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이건청 시전집 - 전2권

이건청 시전집 - 전2권

이건청 (지은이)
새미
1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이건청 시전집 - 전2권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이건청 시전집 - 전2권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시 > 한국시
· ISBN : 9791167970565
· 쪽수 : 1534쪽
· 출판일 : 2022-07-30

목차

1권

시전집 서문

실라캔스를 찾아서

1. 귀향시편
오스트랄로 피테쿠스 아파란시스 _ 28 | 한탄강 지질공원에서 _ 30 | 스트로마톨라이트 _ 32 | 사코리투스 코로나리우스 _ 34 | 별똥별 _ 35

2. 지하철을 타고 가며
폭설 _ 38 | 먼 집 _ 39 | 코스모스 꽃밭에서 _ 40 | 레밍의 날들 _ 42 | 법 _ 44 | 노루귀꽃을 보며 _ 46 | 시인의 무덤 _ 47 | 지하철을 타고 가며 _ 79 | 독수리를 보러 갔었다 _ 50 | 꼬리 _ 51 | 애꾸눈 재크 _ 53 | 전멸의 풍경 _ 55 | 새들의 길에서 새들이 죽는다 _ 57

3. 그레고르 잠자에게
그레고르 잠자에게 _ 60 | 난장이 화가 뚜루즈 로뜨렉 전시장에서 _ 63 | 제물 _ 64 | 남루 _ 65 | 시인을 위한 전별사 _ 67 | 조용한 방 _ 68 | 여름 숲에서 _ 69 | 호스피스 병동이 있는 풍경 _ 70 | 산이 왜 산이고 물이 왜 물인지 _ 71 | 종속도 _ 73 | 아버지의 인장 _ 74 | 2, 3일 _ 75 | 화장장에서 _ 77 | 잠간 _ 78 | 추운 날 _ 79

4. 선묘
시인들의 성산포 _ 82 | 노새 _ 84 | 선묘 _ 87 | 선묘. 선묘 _ 89 | 나이테 _ 90 | 방아꽃 _ 91 | 신갈 인터체인지 _ 92 | 목동 아파트단지를 지나며 _ 93

5. 말들이 돌아오는 바다
새야 _ 96 | 봉함엽서 _ 97 | 날개 _ 98 | 어느, 어느 날 _ 99 | 비틀, 비틀 _ 100 | 기러기 _ 101 | 노고지리 _ 102 | 피리어드 _ 103 | 박목월 선생 _ 104 | 말들이 돌아오는 바다 _ 105 | 우포늪에서 _ 107 | 전서구가 있는 풍경 _ 109 | 늙은 참나무에 기대어 _ 110 | 대곡천 암각화여, 위대한 힘이시여 _ 112

6. 실라캔스를 찾아서
실라캔스를 찾아서 _ 116 | 화석물고기 _ 118 | 진화를 거부한 _ 120 | 봐라 여기 있다 _ 122 | 대멸종 _ 123 | 어시장 좌판 위의 실라캔스 _ 125 | 인텔리겐치아 _ 127 | 내게도 실라캔스가 _ 128 | 진화, 반진화 _ 130

∙ 후기 _ 시인의 말 _ 132
∙ 왜 실라캔스인가? _ 이건청 _ 144
∙ 시집평 _ 멸종하지 않는 푸른 정신의 무게 _ 이병철 _ 148
∙ 내가 읽은 이건청의 시 _ 始源에서 찾는 희망 _ 조재철 _ 157
∙ 내가 읽은 이건청의 시 _ 시집 『실라캔스를 찾아서』를 읽고 _ 김완 _ 166

곡마단 뒷마당엔 말이 한 마리 있었네

1.
진달래꽃 _ 182 | 곡마단 뒷마당엔 말이 한 마리 있었네 _ 184 | 멍 _ 186 | 품 _ 187 | 기러기 _ 189 | 사막여우가 있는 풍경 _ 190 | 툰드라 _ 191 | 전동스쿠터가 있는 비탈길 _ 193 | 장님 여자가 사는 마을 _ 194 | 봄날 _ 195 | 그리움에 대하여 _ 196| 아내라는 여자 _ 198 | 뼈 몇 조각 뼈에 바치는 헌사 _ 199 | 질경이 _ 200 | 견고하고 딱딱한 잠 _ 202 | 비슬산 참꽃 _ 204 | 청매실이 여무는 집 _ 205 | 독락당, 혹은 산정묘지 _ 206 | 북향 _ 208 | 봄 산 _ 209 | 병신춤을 추던 여자 _ 211 | 통영 사람 _ 213 | 흐린 여자들과 소 몇 마리 _ 215 | 들깨 밭에서 _ 216 | 여숙에서 _ 218 | 잠든 염소를 깨워 몰고 _ 219 | 억새, 혹은 엉겅퀴같은 _ 220 | 굴 _ 222 | 젖은 배 _ 223 | 귀신고래는 왜 안 오는가? _ 224

