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세상 끝에서 부르는 노래

세상 끝에서 부르는 노래

(2023 현대경제신문 신춘문예 당선작)

박숲 (지은이)
청어
1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4,400원 -10% 2,500원
800원
16,1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세상 끝에서 부르는 노래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세상 끝에서 부르는 노래 (2023 현대경제신문 신춘문예 당선작)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한국소설 > 2000년대 이후 한국소설
· ISBN : 9791168551534
· 쪽수 : 264쪽
· 출판일 : 2023-05-08

목차

작가의 말…5

유서…12
레트로 가든…31
수상한 밥집…49
쉼표…65
거울로 가득한 방…79
기타 루시퍼…88
오해…108
클럽 비따비…146
버스킹 버스킹…155
손님…166
4인조 결성…174
침입자…196
비밀…209
만남…235
오디션…246
The end…253

저자소개

박숲 (지은이)    정보 더보기
홍익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 수료 2012 한국문인협회 《월간문학》 단편소설 당선 2021 전남매일 신춘문예 단편소설 당선 2021 단편소설집 『굿바이, 라메탈』 2022 아르코 문학창작 발표작 선정 2023 현대경제신문 신춘문예 장편소설 당선 2023 KBS 라디오 문학관 단편소설 선정
펼치기

책속에서

기타 ‘루시퍼’의 실체를 쫓는
스물일곱살 뮤지션의 반란

인식의 문이 닦여지면 인간에게는
모든 것이 선명하게 드러난다
*유서


나는 기적을 믿지 않는 대신 희망을 견딘다. 그편이 훨씬 안정적이란 걸 알기 때문이다. 원래부터 그랬던 건 아니다. 십 대의 마지막, 그 사건이 터진 이후부터였다.

처음 록에 빠졌던 그 시절, 나는 이단의 추종자처럼 ‘기적’을 열렬히 믿었다. 기타 치는 뮤지션으로 성공할 것이란 기적을 믿었고, 록커의 전설이 되는 기적과 록계의 거장들처럼 삶도 사랑도 열정적으로 살 것이란 기적까지, 믿어 의심치 않았다. 결정적으로 누구도 흉내 낼 수 없는 삶을 살다 스물일곱 살이 되면 장렬하게 죽으리라는 기적까지. 그것은 나뿐만 아니라 그 시절 밴드 리더였던 용주를 추종하던 친구들도 마찬가지였다.

‘짧고 굵게!’

어떻게 사는 게 굵은 건지 알 수 없었지만, 27년이 짧다는 건 누구나 알았다. 용주의 멋진 말투는 고교생이었던 많은 애에게 전염처럼 번졌다. 이유는 간단했다. 우리가 그토록 숭배했던 록계의 전설들이 모두 스물일곱 살에 죽었기 때문이다. 마치 약속이라도 한 듯. 브라이언 존스, 에이미 와인하우스, 짐 모리슨과 지미 핸드릭스를 비롯해 커트 코베인과 재니스 조플린, 그 외에도 많은 뮤지션이. 스물일곱이란 숫자는 수능의 압박감을 잠재울 만큼 강력한 최면제와도 같았다. 그 시절 우리에게 ‘27’은 신비에 가까운 상징의 숫자였다. 무엇보다 내가 가장 바랐던 기적은 ‘거침없는 자유’였다. 아버지의 그늘을 떠나 세상을 향해 맘껏 내달리고픈 자유. 푸른 풀밭 위를 질주하는 검은 말처럼!
용주가 들려줬던 록의 세계는 그 어떤 환각제보다 강렬했고, 나의 모든 삶을 뒤흔들어 놓기에 충분했다. 그 시절 밴드 활동을 시작한 건 아버지라는 거대하고 육중한 문을 열고 뛰쳐나갈 첫 번째 관문이었다. 그러나 그 기적은 오래 가지 못했다. 한여름 거친 소나기처럼 내 인생의 어느 한 지점을 순식간에 몰아치다 갑작스럽게 끝이 나고 말았다. 기적이란 함부로 말해서도 안 되고 바란다고 다 이뤄지는 것도 아니란 걸 세월이 흐른 지금에야 깨닫게 되다니 늦어도 한참 늦었다. 나는 끝내 아버지의 그늘에서 벗어날 수 없는 운명이란 걸 순순히 인정해야 했다. 이후 내가 기적 대신 희망을 견디며 살아온 건 당연한 귀결이었다. 더욱 최악은 움켜쥐었던 한 조각의 희망마저 부질없다는 것을 깨달은 것이다. 너무 늦었다.

