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좋은부모 > 교육/학습 > 학교/학습법
· ISBN : 9791168271098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23-04-20
책 소개
목차
추천사
머리말_왜 공부 잘하는 아이들은 교과서를 공부할까?
1부 ◆ 교과서만 제대로 이해해도 12년 학교 공부는 문제없다
1장/ 공부에 관한 몇 가지 오해들
공부에 관한 몇 가지 오해들
문해력 낮은 아이, 교과서 공부에 답이 있다
•문해력을 교과력으로 옮겨오는 교과서 활용법
상위권 아이는 이렇게 공부한다
•교과력이 시험 성적을 좌우한다
공부 잘하고 싶다면 국어 교과서부터 시작하라
2장/ 교과서, 어디서부터 어떻게 공부할까?
교육과정과 학습 목표 이해하기
교과서 구성 요소 파악하기
교과서 연계 도서 활용하기
교과력을 높이는 4가지 방법
3장/ 초중고 12년의 교과서 공부 로드맵 그리기
초등 과목별 교과서 공부 방법
•국어 교과서 공부하기
•수학 교과서 공부하기
•사회 및 과학 교과서 공부하기
초중고 학년별 교과서 공부 방법
•초등 저학년: 흥미 키워주기
•초등 중학년: 읽기 습관 들이기
•초등 고학년: 교과력 민감성 높이기
•중학교: 어휘력 다지기
•고등학교: 출제 의도 읽어내기
2부 ◆ 초등 교과서 공부의 기술: 교과력 기초 내공 쌓기
4장/ 교과서 내용을 이해하지 못하는 초등 아이들
기초 문해력 높이는 읽기·쓰기 습관 만들기
초등 교실에서 만나는 교과력 부진아들
•초등 저학년 교실의 듣기 부진아들
•초등 고학년 교실의 읽기 부진아들
교과서의 중요 개념 공부법
5장/ 초등학교 학년별 특징과 교과력 높여주는 학습 포인트
초등 저학년의 특징: 온몸으로 학습하는 시기
•학습 포인트: 책 좋아하는 아이로 키우기
초등 중학년의 특징: 사회성 확립과 모둠 활동의 시작
•학습 포인트: 바른 글씨 쓰기 습관 익히기
초등 고학년의 특징: 논리력은 키우고 학업 부담은 낮춘다
•학습 포인트: 생활 습관 먼저 잡기
6장/ 초등학교 교육의 핵심과 부모 가이드
긍정적인 태도 키우기
효율적 시간 관리를 위한 루틴 잡기
초등 교육은 ‘엄마표’가 가능하다
3부 ◆ 중등 교과서 공부의 기술: 문해력을 교과력으로 옮기기
7장/ 중학교에서 상위권 성적을 유지하는 비결
공부 잘한다는 아이들이 왜 중학교에서 성적이 뚝뚝 떨어질까?
어휘력을 높여야 교과서에서 시험 문제가 보인다
디지털에 익숙해져 교과서를 읽지 못하는 아이들
8장/ 중학교 학년별 학습 포인트
중학교 1학년: 자유 학기 대비하기
중학교 2학년: 지필평가 대비하기
중학교 3학년: 고입 준비하기
9장/ 중학교 교육의 핵심과 부모 가이드
초등 생활 습관을 ‘학습 습관’으로 확장하기
재미 독서에서 ‘목적 독서’로 건너가기
수행평가의 팔 할은 글쓰기
4부 ◆ 고등 교과서 공부의 기술: 내신과 수능 완벽 대비: 교과력 완성하기
10장/ 내신 관리는 교과서 공부에서 시작된다
고등학교 때도 교과서 위주로 공부해야 하나요?
시험과 직결되는 고등학교 교과서 공부
내신 잘 받는 아이들이 수능도 잘 보는 이유
11장/ 고등학교 학년별 학습 포인트
고등학교 1학년: 고등학교 적응하기
고등학교 2학년: 선택과목 결정하기
고등학교 3학년: 대입 준비하기
12장/ 고등학교 교육의 핵심과 부모 가이드
공부 효율 높여주는 6가지 특급 비결
한 문제도 놓치지 않는 시험 시간 관리법
논술 대비하기
부록
‘한 학기 한 권 읽기’ 활용하기
주요 교과별로 초중고 학교급별 목표 확인하기
2025 고교 학점제 대비하기
맺음말_아이의 공부가 끝까지 흔들리지 않기를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교과서는 시간이 지날수록 필연적으로 대한민국 교육의 핵심 키워드로 자리잡고 있으며, 교직의 선생님들은 아이들이 교과서만 제대로 공부하면 좋은 성적을 얻을 수 있도록 커리큘럼을 짜고 시험을 출제합니다. 하지만 정보력이 부족한 대다수의 학부모님들은 이런 구체적인 정보를 모른 채, 여전히 아이 교육을 사교육에 맡기고 휘둘립니다.
_ ‘머리말’
상위권 아이들이 시험공부를 하기 위해 제일 먼저 펼치는 것은 문제집이나 요약된 정리본이 아니라 교과서입니다. 교과서의 내용과 수업 시간 필기했던 내용, 선생님이 나눠준 프린트물이 있다면 그것까지도 꼼꼼하게 공부합니다. 이 세 가지를 먼저 이해하고 공부한 뒤에도 시간이 남으면 그제야 문제집을 풉니다.
_ 1장 ‘거짓말인 줄 알았던 “교과서 위주로 공부했어요”’
교과서를 읽는다는 것은 독서하듯 책을 읽는다는 뜻이 아닙니다. 손에 필기구를 쥐고 교과서를 읽으면서 핵심이 되는 부분에 나름의 기준에 따라 동그라미, 세모, 네모, 밑줄 등의 여러 표시를 하면서 읽어야 한다는 뜻입니다. 중간중간 생각을 정리하거나 중요한 내용을 요약하기도 하면서요. 이렇게 능동적으로 읽어야 진정으로 교과서를 읽는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 구체적인 읽기 방법은 초중고에 걸쳐 국어 교과서에 상세히 제시됩니다.
_ 1장 ‘거짓말인 줄 알았던 “교과서 위주로 공부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