2.
소문, 혹은 풍문이 살던 마을 _ 226 | 소금 사막 _ 230 | 민달팽이 _ 231 | 폐사지에서 _ 232 | 가을 속초 _ 234 | 새벽 뜨락에서 _ 236 | 밥 _ 237 | 지름길 _ 238 | 열하일기를 읽으며 _ 240 | 연둣빛 마가목 잎새 하나의 행방 _ 242 | 가마우지 _ 243 | 개펄에서 _ 245 | 아지랑이 있는 곳 _ 246 | 돌미나리가 있는 풍경 _ 247 | 부리 _ 249

3.
갈라파고스 _ 250 | 망치 _ 252 | 수컷 죽이기 _ 254 | 길고 지리한 일상에서 _ 256 | 팔레스타인 _ 258 | 매실주를 담그며 _ 259 | 억울한 것들의 새벽 _ 261 | 고래는 없다, 고래는 죽었다 _ 262 | 뉘른베르크, 양말, 혹은 양말제조법 _ 263 | 유리병 속의 시 _ 265 | 파울 첼란 _ 267 | 비품들 _ 269 | 틀렸다, 그 길이 아니다 _ 271 | 시인들아, 말 사러 가자 _ 272

굴참나무 숲에서

제1부
벙어리 강 _ 280 | 곰소항에서 _ 281 |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앞에서 _ 283 | 탁. 탁. 탁. _ 285 | 청어를 굽는 저녁 _ 286 | 연꽃 밭에서 _ 287 | 꽃뱀의 날 _ 288 | 천 년 _ 289 | 늙은 시인의 초상을 위한 에스키스 _ 290 | 딱정벌레 _ 291 | 염소 장수가 있는 풍경 _ 292 | 마늘밭에서 _ 293 | 흑단을 보며 _ 294 | 자리물회를 먹으며 _ 295 | 늙은 소 _ 298 | 돌미륵 _ 299

제2부
물 _ 302 | 간이역에서 _ 303 | 나미브 사막에 사는 시인 _ 304 | 반얀나무의 꿈 _ 305 | 수목장에서 _ 307 | 도미 머리찜 먹던 날들 _ 309 | 새들은 낭가파르밧에서 죽는다 _ 311 | 세상에는 육식성의 큰 새가 많다 _ 313 | 고래에 관한 풍문 _ 314 | 백발의 날 _ 315

제3부
혈 _ 318 | 좁은 길 _ 319 | 개는 철창 속에 있다 _ 321 | 이상한 방 _ 322 | 손을 바라보며 _ 323 | 연어 _ 325 | 안개 속에서 _ 326 | 아지랑이 _ 327 | 해국 _ 329 | 남행 _ 330

제4부
적멸에 대하여 _ 332 | 산등성이를 건너다보며 _ 333 | 눈길에서 _ 335 | 산 _ 337 | 양지꽃 _ 338 | 1953년, 미나리꽝에 관한 기억 _ 340 | 모란을 보며 _ 341 | 버찌를 먹으며 _ 342 | 촛불 _ 343 | 비육우에 관한 생각 _ 344 | 어느 장사꾼에 대하여 _ 346

제5부
네가 올 때까지 _ 348 | 버찌가 익길 기다리며 _ 349 | 3월의 강 하나가 _ 351 | 그 집엔 새들이 산다 _ 352 | 천축 _ 353 | 댕기머리물떼새 _ 354 | 선묘 _ 356 | 얼룩말은 고기 조각이 되지 않으려고 뛴다 _ 358 | 우중 _ 359 | 어느 날 별안간 새들이 사라진다면 _ 360 | 은하수를 건너오는 물뱀 _ 362 | 굴참나무 숲에서 _ 364 | 세렝게티 _ 367

∙ 시인의 산문 _ 시에 대한 요즘의 생각 _ 368

반구대 암각화 앞에서

1. 반구대 암각화 앞에서
암각화를 위하여 _ 382 | 반구대를 바라보며 _ 384 | 우람한 남근 _ 386 | 얼굴 _ 388 | 샤먼 _ 390 | 고래잡이 배 _ 392 | 작살잡이들 _ 395 | 작살 _ 396 | 새끼를 등에 업은 고래 _ 397 | 나팔부는 사람 _ 398 | 부구 _ 400 | 그물에 갇힌 짐승 _ 402 | 교미하는 짐승 _ 404 | 짐승에게 _ 406 | 울타리 _ 408 | 새 _ 410

2. 천전리 각석을 보며
천전리 각석 _ 414 | 여자의 문 _ 416 | 어느 사랑의 기록 _ 418

3. 고래들의 선종의례
고래들의 주민등록 _ 422 | 고래들이 선박에 치어죽는다 _ 424 | 고래 어판장에서 _ 426 | 고래들의 선종의례 _ 428 | 고래들만 아는 고래들의 말 _ 430 | 썩는 것에 대하여 _ 432

