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사/불교철학
· ISBN : 9791168690035
· 쪽수 : 488쪽
· 출판일 : 2022-05-17
책 소개
목차
추천사 … 5
머리말 … 7
제1장 붓다의 입멸에 관한 문헌 … 17
1. 초기불교 문헌 … 19
1) 『마하빠리닙바나 숫따(Mahāparinibbāna Sutta )』 … 20
2) 『마하빠리닙바나 숫따』와 상응하는 빠알리(Pāli) 경전 … 31
3) 『위나야(Vinaya )』의 『쭐라왁가(Cullavagga )』 … 38
4) 한역 『열반경(涅槃經)』 … 44
5) 한역 율장(律藏) … 51
6) 요약 및 논의 … 58
2. 부파불교 문헌 … 60
1) 『마하빠리닙바나 숫따』와 상응하는 부파불교 문헌 … 61
2) 『밀린다팡하(Milindapanhā )』 … 63
3) 『슈망갈라윌라시니(Sumaṅgalavilāsinī )』 … 66
4) 『찬집백연경(撰集百緣經)』 … 67
5) 『아비달마대비바사론(阿毘達磨大毘婆沙論)』 … 68
6) 『선견율비바사(善見律毘婆沙)』 … 70
7) 『비니모론(毘尼母論)』 … 73
8) 요약 및 논의 … 77
3. 대승불교 문헌 … 79
1) 『불소행찬(佛所行讚)』‧『불본행경(佛本行經)』 … 81
2) 『대승열반경(大乘涅槃經)』의 성립과 판본 … 88
3) 한역 〈열반부(涅槃部)〉 경전 … 93
4) 『대승열반경』 3대본(大本)과 『대반열반경후분』 … 107
5) 열반부 경전의 주석서 … 144
6) 요약 및 논의 … 151
제2장 붓다의 마지막 공양 … 153
1. 수까라맛다와(sūkaramaddava)에 관한 견해 … 155
2. 초기불교의 견해 … 159
1) 쭌다(Cunda)에 관한 견해 … 159
2) 『마하빠리닙바나 숫따』 … 161
3) 한역 『유행경』과 아함부 『열반경』 … 164
4)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잡사』 … 169
3. 부파불교의 견해 … 171
1) 쭌다에 관한 견해 … 171
2) 『밀린다팡하』 … 172
3) 『슈망갈라윌라시니』 … 177
4) 『아비달마대비바사론』 … 181
4. 대승불교의 견해 … 185
1) 쭌다에 관한 견해 … 185
2) 붓다의 마지막 공양에 관한 견해 … 187
3) 이종시식(二種施食)의 평등과보(平等果報) … 193
5. 요약 및 논의 … 199
제3장 붓다의 수명(壽命) … 203
1. 초기불교의 견해 … 207
1) 붓다의 수명 … 207
2) 붓다의 수명 연장과 포기 능력 … 208
2. 부파불교의 견해 … 214
1) 붓다의 수명 … 214
2) 붓다의 수명 연장과 포기 능력 … 221
3. 대승불교의 견해 … 242
1) 이종(二種) 불신관(佛身觀) … 242
2) 붓다의 수명 … 247
3) 붓다의 무량한 수명 … 253
4. 요약 및 논의 … 259
제4장 붓다의 입멸과 사후 존속 … 261
1. 초기불교의 견해 … 264
1) 붓다의 입멸(入滅)에 관한 견해 … 264
2) 붓다의 사후 존속에 관한 견해 … 274
2. 부파불교의 견해 … 279
1) 『밀린다팡하』 … 279
2) 『슈망갈라윌라시니』 … 281
3) 『아비달마대비바사론』 … 283
3. 대승불교의 견해 … 300
1) 붓다의 입멸 선언 … 300
2) 법신상주(法身常住)와 불입열반(不入涅槃) … 309
3) 열반(涅槃)의 상락아정(常樂我淨) … 316
4) 일체중생 실유불성(一切衆生悉有佛性) … 323
4. 요약 및 논의 … 330
제5장 붓다의 교단 유훈 … 333
1. 초기불교의 견해 … 335
1) 비구의 불퇴법(不退法) … 337
2) 자주(自洲)‧법주(法洲) … 343
3) 법(法)‧율(律)에 관한 유훈 … 349
4) 붓다의 마지막 유훈 … 359
5) 성지 순례와 사리탑 공양 … 370
6) 대가섭에 관한 제(諸) 해석 … 380
2. 부파불교의 견해 … 386
1) 『밀린다팡하』 … 386
2) 『슈망갈라윌라시니』 … 387
3) 『아비달마대비바사론』 … 393
3. 대승불교의 견해 … 402
1) 불멸 후 교단의 위기 상황 … 402
2) 법‧율에 관한 견해 … 409
3) 붓다의 마지막 유훈 … 416
4) 호법(護法)을 위한 대승 계율 제정 … 420
5) 사리 공양과 사리탑 건립 … 433
6) 일천제(一闡提)의 성불(成佛) … 437
4. 요약 및 논의 … 455
‧약어 … 458
‧참고문헌 … 459
‧찾아보기 … 483
저자소개
책속에서
붓다의 입멸(入滅)에 관한 초기불전은 빠알리(Pāli)와 한역(漢譯) 『열반경(涅槃經)』과 율장(律藏)이 있다. 우선, 빠알리본 『열반경』은 『디가 니까야(Dīgha Nikāya)』에 있는 『마하빠리닙바나 숫따(Mahāparinibbāna Sutta』)이다. 이 경전의 내용과 부분적으로 일치하는 경(經)들은 5부(部) 니까야(Nikāya)에 다양하게 수록되어 있다. 빠알리 율장, 『위나야(Vinaya)』는 『마하왁가(Mahāvagga , 大品)」와 『쭐라왁가(Cullavagga , 小品)』에서 『마하빠리닙바나 숫따』와 일치하는 경문들을 볼 수 있다. 그러나 붓다의 입멸에 관련된 내용은 『쭐라왁가』에만 나타난다.
