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생활환경계열 > 건강/미용
· ISBN : 9791169000406
· 쪽수 : 300쪽
· 출판일 : 2022-09-09
책 소개
목차
제1장 한방 미용학(韓方美容學) 총론 ………………………………………………… 1
1. 한방 미용학의 개념 ……………………………………………………………… 3
2. 한방 미용학의 특징 ……………………………………………………………… 6
3. 한방 미용학의 분류 ……………………………………………………………… 7
4. 한방 미용학의 연구의의와 연구범위 ………………………………………… 9
제2장 동양 미용학의 발전과 역사 …………………………………………………… 13
1. 기원기[원시(原始)시대 ~ 춘추전국(春秋戰國)시대] …………………… 15
2. 맹아기[~진한삼국(秦漢三國)시대] ………………………………………… 17
3. 형성기[위진남북조(魏晋南北朝)시대 ~ 수당(隋唐)시대]……………… 21
4. 확장기[송(宋), 금(金), 원(元), 명(明), 청(淸)시대] ……………………… 24
제3장 음양학설(陰陽學說)과 미용 …………………………………………………… 31
1. 음양학설(陰陽學說)의 기본 개념…………………………………………… 33
1) 음양(陰陽)의 정의 ……………………………………………………………… 34
2) 음양(陰陽)의 특성 ……………………………………………………………… 34
(1) 보편성(普遍性) …………………………………………………………… 34
(2) 상대성(相對性) …………………………………………………………… 34
(3) 가분성(可分性) …………………………………………………………… 34
3) 사물의 음양(陰陽) 속성 분류…………………………………………………… 36
2. 음양학설(陰陽學說)의 기본 내용…………………………………………… 37
1) 음양(陰陽)의 대립(對立), 제약(制約) ………………………………………… 37
2) 음양(陰陽)의 호근(互根), 호용(互用) ………………………………………… 37
3) 음양(陰陽)의 교감(交感), 호장(互藏) ………………………………………… 38
4) 음양(陰陽)의 소장(消長), 평형(平衡) ………………………………………… 38
5) 음양(陰陽)의 상호(相互) 전화(轉化) ………………………………………… 39
6) 음양(陰陽)의 자화(自和), 평형(平衡) ………………………………………… 40
3. 한방의학에서의 음양학설(陰陽學說) 응용 ……………………………… 41
1) 신체의 조직구조………………………………………………………………… 41
2) 신체의 생리기능………………………………………………………………… 41
3) 신체의 병리변화………………………………………………………………… 43
(1) 병인(病因)의 음양 속성 …………………………………………………… 43
(2) 병리(病理)변화(變化)……………………………………………………… 43
4) 미용 방면에서의 진단과 치료 ………………………………………………… 43
(1) 얼굴색(면색(面色))의 음양(陰陽) 진단 ………………………………… 43
(2) 얼굴색(면색(面色))의 음양(陰陽) 치료 ………………………………… 44
제4장 오행학설(五行學說)과 미용 …………………………………………………… 47
1. 오행학설(五行學說)의 기본개념 …………………………………………… 49
1) 오행(五行)의 정의 ……………………………………………………………… 49
2) 오행(五行)의 특성 ……………………………………………………………… 50
3) 사물의 오행(五行) 속성 분류…………………………………………………… 51
2. 오행학설(五行學說)의 기본내용 …………………………………………… 52
1) 오행의 상생(相生) ……………………………………………………………… 52
2) 오행의 상극(相克) ……………………………………………………………… 52
3) 오행의 상승(相乘) ……………………………………………………………… 52
4) 오행의 상모(相侮) ……………………………………………………………… 53
3. 한방의학에서의 오행학설(五行學說) 응용 ……………………………… 53
1) 장부의 생리기능과 상호관계 ………………………………………………… 53
2) 장부 사이의 병리변화 ………………………………………………………… 53
(1) 상생(相生)관계의 전변(轉變) …………………………………………… 53
(2) 상극(相克)관계의 전변(轉變) …………………………………………… 54
3) 미용에서의 진단과 치료 ……………………………………………………… 54
(1) 상생(相生)관계 …………………………………………………………… 55
(2) 상극(相克)관계 …………………………………………………………… 55
제5장 장상학설(藏象學說)과 미용 …………………………………………………… 59
1. 장상학설(藏象學說)의 기본 개념…………………………………………… 61
2. 오장(五臟) ……………………………………………………………………… 66
1) 심(心) …………………………………………………………………………… 66
(1) 해부형태 …………………………………………………………………… 66
(2) 생리기능 …………………………………………………………………… 66
