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사/불교철학
· ISBN : 9791168690028
· 쪽수 : 856쪽
· 출판일 : 2022-05-20
책 소개
목차
간행사 _4
서문 _9
일러두기 _12
1. 고구려 초전불교의 공인과 그 의미………………………… 김두진•23
1. 머리말 / 26
2. 고구려의 초전 격의불교 / 27
3. 불교의 공인과 그 신앙 / 34
4. 공인불교의 전개와 역사적 의미 / 41
1) 공인불교의 전개_ 41
2) 불교 공인의 역사적 의미_ 47
5. 맺는말 / 53
2. 백제불교에 관한 제문제………………………………………… 안계현•61
1. 서언 / 64
2. 법화불교의 전래와 그 전개 / 64
1) 현광玄光의 전기_ 64
2) 혜현惠現의 『법화경』 독송_ 70
3) 발정發正의 관세음 영험_ 71
4) 실천불교로서의 법화法華_ 71
3. 『열반경涅槃經』의 연구와 계율불교의 전개 / 74
1) 『열반경』에 대한 관심과 연구_ 74
2) 겸익謙益의 율장장래律藏將來_ 81
3) 백제불교의 계율주의적 성격_ 83
3. 안홍과 신라불국토설……………………………………………… 신종원•85
1. 서언 / 88
2. 안홍安弘의 생존 연대와 유학 시기 / 89
3. 안홍의 저작著作 / 95
4. 신라불국토설의 전개 / 102
5. 결언 / 109
4. 신라에서 이룩된 금강삼매경-그 성립사적 검토… ……… 김영태•113
머리글 / 116
Ⅰ. 출경出經 연기설화緣起說話를 통한 구명 / 118
1. 설화의 내용과 문제점 _ 118
2. 용궁비장龍宮秘藏의 출경이 뜻하는 것 _ 122
3. 전차철봉銓次綴縫과 찬소강석撰疏講釋이 보여 주는 것 _ 126
Ⅱ. 경록사적經錄史的 검토 / 130
1. 제경록상의 『금강삼매경』 _ 130
2. 습유拾遺 입장경入藏經으로서의 문제점 _ 136
Ⅲ. 경설經說 내용을 통한 입증 / 140
1. 경설상에서의 성립 시기 추정 _ 141
2. 신라 성립경成立經으로서의 특징 _ 147
3. 위경僞經 및 집성자 문제 _ 155
맺음말 / 161
5. 정중종의 법계와 그 선사상… ………………………………… 김진무•163
Ⅰ. 서언 / 166
Ⅱ. 정중종淨衆宗의 법계 / 167
Ⅲ. 정중종의 선사상 / 172
1. 무상無相의 수계의식授戒儀式 _ 172
2. ‘무억無憶·무념無念·막망莫妄’의 삼구三句 _ 178
3. 종밀宗密의 정중·보당종 비판 _ 185
Ⅳ. 결어 / 191
6. 상산 혜각이 중국불교에 끼친 영향………………………… 여성구•195
Ⅰ. 머리말 / 198
Ⅱ. 생애 / 199
1. 탑비의 현황과 서문 _ 199
2. 입당 전의 행적 _ 202
3. 입당 후의 행적 _ 206
Ⅲ. 사상 / 214
1. 『유가사지론』과 『능가경』 _ 214
2. 돈오頓悟와 무념無念 _ 219
3. 일각지지一覺之知 _ 226
Ⅳ. 영향 / 235
1. 중생제도와 사회 교화 _ 235
2. 하택종의 계승과 전법 _ 245
Ⅴ. 맺음말 / 255
7. 신라 화엄학승의 계보와 그 활동… ………………………… 김상현•259
Ⅰ. 머리말 / 262
Ⅱ. 의상義相의 전교傳敎와 십대제자 / 264
1. 의상의 전교 _ 264
2. 원효의 화엄학에 미친 의상의 영향 _ 266
3. 의상의 십대제자 _ 271
Ⅲ. 신림神琳과 그 제자들 / 282
1. 부석적손浮石嫡孫 신림 _ 282
2. 신림의 제자들 _ 284
Ⅳ. 법융法融의 『십구장十句章』 저술과 그 제자들 / 289
1. 법융과 『십구장』 _ 289
2. 법융의 제자들 _ 297
Ⅴ. 순응順應의 해인사 창건 / 299
1. 순응의 해인사 창건 _ 299
2. 해인사의 화엄학승華嚴學僧 _ 302
Ⅵ. 비의상계非義相系의 화엄승 / 306
1. 법장法藏의 제자들 _ 306
2. 명효·견등지·표원 _ 308
3. 오대산 및 천관산天冠山의 화엄승 _ 311
4. 연기緣起의 화엄사 창건 _ 314
5. 그 밖의 화엄승 _ 317
