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근대개화기
· ISBN : 9791167972255
· 쪽수 : 614쪽
· 출판일 : 2025-02-20
책 소개
목차
| 머 리 말 |
서론
제1절 문제 제기와 연구 동향
1. 문제 제기
2. 연구 동향
제2절 연구 방법과 연구 내용
1. 연구 방법
2. 연구 내용
제1부 조선 후기 근세 농업체제의 변동
Ⅰ. 농업기술의 전개 양상
1. 벼농사 이앙법의 보급
2. 한전 이모작 경작방식의 고도화
3. 수전과 한전의 시비법 발달
4. 농기구와 수리시설의 발달
Ⅱ. 농정책의 마련과 실시
1. 농정책의 구조와 시행
2. 순조대 농정책의 시행
Ⅲ. 양전 시행과 양안 작성
1. 경자양전의 시행과 경자양안의 특색
2. 순조대 양전 계획과 추진
Ⅳ. 농업경영의 변동
1. 지주 경영의 변동
2. 소농경영의 변화
3. 궁방전과 아문둔전의 농업경영
Ⅴ. 농업 개혁론의 추이
1. 유형원의 공전제론
2. 이익과 박지원의 한전론
3. 정약용의 여전론과 정전론
4. 서유구의 둔전설치론
제2부 개항기·대한제국기 근대 농업체제의 형성
Ⅰ. 대원군의 농촌수습책과 고종의 권농정책
1. 1862년 농민항쟁과 근세 농업체제의 위기
2. 대원군의 농촌 수습책
3. 고종의 권농책勸農策과 권농勸農 공간의 조성
Ⅱ. 1880년대 근대적 농업정책의 등장
1. ‘근대적’ 농업기구의 설치와 농업정책의 실시
2. 시찰단 파견과 농무목축시험장農務牧畜試驗場의 설치
Ⅲ. 1890년대 이후 근대 농업체제의 형성
1. 갑오개혁의 농업정책
2. 광무정권의 양전量田·지계地契 사업
3. 역둔토 정리사업의 실시
4. 광무정권의 개간정책
5. 농림 관련 회사의 설립
Ⅳ. 서양 농업기술의 도입 시도
1. 1880년대 농서 편찬과 서양 농업기술
2. 서양 시비기술과 재래농법의 결합
3. 농업시험장의 설치와 철폐
제3부 일제강점기 근대 농업체제의 변동
Ⅰ. 통감부의 농업조사와 농업식민책
1. 통감부 설치와 한국 농업 조사
2. 통감부의 식민농업책
Ⅱ. 총독부의 토지조사사업과 미작개량책
1. 총독부의 농업식민정책
2. 조선토지조사사업의 전개와 성격
3. 1910년대 미작개량정책의 성격
Ⅲ. 산미증식계획과 수리조합의 운영
1. 1920년대 산미증식계획의 실시
2. 수리조합의 설치와 운영
Ⅳ. 식민지 농업경영과 식민지 근대 농업체제의 성격
1. 식민지 지주의 농업경영과 소작쟁의
2. 식민지 근대 농업체제의 성격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