(3) 생리특성 …………………………………………………………………… 68
(4) 형체(形體)관규(官窺)와의 관계 ………………………………………… 68
(5) 오지(五志), 오액(五液)과의 관계 ………………………………………… 68
(6) 미용에서의 응용 …………………………………………………………… 69
2) 폐(肺) …………………………………………………………………………… 70
(1) 해부형태 …………………………………………………………………… 70
(2) 생리기능 …………………………………………………………………… 70
(3) 생리특성 …………………………………………………………………… 72
(4) 형체(形體)관규(官窺)와의 관계 ………………………………………… 72
(5) 오지(五志), 오액(五液)과의 관계 ………………………………………… 73
(6) 미용에서의 응용 …………………………………………………………… 73
3) 비(脾) …………………………………………………………………………… 74
(1) 해부형태 …………………………………………………………………… 74
(2) 생리기능 …………………………………………………………………… 74
(3) 생리특성 …………………………………………………………………… 75
(4) 형체(形體)관규(官窺)와의 관계 ………………………………………… 75
(5) 오지(五志), 오액(五液)과의 관계 ………………………………………… 76
(6) 미용에서의 응용 …………………………………………………………… 76
4) 간(肝) …………………………………………………………………………… 77
(1) 해부형태 …………………………………………………………………… 77
(2) 생리기능 …………………………………………………………………… 77
(3) 생리특성 …………………………………………………………………… 78
(4) 형체(形體)관규(官窺)와의 관계 ………………………………………… 79
(5) 오지(五志), 오액(五液)과의 관계 ………………………………………… 79
(6) 미용에서의 응용 …………………………………………………………… 79
5) 신(腎) …………………………………………………………………………… 80
(1) 해부형태 …………………………………………………………………… 80
(2) 생리기능 …………………………………………………………………… 80
(3) 생리특성 …………………………………………………………………… 81
(4) 형체(形體)관규(官窺)와의 관계 ………………………………………… 82
(5) 오지(五志), 오액(五液)과의 관계 ………………………………………… 82
(6) 미용에서의 응용 …………………………………………………………… 83
3. 육부(六腑) ……………………………………………………………………… 83
1) 담(膽) …………………………………………………………………………… 83
(1) 해부형태 …………………………………………………………………… 84
(2) 생리기능 …………………………………………………………………… 84
(3) 생리특성 …………………………………………………………………… 84
(4) 미용에서의 응용 …………………………………………………………… 85
2) 위(胃) …………………………………………………………………………… 85
(1) 해부형태 …………………………………………………………………… 85
(2) 생리기능 …………………………………………………………………… 85
(3) 생리특성 …………………………………………………………………… 87
(4) 미용에서의 응용 …………………………………………………………… 87
3) 소장(小腸) ……………………………………………………………………… 87
(1) 해부형태 …………………………………………………………………… 88
(2) 생리기능 …………………………………………………………………… 88
(3) 생리특성 …………………………………………………………………… 88
(4) 미용에서의 응용 …………………………………………………………… 88
4) 대장(大腸) ……………………………………………………………………… 89
(1) 해부형태 …………………………………………………………………… 89
(2) 생리기능 …………………………………………………………………… 89
(3) 생리특성 …………………………………………………………………… 90
(4) 미용에서의 응용 …………………………………………………………… 90
5) 방광(膀胱) ……………………………………………………………………… 90
(1) 해부형태 …………………………………………………………………… 90
(2) 생리기능 …………………………………………………………………… 90
(3) 생리특성 …………………………………………………………………… 91
(4) 미용에서의 응용 …………………………………………………………… 91
6) 삼초(三焦) ……………………………………………………………………… 91
(1) 해부형태 = 孤府(고부) …………………………………………………… 91
(2) 생리기능 …………………………………………………………………… 92
(3) 생리특성 …………………………………………………………………… 92
(4) 미용에서의 응용 …………………………………………………………… 92
