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 문학
· ISBN : 9791168690325
· 쪽수 : 492쪽
· 출판일 : 2023-08-2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부 은사문화
<들어가는 글>
1. 화양 땅의 진상품(華陽 持贈物)
2. 은사 문화
3. 은사 칭호
4. 은사의 별칭
5. 은사의 생활
6. 은사의 풍류
7. 은사와 정원
8. 도연명과 소나무
9. 은사의 심미관
10. 은사의 자연관
11. 은사와 시가
12. 벼슬이냐 은거냐?
13. 물질적 가난과 정신적 풍요
14. 은사의 정신세계
15. 은사의 생사관
2부 풍류
<들어가는 글>
1. 유상곡수(流觴曲水)
2. 소리 없는 음악-도연명의 몰현금
3. 황희 정승의 반구정 풍류
4. 풍류-생명의 새로운 공간
5. 구문소자-구양수의 글과 소동파의 글씨
6. 향내음을 귀로 듣다
7. 당 태종과 <난정서>
8. 소동파 누이동생의 풍류
9. 휘종 황제의 화제(畫題)
10. 대구(對句)를 완성하다
11. 증점의 풍류
12. 왕발의 <등왕각서>
3부 귀거래사
<들어가는 글>
1. 만학삼경(萬壑三境)
2. 완월(玩月)의 미학
3. 낮잠
4. 삶의 기준
5. 봄날-냉이향
6. 봄날-매화
7. 여름날-계룡산
8. 여름날-청산녹수
9. 가을날-추월
10. 철쭉을 옮겨 심다
11. 겨울날-밤과 토란
12. 겨울날-물외(物外)
13. 겨울밤-<십재경영>
14. <노자>를 읽다가
15. 호접몽
4부 산거잡흥
<들어가는 글>
1. 산거삼락(山居三樂)-산속에 사는 세 가지 즐거움
2. 시래기국
3. 뻐꾸기
4. 녹음
5. 단풍
6. 나목
7. 나무
8. 소나무
9. 나무한테 배운다
5부 귀원전거
<들어가는 글>
1. 전원
2. 덧없음에 대하여
3. 당마루
4. 모란
5. 정원
6. 원예
7. 남새밭
8. 씨앗
9. 연꽃
10. 고향 가는 길
11. 전지
6부 전원만필
<들어가는 글>
1. 산수의 세계-금강산 물
2. 산수의 세계-어부
3. 역관역은(亦官亦隱)
4. 사이비 은사
5. 백로
6. 시정화의
7. 81세의 봄
8. 81세의 여름-농번기
9. 81세의 가을
10. 81세의 겨울
끝내는 말
저자소개
책속에서
은사문화
시간을 초월한 은사들의 고요한 ‘산정일장(山靜日長, 고요한 산속 해가 긴 하루)’의 삶에서는 하루가 일 년 같은 긴 시간일 수도 있고 10년이 달리는 천리마가 문틈을 지나는 순간일 수도 있다. 달리 말하면 하루를 살아도 영겁의 영원을 산 삶일 수 있고 천년의 장수도 한순간일 수 있다.
은사의 심미관
은사 문화의 심미관(審美觀)은 본성에 부합하는 본래 그대로의 ‘참됨’을 가장 중요한 가치로 여긴다. 그리고 은사들의 심미 준칙은 평범함 속의 매력을 최고의 아름다움으로 삼는다. 은사 문화의 심미관을 다시 풀어서 말하면 한마디로 ‘자연미’라고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단순미·소박미를 은사들은 높이 평가한다. ‘심미’란 아름다움의 본질을 궁구해 밝혀내는 것이다. 아름다움은 인간의 마음을 여유롭게 해주고 삶을 역동적으로 이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