4. 말향고래를 찾아서
말향고래를 찾아서-아버지가 말씀하시길 _ 436 | 말향고래를 찾아서-내가 처음 만난 말향고래 _ 437 | 말향고래를 찾아서-광화문에서 본 진짜 말향고래 _ 438 | 말향고래를 찾아서-낡은 깃발 _ 439 | 말향고래를 찾아서-죽은 말향고래 한 마리 외갓집 마당에 _ 441 | 말향고래를 찾아서-나는 배가 고프다 _ 442 | 말향고래를 찾아서-고래들은 죽으러 온다 _ 443 | 말향고래를 찾아서-고래 기름 _ 444 | 말향고래를 찾아서-노래하는 짐승 _ 445 | 말향고래를 찾아서-말향고래야 살아다오 _ 446

5. 고래박물관이 건너다보이는
고래박물관이 건너다보이는 ․ 1 _ 450 | 고래박물관이 건너다보이는 ․ 2 _ 451 | 고래박물관이 건너다보이는 ․ 3 _ 452 | 고래박물관이 건너다보이는 ․ 4 _ 453 | 고래박물관이 건너다보이는 ․ 5 _ 454 | 고래박물관이 건너다보이는 ․ 6 _ 455 | 고래박물관이 건너다보이는 ․ 7 _ 456 | 고래박물관이 건너다보이는 ․ 8 _ 458 | 고래박물관이 건너다보이는 ․ 9 _ 459 | 고래박물관이 건너다보이는 ․ 10 _ 460 | 고래박물관이 건너다보이는 ․ 11 _ 461 | 고래박물관이 건너다보이는 ․ 12 _ 463

∙ 감각과 주술 _ 464
∙ ‘전율’과 ‘사유’ 사이 _ 471
∙ 말향고래, 이슈마엘 그리고 타성 깨뜰기 _ 476

소금창고에서 날아가는 노고지리

1.
소금 _ 486 | 산양 _ 487 | 소금창고에서 날아가는 노고지리 _ 489 | 말 _ 490 | 움직이는 산 _ 491 | 별 _ 492 | 겨울 산에서 _ 493 | 은어 _ 495 | 산불 감시초소의 시인 _ 496 | 무당벌레가 되고 싶은 시인 _ 497 | 쇠똥구리 시인 _ 498 | 쇠똥구리의 생각 _ 499 | 빨치산 대장 이현상의 어름 산 _ 500 | 좁은 자리 _ 501

2.
심해에서 울리는 종소리 _ 504 | 개펄 _ 505 | 말들의 시간 _ 506 | 케이프 타운 _ 507 | 무너지는 날들의 케이프 타운 _ 508 | 진부령을 넘으며 _ 510 | 낙타 _ 512 | 그 배를 타고 싶었다 _ 513 |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_ 514 | 치자꽃 _ 515

3.
감사의 말씀 _ 518 | 새벽이슬에 젖는 집 _ 519 | 호모 하빌리스 _ 520 | 짐승의 말 _ 521 | 풍경 _ 523 | 숲에 사는 남자 _ 525 | 화전인의 꿈 _ 526 | 개미지옥에 사는 사람 _ 527 | 「삼국유사」를 쓰는 바닷새들 _ 528 | 낙반사고가 있던 날의 갱구에서 _ 530

4.
피델에게 _ 532 | 티티새들은 체 게바라를 모른다 _ 534 | 체 게바라 _ 535 | 지하드 _ 537 | 메시지 _ 538 | 쑥부쟁이꽃 핀 능선 너머로 퍼지는 황혼 _ 539 | 인월에서 _ 540 | 예술가의 뜰 _ 541

5.
청산 가는 길 _ 544 | 아픈 청산 _ 545 | 박목월 선생 _ 546 | 세한도 _ 547 | 새벽 눈 _ 548 | 편운선생 묘소 앞을 지나가면서 _ 549 | 난향 앞에서 _ 550 | 닻 _ 551 | 폐사지에서 _ 552 | 비버 _ 553 | 나의 이웃 _ 554 | 식구 _ 556 | 아카시아 _ 558 | 썰물 _ 559 | 편지 _ 560 | 백담사에서 _ 561


∙ 기억이 살아 있는 한 그루 자연 _ 562
∙ 말의 소거, 그리고 단절과 소외 _ 567
∙ 순교자의 묘지 _ 573

푸른 말들에 관한 기억

1.
깊은 우물 _ 584 | 하류 _ 585 | 사슴벌레 _ 587 | 멸치 _ 589 | 푸른 벌레 _ 591 | 나는 개똥지빠귀가 아니다 _ 593 | 진달래 꽃밭에서 _ 595 | 납골당에서 _ 596 | 벽제에서 _ 597 | 폐광촌을 지나며 _ 598 | 들소 _ 599 | 말들의 기억 _ 601 | 푸른 갈기 _ 603 | 말들의 시간 _ 604 | 새 아침 눈발 스치는 숲길을 간다 _ 605