4. 육부(六腑)간의 관계 ………………………………………………………… 92
5. 장(臟)과 장(臟)의 관계 ……………………………………………………… 94
1) 심(心)과 폐(肺)의 관계 ……………………………………………………… 95
xi
2) 심(心)과 비(脾)의 관계 ……………………………………………………… 96
3) 심(心)과 간(肝)의 관계 ……………………………………………………… 97
4) 심(心)과 신(腎)의 관계 ……………………………………………………… 98
5) 폐(肺)와 비(脾)의 관계 …………………………………………………… 100
6) 폐(肺)와 간(肝)의 관계 ………………………………………………………101
7) 폐(肺)와 신(腎)의 관계 …………………………………………………… 101
8) 비(脾)와 간(肝)의 관계 …………………………………………………… 103
9) 비(脾)와 신(腎)의 관계 …………………………………………………… 104
10) 간(肝)과 신(腎)의 관계 …………………………………………………… 105
6. 장(臟)과 부(腑)의 관계 …………………………………………………… 105
1) 심(心)과 소장(小腸)의 관계 ………………………………………………… 106
2) 폐(肺)와 대장(大腸)의 관계 ………………………………………………… 106
3) 비(脾)와 위(胃)의 관계 ……………………………………………………… 107
4) 간(肝)과 담(膽)의 관계 ……………………………………………………… 107
5) 신(腎)과 방광(膀胱)의 관계 ………………………………………………… 108
7. 기항지부(奇恒之腑) ………………………………………………………… 109
1) 뇌(腦) ………………………………………………………………………… 109
2) 골수(骨髓) …………………………………………………………………… 109
3) 뼈(骨) ………………………………………………………………………… 109
4) 맥(脈) ………………………………………………………………………… 109
5) 자궁(女子胞) ………………………………………………………………… 110
제6장 기혈정진액학설 (氣血精津液學說)과 미용 ……………………………… 113
1. 정(精) ………………………………………………………………………… 116
1) 정(精)의 개념 ………………………………………………………………… 116
2) 정(精)의 생성 ………………………………………………………………… 116
3) 정(精)의 기능 ………………………………………………………………… 116
2. 기(氣) ……………………………………………………………………………118
1) 기(氣)의 개념[의학적] ……………………………………………………… 118
2) 기(氣)의 생성 ……………………………………………………………………118
3) 기(氣)의 기능 ……………………………………………………………………119
4) 기(氣)의 분류 ………………………………………………………………… 120
5) 미용에서의 응용……………………………………………………………… 122
3. 혈(血) ………………………………………………………………………… 123
1) 혈(血)의 개념 ………………………………………………………………… 123
2) 혈(血)의 생성 (2개의 과정) ………………………………………………… 123
3) 혈(血)의 기능 ………………………………………………………………… 124
4) 혈(血)의 순행 ………………………………………………………………… 125
5) 미용에서의 응용……………………………………………………………… 125
4. 진액(津液) …………………………………………………………………… 126
1) 진액(津液)의 개념 …………………………………………………………… 126
2) 진액(津液)의 대사 …………………………………………………………… 127
3) 진액(津液)의 기능 …………………………………………………………… 128
4) 미용에서의 응용……………………………………………………………… 128
제7장 경락학설(經絡學說)과 미용 ………………………………………………… 131
1. 경락(經絡)의 개념과 경락계통…………………………………………… 133
1) 경락(經絡)의 개념 …………………………………………………………… 133
2) 경락계통(經絡系統)의 구성 ………………………………………………… 134
(1) 경맥부분 ………………………………………………………………… 134
(2) 락맥부분 ………………………………………………………………… 135
(3) 연속부위 ………………………………………………………………… 135
2. 십이경맥(十二經脈) ………………………………………………………… 135
1) 십이경맥의 명칭……………………………………………………………… 135
2) 십이경맥의 운행과 교접 규율 …………………………………………………136
3) 십이경맥의 유주(流注) 순서 ………………………………………………… 137
4) 각 십이경맥의 순행과 미용방면에서의 응용 ……………………………… 137
(1) 수태음폐경(手太陰肺經) …………………………………………………137
(2) 수양명대장경(手陽明大腸經) ……………………………………………138
(3) 족양명위경(足陽明胃經) …………………………………………………139