이제,
엔딩을 연주할 시간이다.


생의 마지막 지점에서 당신이라면 무엇을 할까, 어떤 방식의 죽음이 당신을 가장 아프고 고통스럽게 할까, 당신의 일부인 내 몸을 흉하게 훼손한다면 당신은 괴로워할까, 이런 생각들을 하며 나는 꼼짝도 하지 않고 침대에 누워 있었다. 어젯밤부터 생라면을 안주 삼아 여러 병의 소주를 마셔서 그런지 구토가 올라오고 머릿속이 흔들렸다. 당신이 내게 휘두른 골프채 드라이버의 뭉툭한 부분이 어른거릴 때마다 어깨뼈가 움찔거리며 반응했다. 핏발 선 당신의 눈동자는 금방이라도 터질 것 같았다. 입에서 쏟아지던 날선 욕설들은 회장실 창문 유리를 모조리 부서뜨릴 기세였다. 비굴한 모습으로 당신의 매를 견디던 장면이 끊이지 않는 파노라마처럼 재생되었다.
체크아웃을 알리는 전화가 걸려왔다. 한 시간쯤 지나자 모텔 주인인지 종업원인지 눈이 작고 턱이 뾰족한 사내가 문을 두드렸다. 나는 숙박을 연장하겠다며 방값을 현금으로 건넨 뒤 사내를 돌려보냈다. 한두 시간쯤 지나 사내가 다시 문을 두드렸다. 청소를 하고 세면도구를 갈아주겠다며 내 표정을 살피는 기색이었다. 술 냄새를 풍기며 방 안에만 처박힌 내가 이상하게 보였던 걸까. 방 안을 자꾸 기웃거렸다. 나는 그의 손에 들린 세면도구를 받은 뒤 청소할 필요 없다고 문을 닫았다. 침대에 다시 걸터앉아 잔인하게 죽는 방법이 뭘까 궁리했다. 방법이 문제였다. 핑계 같지만 방법을 찾지 못해 죽음을 미루는 중이다.
당신은 쥐새끼만큼 하찮던 내가 갑자기 돌변하여 달려든 것에 아직도 분노를 가라앉히지 못하고 있겠지. 이를 갈며 가장 튼튼한 골프채를 골라 윤이 나도록 닦고 있을 테지. 당신은 내가 시체로 발견된다 해도 눈 한 번 깜빡이지 않을 것이고, 내가 벌여놓은 일을 처리하는 데에만 골몰하겠지. 죽기 전 어떤 방식으로든 당신을 처참하게 짓밟고 싶다는 욕망이 소다수 거품처럼 끓어올랐다. 회사를 뛰쳐나오기 하루 전까지만 해도 나는 당신에게 인정받고 싶은 욕구로 가득했다. 그러면서도 나를 무시하고 짓밟아 대는 당신을 보면 분노와 증오를 가라앉히느라 곤죽이 되곤 했다.
습관처럼 손톱깎이를 꺼내어 손톱과 발톱을 잘랐다. 오랫동안 지니고 다녔던 손톱깎이다. 나는 손톱이 조금만 자라도 견디질 못했다. 고교 시절 기타를 치면서 생긴 버릇이었다. 기타를 칠 때 왼쪽 손톱이 길면 소리를 제대로 낼 수 없기 때문이다. 기타를 치지 않은 지 꽤 오랜 시간이 흘렀지만 손톱깎이는 내게 여전히 중요한 물건이었다. 의자에 몸을 묻고 손톱깎이를 만지작거렸다. 아무런 장식도 없는 단순한 디자인. 어디서나 흔히 볼 수 있는 평범한 물건.
어떤 사물의 기억은 때로 하나의 생명처럼 저절로 자라났다. 이 손톱깎이처럼. 강제로 닫아버린 기억과 떠밀리듯 도달한 현재의 나 사이에서 야생식물처럼 자라난 기억들. 그런 기억들은 돌볼 틈도 없이 저절로 자랐고, 또 다른 어떤 기억들은 수시로 잘라내어도 종양처럼 파고들어 기어코 기억에 뿌리를 내리기도 했다. 그런 기억들은 손톱이 밀려 나올 틈도 없이 손톱깎이의 날을 살 틈으로 밀어 넣어 피를 보고야 마는 무자비함으로 대했다. 이 손톱깎이는 좋은 기억과 잘라버리고 싶은 기억이 공존했다. 그런데도 지금까지 버리지 못한 이유를 모르겠다. 손톱깎이란 사실 따지고 보면 별것도 아닌 물건이었다. 기타를 치는 사람이면 누구나 필수품인 물건. 그러나 ‘27클럽’ 이니셜을 새겨 넣은 순간 더 이상 평범한 물건이 아닌 특별한 물건이 되었다. 이제는 닳고 닳아 이니셜 자국이 희미해진 손톱깎이. 날개를 접었다 폈다를 반복하며 한참 동안 손톱깎이를 들여다보았다.