2.
투구풍뎅이 _ 610 | 겨울 산 _ 612 | 그날, 제7 태창호에선 무슨 일이 있었나 _ 614 | 고속철도 공사장이 보이는 ․ 1 _ 616 | 고속철도 공사장이 보이는 ․ 2 _ 617 | 호세 클레멘테 오로스코에게 _ 618 | 그 말이 아직 망아지였을 때 _ 619 | 노고지리 _ 621 | 추억 _ 622 | 실크로드 _ 623 | 적설의 기억 _ 624 | 혼자 가는 아이 _ 625

3.
낸터킷 ․ 1 _ 628 | 낸터킷 ․ 2 _ 629 | 낸터킷 ․ 3 _ 630 | 낸터킷 ․ 4 _ 631 | 낸터킷 ․ 5 _ 632 | 낸터킷 ․ 6 _ 633 | 낸터킷 ․ 7 _ 634 | Melancholy _ 635 | 타히티 섬이 보이는 유자나무 그늘 아래 _ 636 | 새벽 꿈 _ 637 | 생명 _ 638

4.
산사에서 _ 640 | 용천사에서 _ 641 | 고독을 기다리며 _ 643 | 산사의 눈발을 보며 _ 644 | 테헤마나 _ 646 | 청동시대를 위하여 _ 648 | 소실점에서 _ 649 | 풀잠자리의 말 _ 650 | 저무는 말 _ 652 | 저녁 눈 _ 653 | 빈 산 _ 654 | 선혈의 시간 _ 655 | 추운 날 _ 656 | 몽혼 _ 657 | 정직한 시인 _ 658 | 하얀 뼈 _ 659 | 도라 디아만트의 새벽 _ 660 | 동암 _ 662 | 싸락눈 _ 663

5.
산 속에 길 만들기 _ 666 | 멍에 _ 667 | 애련 _ 669 | 대한 지나며 _ 670 | 하늘말나리 _ 671 | 겨울 바닷가에서의 일박 _ 672 | 산수유가 있는 새벽 _ 673 | 파밭 _ 674 | 남풍 _ 675 | 삼거리의 꿈 _ 676 | 옛 집 _ 677

6. 에필로그
사라진 시간 속의 아이에게 _ 680 | 사라진 시간 속에서 만난 아이 _ 682 | 무서운 풀 _ 683 | 숨어 사는 아이 _ 684 | 어머니의 울음소리 _ 685 | 서툰 거지 _ 686 | 개장국 먹는 사람 _ 687 | 속의 비행 편대 _ 688 | 행렬 _ 689 | 죽창 _ 690 | 부러진 둥치에도 망울이 _ 691 | 살구꽃 _ 692 | 비행기 _ 693 | 흑판이 걸린 양지 _ 694 | 아이들의 고기잡이 _ 695 | 두엄더미 속의 사람 _ 696 | 흰 마스크에 흰 장갑을 낀 _ 697

∙ 해설 _ 강웅식 _ 698
∙ 이건청의 후기시·해설 _ 세상에 대한 깊은 통찰과 견고한 상징 _ 곽명숙 _ 709
∙ 작품 찾아보기 _ 741

2권
시전집 서문

석탄형성에 관한 관찰 기록

1. 석탄 형성에 관한 관찰 기록
사북이 어디예요? _ 26 | 막장에 가고 싶은 날 _ 27 | 삽 _ 28 | 下降 _ 29 | 철암에서 _ 30 | 사북에서 _ 31 | 흐린 筆跡 _ 33 | 塵肺를 앓는 오후 _ 34 | 無彩色 _ 35 | 入坑 _ 36 | 解凍 _ 37 | 석탄 형성에 관한 관찰 기록-12.010. _ 38 | 석탄 형성에 관한 관찰 기록-舍宅에서 _ 41 | 석탄 형성에 관한 관찰 기록-벼랑 _ 43 | 석탄 형성에 관한 관찰 기록-無煙炭 _ 45 | 석탄 형성에 관한 관찰 기록-塵肺 환자 박영환씨의 하늘 _ 47 | 석탄 형성에 관한 관찰 기록-硅肺 센터가 보이는 _ 49