(4) 족태음비경(足太陰脾經) …………………………………………………140
(5) 수소음심경(手少陰心經) …………………………………………………141
(6) 수태양소장경(手太陽少腸經) ……………………………………………142
(7) 족태양방광경(足太陽膀胱經) ……………………………………………143
(8) 족소음신경(足少陰腎經) …………………………………………………144
(9) 수궐음심포경(手厥陰心包經) ……………………………………………145
(10) 수소양삼초경(手少陽三焦經) ……………………………………………146
xiii
(11) 족소양담경(足少陽膽經)…………………………………………………147
(12) 족궐음간경(足厥陰肝經)…………………………………………………149
3. 기경팔맥(奇經八脈) ………………………………………………………… 150
1) 기경팔맥(奇經八脈)의 개념 ………………………………………………… 150
2) 기경팔맥(奇經八脈)의 특징 ………………………………………………… 150
3) 기경팔맥(奇經八脈)의 기능 ………………………………………………… 150
4) 각 기경팔맥(奇經八脈)의 순행, 생리기능 및 미용방면에서의 응용 …… 151
(1) 독맥(督脈) ……………………………………………………………… 151
(2) 임맥(任脈) ……………………………………………………………… 152
(3) 충맥(衝脈) …………………………………………………………………153
(4) 대맥(帶脈) …………………………………………………………………153
(5) 음교맥(陰脈) ………………………………………………………………154
(6) 양교맥(陽脈) ………………………………………………………………154
(7) 음유맥(陰維脈) ……………………………………………………………154
(8) 양유맥(陽維脈) ……………………………………………………………154
4. 경락의 작용 및 미용상에서의 응용……………………………………… 155
1) 경락(經絡)의 작용 …………………………………………………………… 155
2) 미용상에서의 응용…………………………………………………………… 156
제8장 병인학설(病因學說), 병기학설(病機學說)과 미용 …………………… 159
1. 병인(病因): 질병이 일어나는 원인 …………………………………………161
1) 육음(六淫) …………………………………………………………………… 161
(1) 육음(六淫)의 개념 ……………………………………………………… 161
(2) 육음(六淫)의 생성 ……………………………………………………… 161
(3) 육음(六淫)의 특징 ……………………………………………………… 162
(4) 육음(六淫)의 각각 특징 및 미용 방면에서의 응용 …………………… 163
2) 칠정(七: 일곱 칠, 情: 감정 정) …………………………………………………168
(1) 칠정(七情) 의 개념 ……………………………………………………… 168
(2) 칠정(七情) 의 특징 …………………………………………………………168
3) 병리적 생산물(病理産物) …………………………………………………… 170
4) 기타 요인…………………………………………………………………………171
2. 병기(病機) ………………………………………………………………………172
1) 정기(正氣)와 사기(邪氣)의 성쇠(盛衰) …………………………………… 172
(1) 정기(正氣)와 사기(邪氣)의 개념 ……………………………………… 172
(2) 실(實) …………………………………………………………………… 172
(3) 허(虛) …………………………………………………………………… 173
2) 음양의 불균형(陰陽失調) ………………………………………………………173
(1) 음양(陰陽) 편성(偏盛) ………………………………………………… 173
(2) 음양(陰陽) 편쇠(偏衰) ………………………………………………… 174
(3) 음양(陰陽) 호손(互損) ………………………………………………… 174
3) 기혈(氣血)의 불균형(氣血失調) …………………………………………… 174
4) 진액대사의 불균형(津液代謝失常) ………………………………………… 174
제9장 보건(保健), 양생(養生)과 미용 …………………………………………… 177
1. 다이어트: 경신(輕身), 감비(減肥) ……………………………………… 180
1) 개념 …………………………………………………………………………… 180
2) 병인(病因) 병기(病機) ……………………………………………………… 180
3) 보건(保健), 양생(養生) 방법 ………………………………………………… 181
(1) 내복법(內服法) ………………………………………………………… 181
(2) 외치법(外治法) ………………………………………………………… 182
4) 예방 …………………………………………………………………………… 182
2. 주름살 예방, 제거…………………………………………………………… 183
1) 개념 …………………………………………………………………………… 183
2) 병인(病因),병기(病機) ……………………………………………………… 184
3) 보건(保健),양생(養生) 방법 ………………………………………………… 184
(1) 내복법(內服法) ………………………………………………………… 184
(2) 외치법(外治法) ………………………………………………………… 185