Ⅶ. 화엄학승 간의 갈등과 남·북악의 분열 / 319
1. 의상계와 법장계의 갈등 _ 319
2. 남·북악의 분열 _ 325
3. 남·북악 화엄교학의 차이 _ 328
Ⅷ. 맺는말 / 330
8. 8세기 화엄교학과 화엄사찰…………………………………… 정병삼•335
머리말 / 338
1. 십대제자와 전교십찰傳敎十刹 / 340
2. 8세기 화엄학과 부석사浮石寺 / 354
3. 화엄사華嚴寺의 화엄학 / 360
맺음말 / 368
9. 신라 하대 화엄의 일례–오대산 사적을 중심으로…………… 김복순•375
Ⅰ. 서론 / 378
Ⅱ. 만당晩唐과 신라 하대의 불교계 / 380
Ⅲ. 신라 하대 화엄의 일례 / 388
1. 오대산 사적五臺山事蹟의 시대 배경 _ 388
2. 신라 하대 황룡사승皇龍寺僧의 지방으로의 세력 확대 _ 402
Ⅳ. 결론 / 410
10. 대각국사 의천의 불교사적 위치…………………………… 최병헌•415
Ⅰ. 머리말 / 418
Ⅱ. 의천義天의 불교 종파와 핵심과제 / 420
Ⅲ. 화엄종·법상종法相宗의 대립과 성상겸학설 / 426
Ⅳ. 천태종의 창립과 교관병수설敎觀幷修說 / 432
Ⅴ. 맺는말-의천의 불교사적 위치 / 442
11. 의천의 불교교단 통합과 그 추이…………………………… 채상식•447
1. 머리말 / 451
2. 의천의 출신 종파 / 453
3. 의천의 사상적 기반과 특징 / 461
4. 천태종 개창과 불교통합 시도 / 470
1) 고려 초의 불교통합 움직임 _ 470
2) 천태종 개창과 추이 _ 473
5. 맺는말 / 482
12. 고려시대 가지산문의 전개 양상과 조계종의 위상……… 김상영•487
Ⅰ. 머리말 / 490
Ⅱ. 가지산문의 분화分化 / 495
Ⅲ. 가지산문의 중흥 / 505
1. 원응 학일圓應學一과 운문사雲門寺 _ 505
2. 13세기 선문결속의 강화와 가지산문 _ 516
3. 가지산문계 선승과 보각 일연普覺一然 _ 522
Ⅳ. 14세기 선문의 쇠퇴 및 가지산문의 동향 / 528
Ⅴ. 맺음말-가지산문의 불교사적 위상 / 532
13. 고려 밀교 신앙의 전개와 그 특성………………………… 서윤길•535
Ⅰ. 서언 / 538
Ⅱ. 왕실의 밀교 신앙과 그 외호책 / 539
Ⅲ. 총지종摠持宗과 신인종神印宗 / 548
1. 총지종의 성립과 그 신앙 _ 548
2. 신인종의 성립과 그 신앙 _ 554
Ⅳ. 밀교적 제종의례諸種儀禮 / 557
1. 인왕도량仁王道場 _ 557
2. 금광명도량金光明道場 _ 561
3. 여타의 밀교 도량 _ 565
Ⅴ. 밀교 신앙의 고려적 특성 / 568
Ⅵ. 결어 / 572
14. 고려 후기 수선사의 결사운동과 사상적 위상에 대한 재검토…조명제•573
머리말 / 576
Ⅰ. 수선사 결사운동에 대한 재검토 / 579
Ⅱ. 수선사의 공안선 수용과 사상적 위상 / 588
Ⅲ. 송대 문화의 수용과 수선사의 위상 / 599
맺음말 / 612
15. 『삼국유사』의 고승과 성사 이해–일연의 역사인식과 관련하여… 고영섭•615
Ⅰ. 서언 / 620
Ⅱ. 일연의 신이사관神異史觀과 ‘성聖’ 관념 인식 / 622
Ⅲ. 고승으로서 성사의 정의와 의미 / 630
Ⅳ. 고승으로서 성사의 유형과 역할 / 638
1. 은사·일사의 삶 _ 639
2. 풍류 도인의 삶 _ 644
3. 국사·왕사의 삶 _ 650
Ⅴ. 문화 영웅과 사회적 리더로서 고승 성사 이해 / 656
Ⅵ. 결어 / 660
16. 고려 말 나옹 문도와 오대산 중흥불사…………………… 황인규•665
Ⅰ. 머리말 / 670
Ⅱ. 고려 후기 오대산의 고승과 사적 / 672
1. 고려 후기 사적 편찬과 대장경 봉안 _ 672
2. 고려 말 나옹과 문도들의 불사 _ 676
Ⅲ. 조선 초기 나옹 문도들의 중흥불사 / 681
1. 조선 초 나옹 문도들의 불사 _ 682
2. 세조의 삼화상과 왕실의 상원사 중창불사 _ 686
Ⅳ. 맺음말 / 693
17. 조선시대의 승직僧職제도……………………………………… 이봉춘•701
Ⅰ. 머리말 / 704
