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은둔의 미학

은둔의 미학

이은윤 (지은이)
민족사
3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1,500원 -10% 0원
1,750원
29,7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은둔의 미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은둔의 미학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 문학
· ISBN : 9791168690325
· 쪽수 : 492쪽
· 출판일 : 2023-08-25

책 소개

중앙일보 종교담당 대기자로 유명한 이은윤 선생이 코로나로 시골에 칩거할 수밖에 없었던 시기에 고향 집에 내려가 자연과 벗하면서 고전을 읽고, 농사를 짓는 전원생활에서 저자의 사색, 사유세계를 건져 올린 현대판 은사(隱士)의 고품격 에세이집이다.

목차

머리말

1부 은사문화

<들어가는 글>
1. 화양 땅의 진상품(華陽 持贈物)
2. 은사 문화
3. 은사 칭호
4. 은사의 별칭
5. 은사의 생활
6. 은사의 풍류
7. 은사와 정원
8. 도연명과 소나무
9. 은사의 심미관
10. 은사의 자연관
11. 은사와 시가
12. 벼슬이냐 은거냐?
13. 물질적 가난과 정신적 풍요
14. 은사의 정신세계
15. 은사의 생사관

2부 풍류

<들어가는 글>
1. 유상곡수(流觴曲水)
2. 소리 없는 음악-도연명의 몰현금
3. 황희 정승의 반구정 풍류
4. 풍류-생명의 새로운 공간
5. 구문소자-구양수의 글과 소동파의 글씨
6. 향내음을 귀로 듣다
7. 당 태종과 <난정서>
8. 소동파 누이동생의 풍류
9. 휘종 황제의 화제(畫題)
10. 대구(對句)를 완성하다
11. 증점의 풍류
12. 왕발의 <등왕각서>

3부 귀거래사

<들어가는 글>
1. 만학삼경(萬壑三境)
2. 완월(玩月)의 미학
3. 낮잠
4. 삶의 기준
5. 봄날-냉이향
6. 봄날-매화
7. 여름날-계룡산
8. 여름날-청산녹수
9. 가을날-추월
10. 철쭉을 옮겨 심다
11. 겨울날-밤과 토란
12. 겨울날-물외(物外)
13. 겨울밤-<십재경영>
14. <노자>를 읽다가
15. 호접몽

4부 산거잡흥

<들어가는 글>
1. 산거삼락(山居三樂)-산속에 사는 세 가지 즐거움
2. 시래기국
3. 뻐꾸기
4. 녹음
5. 단풍
6. 나목
7. 나무
8. 소나무
9. 나무한테 배운다

5부 귀원전거

<들어가는 글>
1. 전원
2. 덧없음에 대하여
3. 당마루
4. 모란
5. 정원
6. 원예
7. 남새밭
8. 씨앗
9. 연꽃
10. 고향 가는 길
11. 전지

6부 전원만필

<들어가는 글>
1. 산수의 세계-금강산 물
2. 산수의 세계-어부
3. 역관역은(亦官亦隱)
4. 사이비 은사
5. 백로
6. 시정화의
7. 81세의 봄
8. 81세의 여름-농번기
9. 81세의 가을
10. 81세의 겨울

끝내는 말

저자소개

이은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저자는 오래도록 중앙일보 문화부 기자, 문화부장·편집국 국장·논설위원·종교전문위원을 지냈다. 이후 종교담당 전문기자로서 20년 이상 불교 등 종교를 탐방했고, 한국불교선학연구원장, 금강불교신문 사장 겸 주필을 역임하면서 대중들에게 선(禪)을 알리기 위한 강연과 저술 활동하였다. 이은윤 선생은 성철 스님의 종정 취임 법어 명구인 “산은 산이요, 물은 물이다”를 제목으로 뽑아서 유행시킨 장본인으로 유명하다. 특히 최초로 ‘대기자(大記者)’라는 칭호를 얻은 기자이다. 비록 국가나 언론계에서 공식적으로 준 칭호는 아니지만, 자연스럽게 따라붙은 이 명칭에서 종교적·철학적 사색이 깊은 기자, 문화적 탐구가 깊은 기자라는 것을 묵시적으로 말해 준다. 실제로 <은둔의 미학>에서도 저자는 은사 문화(隱士文化)를 다루면서 폭넓은 식견과 사유 체계, 자연을 보는 남다른 시각을 여실히 보여 주고 있다. 저서로는 『노장으로 읽는 선어록(전2권)』(민족사), 『혜능평전』, 『선시』, 『한국불교의 현주소』, 『중국 선불교 답사기』(전4권), 『화두 이야기』, 『왜 선문답은 동문서답인가』, 『너는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는가』, 『큰 바위 짊어지고 어디들 가시는가』, 『격동하는 라틴 아메리카』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은사문화
시간을 초월한 은사들의 고요한 ‘산정일장(山靜日長, 고요한 산속 해가 긴 하루)’의 삶에서는 하루가 일 년 같은 긴 시간일 수도 있고 10년이 달리는 천리마가 문틈을 지나는 순간일 수도 있다. 달리 말하면 하루를 살아도 영겁의 영원을 산 삶일 수 있고 천년의 장수도 한순간일 수 있다.


은사의 심미관
은사 문화의 심미관(審美觀)은 본성에 부합하는 본래 그대로의 ‘참됨’을 가장 중요한 가치로 여긴다. 그리고 은사들의 심미 준칙은 평범함 속의 매력을 최고의 아름다움으로 삼는다. 은사 문화의 심미관을 다시 풀어서 말하면 한마디로 ‘자연미’라고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단순미·소박미를 은사들은 높이 평가한다. ‘심미’란 아름다움의 본질을 궁구해 밝혀내는 것이다. 아름다움은 인간의 마음을 여유롭게 해주고 삶을 역동적으로 이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