붓다의 입멸에 관한 초기불교 문헌 고찰에서 주목한 점을 다섯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는 『마하빠리닙바나 숫따』의 성립 의도이다. 5부 니까야(Nikāya)에서 붓다의 입멸 전후의 에피소드를 상세하게 서사하고 있는 유일한 경전이다. 붓다의 죽음을 알리기 위한 목적으로 이 경전이 성립된 것이 아니다. 붓다의 입멸이라는 충격적인 현실에 당면하여, 『마하빠리닙바나 숫따』는 붓다의 본질과 열반의 의미, 불멸 후 교단 유지의 문제에 대해 직시하고 있다. 『마하빠리닙바나 숫따』의 성립을 통하여, 위대한 붓다와 그 가르침‧불교의 수행체계를 알리고자 한 것이다.
둘째, 『마하빠리닙바나 숫따』의 성립은 불타관과 열반관 전개에 도화선이 되었다. 붓다의 입멸에 관한 『마하빠리닙바나 숫따』의 견해가 불교도들의 공감을 얻지 못하여, 초기불교에서부터 재해석되기 시작한 것이다. 붓다의 입멸을 둘러싼 이견은 결국 붓다의 본질‧열반에 관한 문제이다. 대승불교에서 확립된 불타관과 열반관의 근거는 초기불전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초기불전은 대가섭을 붓다의 후계자와 같은 위상과 권위를 부여하였다. 대가섭이 오지 않아 붓다의 다비 점화가 되지 않았다는 등의 에피소드는 대가섭을 주인공으로 하고 있다. 사실상 그를 붓다의 후계자로 추대한 것이다.
넷째, 『비나야잡사』를 제외한 율장들은 제1차 결집의 기사(記事)로서, 붓다의 입멸 사실을 언급했을 뿐이다.
다섯째, 『유행경』의 법신‧대승, 『비나야잡사』의 여래법신‧사무량심 등 대승불교 용어도 이미 초기불교에서 나타났다.
붓다의 입멸에 관한 대승불교 문헌의 가장 큰 특징은 불타관과 열반관이다. 우선, 『대승열반경』에서는 붓다의 입멸이 일어나지 않음으로써, 법신상주와 상주열반을 상징적으로 표현하였다. 불입열반(不入涅槃)은 붓다의 입멸로 인하여 야기된 논란거리 자체를 없애 버렸다. 등장인물과 에피소드를 전적으로 재해석하여 대승을 강조하고, 초기 『열반경』의 한계를 초월하였다. 이것은 붓다의 입멸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가, 불멸 후 교단 유지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에 대한 『대승열반경』의 답변이다. 여기에 대승불교에서 초기불교와 똑같은 경명(經名)의 『대반열반경』을 성립한 의도가 있다.
둘째, 『대승열반경』 내에서도 사상과 내용의 변화가 나타난다. 『6권본』의 등장인물과 내용이 대본 2경에서 재해석되고 발전된 사상으로 확립된다. 『6권본』에서 제정된 계율, 일천제와 일체중생 실유불성에 대한 견해가 『북본』과 『남본』에서 발전적으로 재해석되었다. 『6권본』을 〈원시대승열반경〉으로 상정할 수 있는 근거이다. 그리고 『북본』과 『남본』은 권수(卷數)와 품명(品名)의 차이가 있을 뿐, 내용의 구성은 서로 일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