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 민주주의
· ISBN : 9791168730519
· 쪽수 : 216쪽
· 출판일 : 2023-03-07
책 소개
목차
여는 글·4
1장 논의를 위한 지도
1. 정치 불신과 시민 참여: 1960년대부터 이어진 주요 정치사회적 흐름·15
2. 인물 중심 정치와 인물 지지 정치: 노사모, 시민 정치 전환의 시작·21
3. ‘팬덤 정치’와 포퓰리즘: 성역화된 개념의 문제들·29
2장 대통령을 만든 지지자들
1. 대통령 문재인의 등장: 문재인 신드롬 현상의 배경·39
2. 문재인 지지자의 기원: 지지자로 등장한 시민들·47
3. 호명된 권력자: 변화하는 지지 요인과 지도자의 자질·54
3장 절대 지지의 배후
1. 정당의 반역: 그들만 모르는 불신의 아이콘·65
2. 유착된 권력: 제재되지 않는 사회 권력의 위험·73
3. 시민의 참여 의지 강화: 절대 지지의 의미·79
4장 지지의 계보와 구도
1. 통합과 분산: 주요 ‘팬카페’의 계보·89
2. 비정형적 네트워크: 네트워크 사회의 개인화된 시민 참여·103
3. 개별 단위의 각개 전투: 연대의 재구성·111
5장 모래알의 이합집산
1. 제도적 정치 참여: 정치적 참여 행동·123
2. 비제도적 사회참여: 사회적 참여 행동·135
3. 응원봉 든 지지자: ‘팬덤 정치’ 낙인이 은폐하는 현실·145
6장 정치 불신 시대의 인물 지지 정치
1. 요약: 민주주의와 시민 정치·155
2. 제언: 시민편·166
3. 첨언: 정당편·172
주·178
도표 및 그림 출처·188
부록: 지지자들의 말·189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민주주의 위기’를 둘러싼 논의가 시대적 질문으로 반복되는 상황에서 현대사회의 시민 정치 참여를 이해하려는 시도는 매우 중요하다. 시민들의 정치 참여에 관한 논쟁은 시민들의 확대되는 영향력을 인정하는 것에서 시작하며, 이는 결국 시민들의 의사 결정 권한을 얼마나 혹은 어떻게 허용할 것인가라는 주제로 이어진다.
2000년대 이후 등장한 새로운 형태의 시민 정치는 지금껏 ‘팬덤 정치’로 설명되거나 해석됐다. 그러나 앞서 살펴본 것처럼 ‘팬덤 정치’는 자명한 자연적 사실이 아니라 우연히 만들어진 사회·정치 용어이며, 20년이 넘도록 심하게 남용되고 있다. 한국사회에서 ‘팬덤 정치’ 담론이 유효했던 것은 그 담론이 충분히 검증됐기 때문이 아니라, 같은 현상을 다르게 포착할 수 있는 철학적 사유와 언어적 힘이 부재했기 때문이다.
시대와 상황에 따라 지도자에게 요구되는 자질과 지도자에 대한 평가가 바뀔 수 있음을 고려할 때, 지지의 요인은 고정적이지 않다. 단일한 규정이 아닌 다면적 이해의 시도가 필요한 것은 그 때문이며, 이것이 선행되지 않을 때 분석의 결과는 특정한 고정관념 또는 편견을 강화하는 데 그치기 쉽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