2. 우리들의 역사 시간
熱目魚 _ 52 | 우리들의 역사 시간 _ 53 | 파르티쟌 ․ 1 _ 55 | 파르티쟌 ․ 2 _ 57 | 파르티쟌 ․ 3 _ 58 | 파르티쟌 ․ 4 _ 59 | 境界人의 집 _ 60 | 파파라치 _ 61 | 피사에 사는 사람 ․ 1 _ 63 | 피사에 사는 사람 ․ 2 _ 64 | 피사에 사는 사람 ․ 3 _ 66 | 나는 당신을 본다 _ 67 | 시인의 祭壇 _ 68 | 찔레 _ 69 | 짐승에게 가는 길 _ 71 | 절을 찾아 가는 길 _ 72 | 飛龍의 꿈 _ 74 | 도둑고양이 _ 76 | 포장마차 _ 77 | 非詩 _ 79 | 煙筒에 대하여 _ 80 | 풍뎅이의 꿈 _ 82 | 1월 _ 83

3. 나는 비트에 숨는다
나는 비트에 숨는다 _ 86 | L _ 87 | 심문 _ 88 | …詩人 _ 89 | 석양의 남자 _ 90 | 사소한 방 ․ 1 _ 91 | 사소한 방 ․ 2 _ 92 | 1996년 봄 _ 94 | 해지는 날, 푸른 벼랑에 앉아 _ 95 | 幼蟲의 꿈 _ 96 | 妻家가 보이는 봄 _ 97 | 슴새들을 생각하며 _ 98 | 가문날 _ 99 | 서리 _ 100 | 下午의 인상 _ 101 | 패랭이꽃 _ 102 | 낯선길 _ 103 | 母性 _ 104 | 迂廻路 ․ 1 _ 105 | 迂廻路 ․ 2 _ 106 | 별똥별 _ 108 | 민들레 _ 109 | 境界人의 봄 _ 110 | 콩새가 보고 싶은 날 _ 111 | 平日의 인상 _ 113 | 낙타 죽이기 _ 115 | 물을 찾는 사막 _ 116 | 사막에서 피살된 낙타, 혹은 _ 117 | 낙타의 꿈 _ 118 | 사막에서 _ 119 | 사막에서 나는 잔다 _ 120

∙ 후기 _ 삶의 진정성과 방법적 탐구 _ 이건청 _ 121

코뿔소를 찾아서

1. 코뿔소를 찾아서
코뿔소를 찾아서-茶山을 보며 _ 132 | 코뿔소를 찾아서-玆山魚譜 _ 133 | 코뿔소를 찾아서-서쪽 풍경 _ 135 | 코뿔소를 찾아서-黃土峴 가는 길 _ 136 | 코뿔소를 찾아서-전봉준을 찾아서 _ 137 | 코뿔소를 찾아서-萬積 _ 138 | 코뿔소를 찾아서-뿔 _ 140 | 코뿔소를 찾아서-흐린 날 _ 141 | 코뿔소를 찾아서-추운 사내 _ 142 | 코뿔소를 찾아서-이 나라의 5월 _ 143 | 코뿔소를 찾아서-돋보기를 걸치고 _ 144

2. 인텔리겐치아
인텔리겐치아 ․ 1 _ 146 | 인텔리겐치아 ․ 2 _ 147 | 인텔리겐치아 ․ 3 _ 148 | 인텔리겐치아 ․ 4 _ 149 | 인텔리겐치아 ․ 5 _ 150 | 인텔리겐치아 ․ 6 _ 152 | 인텔리겐치아 ․ 7 _ 154 | 인텔리겐치아 ․ 8 _ 155 | 인텔리겐치아 ․ 9 _ 156 | 인텔리겐치아 ․ 10 _ 157

3. 一角獸가 있는 風景
저무는 날이 다가와 _ 160 | 우리들의 역사 시간 _ 161 | 一角獸가 있는 風景 _ 162 | 우리들의 저쪽 _ 163 | 피라미드 무너뜨리기 _ 164 | 아카시아 _ 166 | 부끄러움에 대하여 _ 167 | 소주병은 깨지고 싶다 _ 168 | 안 보이는 恐龍들이 _ 169 | 우리들의 日常事 _ 170

4. 아침 茶卓
미루나무 숲 희미한 _ 172 | 코스모스 _ 173 | 아침 茶卓 _ 174 | 산에게 _ 175 | 젖고 있는 들판에게 _ 176 | 눈 내린 산에 _ 177 | 입춘 가까운 날, 시민들은 _ 178 | 박목월 선생 _ 179 | 무너짐에 대하여 _ 180 | 가을 하늘이 푸르름을 만나는 자리 _ 181 | 만리동 쪽으로 부는 바람 _ 182 | 헤어짐에 대하여 _ 183

5. 파르티잔의 봄
매천 황 선생을 생각하는 산비둘기 ․ 1 _ 186 | 매천 황 선생을 생각하는 산비둘기 ․ 2 _ 187 | 60年代 _ 188 | 늙은 개에 대한 기억 _ 189 | 파르티잔의 봄 _ 190 | 바다가 보이는 풍경 _ 191 | 舍北 지나며 _ 192 | 無煙炭에 대하여 _ 194 | 動脈硬化에 대하여 _ 195 | 침묵에 대하여 _ 196 | 목마름에 대하여 _ 197 | 갈매기의 노래 _ 198 | 검은 산 _ 199 | 못 _ 200 | 다리 _ 201 | 보신탕에 대하여 _ 202 | 흐린 날 _ 203 | 山을 향하여 _ 204 | 저문 강을 바라보며 _ 205