4) 예방 …………………………………………………………………………… 186
3. 가슴 확대……………………………………………………………………… 186
1) 개념 …………………………………………………………………………… 186
2) 병인(病因), 병기(病機) ……………………………………………………… 186
3) 보건(保健),양생(養生) 방법 ………………………………………………… 187
(1) 내복법(內服法) ………………………………………………………… 187
(2) 외치법(外治法) ………………………………………………………… 188
4) 예방 …………………………………………………………………………… 188
xv
제10장 한방(韓方) 미용(美容) 변증(辨證) ……………………………………… 191
1.한방 미용“변증(辨證)” …………………………………………………… 193
1) 변증(辨: 판단, 분별 證: 증후(證候)) ……………………………………… 193
2) 사진(四診): 네 가지 진단 방법 …………………………………………… 193
3) 증(症: 증상), 증(證: 증후(證候)), 병(病: 질병)의 비교…………………… 193
2. 장부(臟腑) 변증(辨證) …………………………………………………… 195
1) 심(心)과 소장(小腸)의 변증 ……………………………………………… 196
(1) 심화항성증(心火亢盛證) ……………………………………………… 196
(2) 심음부족증(心陰不足證) ……………………………………………… 197
(3) 심양부족증(心陽不足證) ……………………………………………… 197
(4) 소장실열증(小腸實熱證) ……………………………………………… 198
2) 폐(肺)와 대장(大腸)의 변증 ……………………………………………… 198
(1) 폐기허증(肺氣虛證) …………………………………………………… 200
(2) 폐음허증(肺陰虛證) …………………………………………………… 200
(3) 풍한범폐증(風寒犯肺證) ……………………………………………… 201
(4) 풍열범폐증(風熱犯肺證) ……………………………………………… 201
(5) 대장습열증(大腸濕熱證) ……………………………………………… 202
3) 비(脾)와 위(胃)의 변증 ………………………………………………………202
(1) 비기허증(脾氣虛證) …………………………………………………… 204
(2) 비양허증(脾陽虛證) …………………………………………………… 204
(3) 비불통혈증(脾不統血證) ……………………………………………… 205
(4) 한습곤비증(寒濕困脾證) ……………………………………………… 205
(5) 습열온비증(濕熱蘊脾證) ……………………………………………… 205
(6) 위열증(胃熱證) ………………………………………………………… 206
(7) 위음허증(胃陰虛證) …………………………………………………… 206
4) 간(肝)과 담(膽)의 변증] …………………………………………………… 207
(1) 간기울결증(肝氣郁結證) ……………………………………………… 208
(2) 간단습열증(肝膽濕熱證) ……………………………………………… 208
(3) 간양상항증(肝陽上亢證) ……………………………………………… 209
(4) 간혈허증(肝血虛證) …………………………………………………… 209
5) 신(腎)과 방광(膀胱)의 변증 ……………………………………………… 210
(1) 신음허증(腎陰虛證) …………………………………………………… 211
(2) 신양허증(腎陽虛證) …………………………………………………… 212
(3) 방광습열증(膀胱濕熱證) ……………………………………………… 212
xvi
3. 경락(經絡) 변증(辨證) …………………………………………………… 213
1) 십이경맥(十二經脈)의 변증 ……………………………………………… 215
(1) 수태음폐경(手太陰肺經) 병증 ………………………………………… 216
(2) 수양명대장경(手陽明大腸經) 병증 …………………………………… 218
(3) 족양명위경(足陽明胃經) 병증 ………………………………………… 219
(4) 족태음비경(足太陰脾經) 병증 ………………………………………… 221
(5) 수소음심경(手少陰心經) 병증 ………………………………………… 222
(6) 수태양소장경(手太陽少腸經) 병증 …………………………………… 223
(7) 족태양방광경(足太陽膀胱經) 병증 …………………………………… 225
(8) 족소음신경(足少陰腎經) 병증 ………………………………………… 226
(9) 수궐음심포경(手厥陰心包經) 병증 …………………………………… 228
(10) 수소양삼초경(手少陽三焦經) 병증 ………………………………… 229
(11) 족소양담경(足少陽膽經) 병증 ……………………………………… 231
(12) 족궐음간경(足厥陰肝經) 병증 ……………………………………… 232
2) 기경팔맥(奇經八脈)의 변증 ……………………………………………… 234
(1) 독맥(督脈)의 병증 = (督: 감독, 통솔 독, 脈: 맥 맥) ………………… 234
(2) 임맥(任脈)의 병증(病證) = (任: 맡길 임, 脈: 맥 맥) ………………… 236
4. 기혈진액(氣血津液) 변증(辨證)………………………………………… 237
1) 기병(氣病)의 병증 ………………………………………………………… 237
