도
원 구도 ┃ 방사 구도 ┃ 삼각 구도 ┃ 사선 구도 ┃ 수렴(=X자) 구도 ┃ S자 구도 ┃ 수직 구도 ┃ 수평 구도 ┃ 삼분할 구도 ┃ 복합 구도
08. 기타 사진 미학
■ 사진 미학
주제와 부제 ┃ 선택과 기다림의 미학 ┃ 선택과 순간 포착의 미학 ┃ 그림자 이용의 미학
09. 사진 찍기 전 고려해야 할 요소
■ 찍기 전에
찍을 대상 파악과 표현할 주제 ┃ 다리 사용 여부와 렌즈 선택 ┃ 빛 파악과 보조광 사용 여부 ┃ 배경 처리는 어떻게 할까? ┃ 조리개 개방 정도와 촬영 속도 결정 ┃ 촬영 각 결정과 구도 잡기 ┃ 찍을 범위 설정과 잘라 찍기
10. 특수 촬영 기법
■ 특수 촬영
다중(이중) 촬영 ┃ 추사(追寫;panning) 촬영 ┃ 주밍(zooming) 촬영 ┃ 장노출(저속) 촬영 ┃ 흔들어 찍기 ┃ 빛 그림 사진 촬영 ┃ 연사 다중 촬영 ┃ 밤 하늘 찍기 ┃ 춤추는 기름 방울 사진 ┃ 촬영을 통한 착시 예술 ┃ 착시 현상을 이용한 연출 촬영
11. 사진 후 보정
■ 기초 보정
기초 보정 ┃ 출력 레벨 보정
■ 일반 보정
일반 보정 ┃ 도장 도구 사용법
역광 사진 보정 ┃ 왜곡 사진 보정 ┃ 자르기
12. 전시회, 이렇게 준비한다
전시 준비 ┃ 추진 과정 ┃ 전시 운영 ┃ 맺음말
저자소개
책속에서
사진 속의 객관적 내용은, 죽은 말의 아래턱 뼈 사이로 새 생명이 자라 꽃을 피운 모습이다. 야생 현장에서 이런 장면을 만나면 섬뜩함을 느꼈을 수도 있다.
이것을 생태학적 측면에서 생각해보면, 한 생명체를 구성하던 말의 여러 장기와 눈과 근육, 피부 등이 모두 분해되어, 분해된 원소들은 물과 공기, 흙 속으로 흩어지고, 흩어진 각각의 원소는 다시 새 생명체를 구성하는 물질의 재료로 사용되거나 암석의 재료가 되기도 한다. 즉, 생태계를 통한 ‘물질의 순환’이라는 개념이 한 장의 사진에 담긴 셈이다. 사진 제목은 ‘생과 사’이다. 이 물질의 순환을 종교적 관점에서 보면 불교에서 말하는 ‘윤회’인 것이다. 생과 사가 크게 다르지 않음을 보여준다.
고속도로변의 입간판 사진이나 신문, 인터넷, TV 등에 싣는 광고 사진, 여성지 등 각종 잡지의 광고 사진, 백화점 등의 상품 홍보 전단 등으로 사진이 쓰인다. 광고 내용에 맞게 상품 특성을 살려 함축적이며 한눈에 각인되게 찍은 사진일수록 광고 효과가 높다. 그러자면 상품의 쓰임과 특성은 어떠한지, 소비 대상이 누구인가, 어떤 매체를 활용할 것인지 등을 충분히 연구해야 좋은 사진을 뽑아낼 수 있다. 홍보 동영상을 만들더라도 마찬가지다.
<이야기 꽃이 피었습니다>라는 문집은 동화를 실은 것으로, 어린이들이 천진난만하게 노는 모습이 표지 사진으로 적절하다고 보아, 거리 분수에서 물장난하는 모습을 표지 사진으로 사용했다.
만약 잡지나 문학지의 표지모델로 인생 역경을 다 이겨낸 느낌을 풍기는 노인으로 정해졌다면, 먼저 그런 느낌을 가진 인물을 찾아 섭외하는 것이 좋겠지만, 더 중요한 것은 사진기를 의식하지 않고 촬영에 임할 수 있도록 시간을 들여 소통하여 그의 마음이 편해지게 하는 게 중요하다. 연출한다는 생각 없이 편안한 마음으로 촬영에 임할 때 좋은 느낌을 얻을 수 있다.
여기에서 산광(散光)은 옅은 구름이 끼어 그림자가 생기지 않는 상황의 빛을 말한다. 산광은 한 방향으로 비치던 빛줄기(다발)가 울퉁불퉁한 물체에 부딪혀 여러 방향으로 흩어지기에, 특정 방향으로 비치는 빛줄기가 없다. 하늘에 구름이 끼어 있을 때 태양 빛이 수많은 구름 입자에 부딪혀서 수없이 많은 방향으로 흩어지므로 그림자가 나타나지 않는다. 그렇다 하더라도 구름의 두께에 따라 어렴풋이 그림자가 어릴 수 있고, 그림자를 전혀 확인할 수 없을 수도 있다. 그래서 산광에서는 사물의 입체감이 약하고 밋밋하다. 그러나 디지털 사진기는 산광에서의 작은 명암 차이를 섬세하게 감지할 수 있어, 분위기 있고 섬세한 사진을 찍을 수도 있다. 직사광선이 비칠 때 주변과 명암 차가 많이 나는 오른쪽의 알점균과 같은 사물은 산광에서 표현이 섬세하게 잘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