6. 그 산에 장수하늘소는 산다
그 산에 장수하늘소는 산다 _ 208 | 이 밤에도 짐승들은 _ 209 | 깜정 고양이를 기다리며 _ 210 | 짐승이 사는 도시 _ 211 | 양촌리의 고양이 _ 212 | 수달에 대하여 _ 214 | 개는 _ 215 | 장수하늘소를 찾아서 _ 216 | 당신들이 잠든 후 _ 217 | 도둑고양이가 사는 마을 _ 219

∙ 해설 _ 가려진 이정표를 찾아서 _ 이경호 _ 221

하이에나

1. 하이에나
하이에나-목마름에 대하여 _ 234 | 하이에나-도시의 하이에나 _ 235 | 하이에나-하이에나는 _ 236 | 하이에나-양심선언 _ 237 | 하이에나-수상한 날 _ 238 | 하이에나-80년대의 프랑크톤 _ 239 | 하이에나-雨期의 새 _ 240 | 하이에나-역적 _ 241 | 하이에나-사막의 하이에나 _ 242 | 하이에나-쓰러지고 싶은 사막 _ 243

2. 눈먼 자를 위하여
눈먼 자를 위하여 ․ 1 _ 246 | 눈먼 자를 위하여 ․ 2 _ 249 | 눈먼 자를 위하여 ․ 3 _ 250 | 눈먼 자를 위하여 ․ 4 _ 251 | 눈먼 자를 위하여 ․ 5 _ 253 | 눈먼 자를 위하여 ․ 6 _ 254 | 눈먼 자를 위하여 ․ 7 _ 255 | 눈먼 자를 위하여 ․ 8 _ 256 | 눈먼 자를 위하여 ․ 9 _ 257 | 눈먼 자를 위하여 ․ 10 _ 258

3. 황야의 이리
황야의 이리 ․ 1 _ 260 | 황야의 이리 ․ 2 _ 262 | 황야의 이리 ․ 3 _ 263 | 황야의 이리 ․ 4 _ 264 | 황야의 이리 ․ 5 _ 265 | 황야의 이리 ․ 6 _ 267 | 황야의 이리 ․ 7 _ 268 | 황야의 이리 ․ 8 _ 269 | 황야의 이리 ․ 9 _ 271 | 황야의 이리 ․ 10 _ 272

4. 도둑에게
毛皮에 대하여 _ 274 | 부엉이를 잡은 적이 있었다 _ 276 | 가을에 꾸는 꿈 _ 278 | 鐵絲 때문일까 _ 279 | 잔디 가꾸기 _ 280 | 우리들의 日常事 _ 281 | 어느날 _ 282 | 눈먼 자를 향하여 _ 284 | 날개 _ 286 | 양촌리의 비 _ 287 | 어둠에 대하여 _ 288 | 計數놀이 _ 289 | 곰팡이 _ 290 | 도둑에게 _ 292

5. 갈매기가 죽는 날
해가 진다 짐승아 _ 296 | 우리들의 이야기 _ 297 | 갈매기가 죽는 날 _ 298 | 누가 와서 밑둥을 _ 299 | 6월의 나무 _ 300 | 李仲燮 생각 ․ 1 _ 301 | 李仲燮 생각 ․ 2 _ 302 | 흰새 _ 303 | 희미한 길 _ 304 | 해뜨는 곳으로 가 밝은 아침을 _ 305 | 물에게 _ 307 | 가을 바다 _ 308 | 벼랑 _ 310 | 3월의 나무 _ 311 | 멧새 _ 312 | 갈대밭에서 _ 314 | 말뚝 _ 315 | 외로움에 대하여 _ 316

6. 산을 향하여
빠른 시간 속의 빈터 _ 320 | 갇힌 바람들의 노래 _ 321 | 찻잔을 앞에 두고 _ 322 | 꽃에게 _ 324 | 물에게 오셔서 물이 되게 하시는 _ 326 | 3월에 _ 328 | 다리를 건너며 _ 329 | 개펄 ․ 1 _ 330 | 개펄 ․ 2 _ 331 | 고요함에 대하여 _ 332 | 산에게 _ 333 | 산은 _ 334 | 산을 향하여 _ 335 | 長城의 꿈 _ 336 | 兵馬俑의 나라 _ 337 | 11시 50분이 가까운 _ 338 | 말들의 시간 _ 339 | 金선생네 식탁엔 _ 340