(1) 기허증(氣虛證) ………………………………………………………… 237
(2) 기함증(氣陷證) ………………………………………………………… 238
(3) 기체증(氣滯證) ………………………………………………………… 238
2) 혈병(血病)의 병증 ………………………………………………………… 238
(1) 혈허증(血虛證) ………………………………………………………… 238
(2) 혈어증(血瘀證) ………………………………………………………… 239
(3) 혈열증(血熱證) ………………………………………………………… 239
3) 기혈동병(氣血同病)의 병증 ……………………………………………… 240
(1) 기체혈어증(氣滯血瘀證) ……………………………………………… 240
(2) 기혈양허증(氣血兩虛證) ……………………………………………… 240
(3) 기불섭혈증(氣不攝血證) ……………………………………………… 240
4) 진액(津液)의 병증 ………………………………………………………… 241
(1) 진액(津液)부족(不足) ………………………………………………… 241
(2) 수액(水液)정취(停聚) ………………………………………………… 241
5. 피부미용(皮膚美容) 변증(辨證)………………………………………… 243
xvii
1) 얼굴색(面色) 변증 ………………………………………………………… 243
(1) 창백한 얼굴색 ………………………………………………………… 243
(2) 누런 얼굴색 …………………………………………………………… 244
(3) 어둡고 칙칙한 얼굴색 ………………………………………………… 244
2) 피부(皮膚) 성질(性質) 변증 ……………………………………………… 245
(1) 중성(中性) 피부(皮膚) ………………………………………………… 245
(2) 건성(乾性) 피부(皮膚) ………………………………………………… 245
(3) 지성(油性) 피부(皮膚) ………………………………………………… 246
(4) 민감성(敏感性) 피부(皮膚) …………………………………………… 247
6. 체질(體質), 체형(體形) 변증(辨證) …………………………………… 248
1) 체질(體質) 변증(辨證)……………………………………………………… 248
(1) 음허(陰虛) 체질 ………………………………………………………… 248
(2) 양허(陽虛) 체질 ………………………………………………………… 249
(3) 양성(陽盛) 체질 ………………………………………………………… 249
(4) 기허(氣虛) 체질 ………………………………………………………… 250
(5) 기허(氣虛) 담습(痰濕) 체질 …………………………………………… 250
(6) 기울(氣鬱) 체질 ………………………………………………………… 251
(7) 습열(濕熱) 체질 ………………………………………………………… 251
(8) 혈허(血虛) 체질 ………………………………………………………… 252
(9) 혈어(血瘀) 체질 ………………………………………………………… 252
2) 체형(體形) 변증(辨證)……………………………………………………… 253
(1) 뚱뚱한 체형 → (건강한 체중 감소)…………………………………… 253
(2) 마른 체형→ (건강한 체중 증가) ……………………………………… 254
제11장 고대 동양 미녀의 미용비법 ……………………………………………… 257
1. 측천무후의 미용비법 …………………………………………………… 259
1) 미용 본초(本草) …………………………………………………………… 259
(1) 익모초택면방(益母草澤面方) ………………………………………… 259
(2) 당귀(當歸)원액(原液) ………………………………………………… 261
2) 미용 식선(食膳) …………………………………………………………… 261
(1) 꽃가루(花粉:화분)……………………………………………………… 261
3) 수신(修身) 양생(養生)……………………………………………………… 262
2. 양귀비의 미용비법………………………………………………………… 263
1) 미용 본초(本草) …………………………………………………………… 264
(1) 홍옥고(紅玉膏) - 외용(外用) ………………………………………… 264
2) 온천목욕과 박타(拍打)법 ………………………………………………… 264
3) 운동+안마+채소 …………………………………………………………… 265
3. 자희태후(서태후)의 미용비법 ………………………………………… 265
1) 미용 본초(本草) …………………………………………………………… 266
(1) 인삼(人蔘) - 내복(內服) ……………………………………………… 266
(2) 진주가루(珍珠粉) - 내복(內服) ……………………………………… 266
(3) 향발산(香髮散) - 외용(外用) ………………………………………… 267
2) 미용 식선(食膳) …………………………………………………………… 267
(1) 모유……………………………………………………………………… 267
(2) 옥녀보유소(玉女補乳酥) …………………………………………… 267
3) 온습포(熱敷)………………………………………………………………… 268
참고문헌 ………………………………………………………………………………… 2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