‘27club, forever!’

이니셜을 새긴 손톱깎이를 밴드 멤버들에게 나눠줬던 소라는 어디서 무얼 하며 지낼까. 여전히 기타를 치기 위해 손톱을 짧게 자르고 있을까. 어느 시점에서 멈췄던 기억들이 맹렬한 속도로 올라오기 시작했다. 27클럽 멤버들과의 기억과 함께 도어스의 ‘The end’가 머릿속으로 소나기처럼 쏟아졌다. 용주 때문에 즐겨듣고 기타와 노래를 커버했던 음악. 한 번 떠올리기 시작한 음악은 점점 고조되듯 머릿속을 휘젓다가 심장으로 깊이 스며들었다.

This is the end, beautiful friend 이게 끝이야, 아름다운 친구
……
Of everything that stands, the end 서 있는 모든 것들, 끝이야

‘The end’ ‘종말’이라니! 이 얼마나 멋진 말인가. 그 당시에도 예감했던 미래, 지금의 현재 상황과 딱 어울리는 노래. 죽음과 동시에 내가 속한 세상은 완벽한 종말을 맞을 것이다. 짐 모리슨의 몽환적 목소리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표현한 가사와 절묘하리만치 잘 어울렸다. 그동안 음악과 관련된 것들은 의식적으로 차단하며 살았다. 그런데도 의식 저 아래 깊은 곳에서 음악의 알갱이들이 물방울처럼 소리 없이 흐르고 있었던 걸까.
참았던 울음처럼 음악에 대한 그리움이 강한 파동을 몰고 왔다. 진정할 수 없을 만큼 가슴이 떨렸다. 그동안 이토록 강렬한 감정을 억누를 수 있었던 힘은 무엇이었을까. 억압이 개인의 감정까지 통제하는 힘을 갖고 있는 건 분명했다. 음악적 감성에 젖기 시작하자 내가 알고 있던 음과 리듬들이 동시다발로 밀려들었고, 오랫동안 기억의 소환을 기다렸다는 듯 용주와 소라의 얼굴이 선명하게 떠올랐다. 문득 그들의 소식이 궁금했다. 두 사람은 어떻게 지내고 있을까. 죽음의 경계에서 몰래 꿈꿔왔던 것들이 한꺼번에 몰려오는 것은 정상인가. 그들은 어떤 식으로 과거의 기억들을 다스리고 있을지 궁금했다. 노래를 부를 때마다 눈동자에 빛을 내던 소라. 일렉기타의 현을 자유롭게 타고 놀던 용주의 하얗고 긴 손가락.
억눌린 기억의 봉인이 해제되자, 마치 대자연의 온갖 소리와 향기와 감촉들이 일시에 깨어나 각자의 음색으로 연주를 하듯 혼란의 늪으로 빨려들었다. 가슴이 북을 치듯 둥둥 소리를 냈다. 나도 모르게 손톱깎이를 세게 쥐었고 날의 뾰족한 부분이 손바닥을 찔러 피가 맺혔다. 정신이 번쩍 들었다.
“에잇 집어쳐! 음악 따위가 뭐라고!”
먼지를 품은 채 눈치를 보던 사물들이 깜짝 놀라 일시에 몸을 떨었다.
“다 끝장인 마당에, 빌어먹을!”
침대에 풀썩 주저앉아 집게손가락에 난 상처 부분을 꾹 눌렀다. 선명한 핏방울이 이슬처럼 손끝에 대롱거렸다. 점점이 떨어지는 핏방울을 보자 기분이 묘했다. 아직 내가 살아있다는 것을 가장 명징하게 증명해주는 물질. 티슈를 뽑아 피가 흐르는 손끝을 꾹 눌렀다. 죽기 전엔 모든 것이 간절해지는 건가. 그동안 웅크리고 있던 생의 에너지가 죽음 앞에서 필사적 대결을 벌이는 것 같았다. 휴대전화 메모장을 켜 ‘죽는 방법들’에 대해 적어둔 메모를 들여다보았다. 고통은 적게, 사후의 모습은 끔찍하게. 기왕이면 우아하고 깔끔한 결말이면 좋겠지만, 당신을 손톱만큼이라도 고통받게 하려면 끔찍한 방법이 최선이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