7. 나의 시, 나의 시론
새로움을 발견하는 삶 _ 344 | 어떻게 쓰는가 _ 348 | 명성에 대하여 _ 352 | 시와 신념 _ 362

망초꽃 하나

1. 정형외과병동에서
부리 _ 370 | 새 길 ․ 1 _ 372 | 새 길 ․ 2 _ 373 | 무너지는 산 _ 374 | 잡초 _ 375 | 먼지 _ 376 | 넝쿨장미 _ 378 | 망초꽃 하나 _ 379 | 정형외과병동에서 _ 381 | 석탄 _ 382 | 허수아비 _ 383 | 축견 _ 385 | 잡초 기르기 _ 387 | 보우트 피플 _ 388

2. 무너지는 사내
무너지는 사내 _ 392 | 시내 _ 393 | 흔들림에 대하여 _ 394 | 무너지는 겨울 섬 _ 395 | 잠자는 겨울새 _ 396 | 해가 진 곳에 _ 397 | 망상에 와서 _ 398 | 서 있는 절창 _ 399 | 비탈길 _ 400 | 낙엽 _ 401 | 희미한 길 _ 402 | 검은 새 _ 403 | 거대한 시계 _ 404 | 쓰레기 하치장 _ 405

3. 돌아오지 않는 것들을
가지치기 _ 408 | 추위 _ 409 | 정읍 지나며 _ 410 | 흐르는 물 _ 411 | 봄밤의 꿈 _ 412 | 입추 _ 413 | 밤이 깊어 갈수록 _ 414 | 예배당을 배경으로 _ 415 | 죽음을 테마로 한 두 개의 칸타타 _ 416 | 돌아오지 않는 것들을 _ 418 | 게 _ 419 | 눈오는 날 _ 420 | 부산 가는 길 _ 422 | 알레그로 ․ 1 _ 423 | 알레그로 ․ 2 _ 424 | 알레그로 ․ 3 _ 425 | 알레그로 ․ 4 _ 426 | 무인도에 가거든 _ 427 | 우리들의 가을이 _ 428 | 이천의 물 _ 429

4. 이슈마엘에게
검은 산 _ 432 | 풍치 _ 433 | 추운 뿌리 _ 434 | 추운 벌레 _ 435 | 밀감 _ 436 | 지워지는 꽃 _ 437 | 비구상 _ 438 | 5월의 물달개비 _ 439 | 그늘 _ 440 | 이슈마엘에게 _ 441 | 저녁 무렵에 _ 442 | 풀잎 _ 443 | 한 숲이 한 숲에게 _ 444 | 모여드는 손 _ 445 | 울지 않는 까마귀 _ 446 | 여문 씨앗을 위한 소네트 _ 447 | 씨앗 _ 448

∙ 해설 _ 이건청의 시세계-건강한 긍정과 당당한 푸르름 _ 金光圭 _ 449

목마른 자는 잠들고

1. 심봉사 전 1~11
심봉사 전 ․ 1 _ 466 | 심봉사 전 ․ 2 _ 468 | 심봉사 전 ․ 3 _ 469 | 심봉사 전 ․ 4 _ 471 | 심봉사 전 ․ 5 _ 472 | 심봉사 전 ․ 6 _ 473 | 심봉사 전 ․ 7 _ 474 | 심봉사 전 ․ 8 _ 475 | 심봉사 전 ․ 9 _ 476 | 심봉사 전 ․ 10 _ 477 | 심봉사 전 ․ 11 _ 478

2. 황인종의 개 1~13
황인종의 개 ․ 1 _ 480 | 황인종의 개 ․ 2 _ 482 | 황인종의 개 ․ 3 _ 483 | 황인종의 개 ․ 4 _ 484 | 황인종의 개 ․ 5 _ 485 | 황인종의 개 ․ 6 _ 486 | 황인종의 개 ․ 7 _ 487 | 황인종의 개 ․ 8 _ 488 | 황인종의 개 ․ 9 _ 490 | 황인종의 개 ․ 10 _ 491 | 황인종의 개 ․ 11 _ 493 | 황인종의 개 ․ 12 _ 494 | 황인종의 개 ․ 13 _ 495

3. 비를 부르는
비를 부르는 _ 498 | Chirico에게 _ 499 | 패각 _ 500 | 유년의 숲 _ 501 | 숨어서도 노래하는 _ 502 | 구두 수선공 _ 504 | 그 풀밭의 안개 _ 505 | 지하도를 지나며 _ 506 | 귀뚜라미 _ 507 | 숲을 향해서 _ 509 | 빗소리 _ 510

4. 목마른 자는 잠들고
목마른 자는 잠들고 _ 512 | 4월의 시 _ 513 | 폐항의 밤 _ 514 | 콩밭에서 _ 516 | 별 _ 517 | 사내의 귀가 _ 518 | 9층 6호의 꽃 _ 519 | 걸레를 들고 _ 521 | 파리 _ 523 | 겨울비 _ 525 | 봄밤의 꿈 ․ 1 _ 526 | 봄밤의 꿈 ․ 2 _ 528 | 대낮에도 잠을 _ 529 | 폐차장 _ 531 | 수탉 한 마리 _ 533