Ⅱ. 선초鮮初 배불책排佛策과 승직의 변천 / 706
1. 고려 승직제도의 계승 _ 706
2. 양종판사兩宗判事 제도의 시행 _ 709
3. 승과僧科·법계法階·승직의 폐지 _ 715
Ⅲ. 임란壬亂 이후의 새로운 승직 / 719
1. 도총섭都摠攝 제도의 발생 _ 720
2. 총섭總攝의 확대와 유형 _ 724
3. 규정소糾正所 제도와 그 기능 _ 729
Ⅳ. 조선불교 승직의 성격(맺음) / 733
18. 벽송 지엄의 신자료와 법통 문제…………………………… 고익진•737
1. 벽송 지엄碧松智嚴의 사적史的 위치 / 740
1) 사상의 면에서 _ 740
2) 법계法系의 면에서 _ 743
2. 신자료新資料의 내용 / 747
1) 훈몽요초訓蒙要抄 _ 747
2) 염송화족拈頌畵足 _ 749
3) 조원통록촬요발문祖源通錄撮要跋文 _ 751
3. 조선시대 전법의 이중구조 / 752
1) 보조선普照禪의 계승 _ 752
2) 임제적통臨濟嫡統의 표방 _ 755
19. 청허 휴정과 조선 후기 선과 화엄…………………………… 김용태•759
Ⅰ. 머리말 / 764
Ⅱ. 청허 휴정의 선교 인식 / 767
Ⅲ. 임제법통과 간화선풍의 계승 / 773
Ⅳ. 선교겸수와 화엄교학의 전통 / 780
Ⅴ. 맺음말 / 790
20. 조선 후기 불교 사기私記 집성의 현황과 과제………… 이종수•795
1. 서론 / 798
2. 사기私記의 성립과 종류 / 800
3. 사기私記 집성과 편찬의 과제 / 808
1) 사기의 수집과 계통 파악의 어려움 _ 808
2) 사기의 탈초와 편찬의 문제점 _ 814
4. 결론 / 819
21. 일제하 한국불교계의 독립운동 전개와 성격………… 김광식•823
1. 서언 / 826
2. 독립운동과 불교 / 827
3. 불교계 독립운동의 전개와 유형 / 832
1) 항일투쟁의 노선 _ 833
2) 저항의 노선 _ 838
3) 전통 수호의 노선 _ 843
4) 극복의 노선 _ 845
4. 불교계 독립운동의 성격 / 849
5. 결어 / 852
편저자 소개 _855
저자소개
책속에서
저자는 고구려는 신라에 견주어 불교가 일찍 전래되었지만 그러한 사정이 자세히 전하지 않는다며 신라의 초전불교가 공인되는 과정에 대한 이해를 통해 고구려에 처음 전래된 초전불교와 그 후의 공인불교의 성격을 각기 끌어내고 있다. 소수림왕 때에 순도가 고구려에 처음으로 불교를 전하였다고 하지만, 승려 망명亡名은 중국 동진 때의 학승이자 격의불교의 우두머리인 지둔 법사 도림(?~366)과 서신을 주고받았던 사실을 통해 고구려에 초전된 불교는 도교의 ‘무위’로써 불교의 공관을 이해하려던 중국의 격의불교를 충분히 이해하였다고 보았다.
왕실 중심으로 수용되어 있던 초전불교를 귀족에게까지 포교弘布하면서 국가불교로 성립시킨 것이 불교 공인이다. 담시의 전래전승에서는 비록 왕실과의 관련이 잘 드러나지 않을지라도 순도가 왕실과 연결되었던 것은 바로 초전불교의 모습으로 보아야 한다. 순도와 담시의 전래전승 속에는 공인불교의 모습도 나타나 있다. 담시가 중국 남방불교 신앙과 연결되었던 점은 아무래도 공인불교 신앙의 모습을 생각하게 한다. 왕실과는 달리 불교 수용에 반대한 귀족들은 신이한 성격의 토착신앙에 익숙하였다. 초전불교를 수용하려던 왕실은 토착신앙을 애써 고수하지 않았다. 그러고 보면 초전불교는 토착신앙을 대체하려는 성격을 지닌다. 불교 공인은 귀족들에게까지도 만족할 만한 신앙을 홍포하기 위해 귀족의 구미에 어울리는 성격을 지니기 마련이다.
저자는 법화불교의 전래와 그 전개를 현광의 전기와 혜현의 법화경 독송, 발정의 관세음 영험, 실천불교로서의 법화로 살피고 있다. 이어 저자는 중국에서실천불교로서 법화가 혜사와 그 후계자 지의에 의해 크게 일어나고 있을 때, 백제의 현광과 지의가 서로 전후하여 혜사의 문하에서 「안락행문」을 닦아 법화삼매를 증득하고 위덕왕 대 후반기에 백제로 귀국하여 교화에 힘쓴 과정을 밝히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