이건청 시집

1.
말 _ 540 | 하강 _ 542 | 어둠의 재 _ 544 | 개복 _ 546 | 청계천 3가 _ 548 | 60년대의 귀뚜라미 _ 549 | 가을연가 _ 550 | 새벽 _ 552 | 노인의 피 _ 553 | 손금 _ 555 | 구시가의 밤 _ 557 | 구약 _ 559

2.
출가 _ 564 | 귀향 _ 565 | 겨울 바다 _ 567 | 현장 _ 568 | 봉선화 _ 570 | 갈대밭에서 _ 571 | 월요일의 수면 _ 572 | 당신의 모발에선 _ 573 | 가을 역전 _ 575

3.
손 _ 578 | 불면 _ 580 | 소리 _ 581 | 바람 _ 582 | 기관지염 _ 584 | 오후의 커어피 _ 586 | 일박 _ 587 | 만리동 비탈길 _ 588 | 야맹 _ 590 | 매담 바타플라이 _ 591 | 안질 _ 594 | 겨울 우수 _ 595 | 추위 _ 596 | 수목의 손 _ 597 | 낱말 _ 599 | 목선들의 뱃머리가 _ 600

∙ 跋 _ 이승훈 _ 603
∙ 후기 _ 606

시집·로댕 청동시대를 위하여

내가 여기에 _ 612 | 칼레의 시민들 _ 614 | 무너지는 사내 _ 616 | 장미인 채 그렇게 _ 618 | 이 길을 따라 가면 _ 620 | 뻐꾹새는 숲에서 _ 622 | 비에 젖은 풀들이 _ 624 | 한 남자에 대하여 _ 626 | 찔레꽃 핀 6월의 _ 628 | 봄 언덕엔 언제나 _ 630 | 네가 산이었을 때 _ 632 | 무너지지 않으려고 _ 634 | 그대의 문 _ 636 | 목마른 물새 _ 638 | 쓸쓸한 폭풍 _ 640 | 내가 네게로 _ 642 | 연초록 새싹에게 _ 644 | 주름살 _ 646 | 저무는 지평 어딘가에 _ 648 | 무명시민들의 노래 _ 650 | 적들에게 _ 652 | 당신은 수염을 기르고 있다 _ 654 | 홀로이고 싶어라 _ 656 | 내가 너를 부를 때 _ 658 | 4월의 삘기 밭엔 _ 660 | 젊음에게 _ 662 | 침묵하는 산 _ 664 | 연초록 숨결 앞에 _ 666 | 광막한 바다가 _ 668 | 지옥의 문 _ 670 | 네가 잠든 강은 흘러 _ 672 | 이 섬엔 노인이 _ 674 | 흙인 나를 밟아다오 _ 676 | 이 세상 모든 아픔이 _ 678 | 오퀴스트 르네 로댕에게 _ 680 | 커가는 산이 하나 _ 682 | 그 곳엔 산이 하나 _ 684 | 가슴엔 아직도 _ 686 | 이 손을 잡아다오 _ 688 | 흔들리기 위하여 _ 690 | 이 언덕에 서서 보면 _ 692 | 그대 가슴에 쌓인 모래 _ 694

∙ 후기 _ 로댕과의 만남 _ 이건청 _ 696
∙ 로댕 연보 _ 707
∙ 이건청의 전기시 해설 _ 자아의 각성과 다층적 총화로서의 자연 _ 송기한 _ 711
∙ 이건청 연보 _ 737
∙ 이건청 서지 목록 _ 748
∙ 작품 찾아보기 _ 759

저자소개

이건청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2년 경기도 이천 출생. 한양대학교 국문학과 및 동대학원에서 문학석사, 단국대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1967년 한국일보 신춘문예로 등단. 시집 『이건청 시집』 『목마른 자는 잠들고』 『망초꽃 하나』 『하이에나』 『코뿔소를 찾아서』 『석탄 형성에 관한 관찰 기록』 『푸른 말들에 관한 기억』 『소금창고에서 날아가는 노고지리』 『반구대 암각화 앞에서』 『굴참나무 숲에서』 『곡마단 뒷마당엔 말이 한 마리 있었네』 『실라캔스를 찾아서』, 기획시집 『로댕-청동시대를 위하여』, 시선집 『해지는 날의 짐승에게』 『움직이는 산』 『무당벌레가 되고싶은 시인』 『해지는 날 푸른 벼랑에 앉아』 『이건청 문학 선집』(전 4권) 『이건청 시전집』(전2권). 현대문학상, 한국시협상, 목월문학상, 김달진문학상, 고산문학대상, 현대불교문학상, 편운문학상, 녹원문학상, 자랑스런 양정인상 수상. 한양대학교 명예교수, 한국시인협회 회장 역임.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