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진주의 남명학파

진주의 남명학파

이상필 (지은이), 유근종 (사진)
한국문화사
1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2,000원 -0% 2,500원
600원
13,9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2,000원 -10% 600원 10,200원 >

책 이미지

진주의 남명학파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진주의 남명학파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문화/역사기행 > 한국 문화/역사기행
· ISBN : 9791169190466
· 쪽수 : 180쪽
· 출판일 : 2022-09-30

책 소개

진주 문화를 찾아서 23권. 진주는 남명 조식 선생이 만년에 지리산 아래 덕산의산천재에서 도학을 강론한 이래 도학에 뜻을 둔 전국 학자들의 관심 대상 지역이 되었다. 이는 고금을 막론하고 뛰어난 인물이 있으면 그를 직접 만나보고 그에게서 깨우침을 얻으려는 사람들이 늘 있었기 때문에 일어난 현상이다. 남명이 바로 그러한 인물이었다.

목차

머리말
차례

Ⅰ. 들머리

Ⅱ. 진주와 남명 및 남명학
1. 진주와 남명
2. 남명학의 특징

Ⅲ. 남명학파의 주요 가문과 학맥
1. 남명학파를 이끈 가문들에 대한 개황
2. 진주의 남명학파 주요 가문
1) 진양하씨
2) 태안박씨
3) 창녕성씨
4) 함안조씨
5) 그 밖의 남명학파 가문들
3. 진주의 남명학파 학맥 개요
1) 남명 정맥
2) 겸퇴계 계열
3) 겸율곡 계열

Ⅳ. 진주의 남명학파 인물 및 학문 성향
1. 수우당 최영경
2. 각재 하항
3. 부사 성여신
4. 송정 하수일
5. 능허 박민
6. 겸재 하홍도
7. 지명당 하세응
8. 서계 박태무
9. 태와 하필청과 그 문인들
10. 월고 조성가
11. 회봉 하겸진

Ⅴ. 맺음말

도움받은 글

저자소개

이상필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상국립대학교 한문학과 명예교수이다. 1955년 경상북도 성주에서 태어났다. 1981년에 영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1983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한문학을 전공하여 문학석사를 취득했다. 1998년 고려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한문학전공 문학박사를 취득하였다. 1992년부터 2020년까지 경상대학교 교수로 근무했다. 2003년부터 2015년까지 경상남도 문화재위원을, 2016년부터 2019년까지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장을 역임하였다. <남명학파의 형성과 전개> 등 논저 및 논문 50여 편이 있다.
펼치기
유근종 (사진)    정보 더보기
프리랜서 사진가로 대학에서 러시아학을 전공했으며 「9288, 그 여름의 꿈」, 「겨울 꿈」 등 다섯 번의 러시아 사진 전시회를 열었다. 문화재와 건축물 사진을 주로 찍고 틈틈이 러시아를 다니며 러시아와 러시아인을 찍고 글을 쓰고 있다. 참여한 책으로는 『복자 정찬문』, 『진주성 촉석루』와 『조선 선비들의 답사일번지』 등이 있으며 각종 사보나 사외보에 다양한 사진을 기고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Ⅰ. 들머리

진주(晉州)는 남명(南冥) 조식(曺植, 1501-1572) 선생이 만년에 지리산 아래 덕산의 산천재에서 도학(道學)을 강론한 이래 도학에 뜻을 둔 전국 학자들의 관심 대상 지역이 되었다. 산천재는 서울에서 보면 골짝 가운데서도 골짝에 속하는 곳이지만 토정(土亭) 이지함(李之菡, 1517-1578) 같은 이도 찾아온 적이 있고, 수우당(守愚堂) 최영경(崔永慶) 같은 이도 천 리를 멀다 하지 않고 예를 갖추어 제자가 되었다.
이는 고금을 막론하고 뛰어난 인물이 있으면 그를 직접 만나보고 그에게서 깨우침을 얻으려는 사람들이 늘 있었기 때문에 일어난 현상이다. 남명이 바로 그러한 인물이었고, 그래서 조선후기 실학파를 일으킨 성호(星湖) 이익(李瀷, 1681-1763)이 그의 저술 『성호사설』에서 다음과 같이 말한 적이 있다.
천여 년 세월이 흐른 뒤 성스러운 우리 조선이 건국되었고 중세 이후에는 퇴계가 소백산 아래에서 태어났고 남명이 두류산 동쪽에서 태어났다. 이곳은 모두 영남 땅인데, 상도(上道)는 인(仁)을 숭상하고 하도(下道)는 의(義)를 주장했다. 유학의 교화와 기상 및 절개가 마치 바다가 넓고 산이 높은 듯하였다. 비로소 문명이 극에 이르렀다.
중원의 문화가 우리나라에 들어온 이후 퇴계와 남명이 태어나서 우리 문명이 극에 이르게 되었다고 하는 이러한 언급은, 남명의 학문과 그가 이룬 정신세계의 깊이를 객관적이고도 적확하게 이해한 표현이다.
그러나 남명학파는 그 첫 번째 계승자인 내암(來庵) 정인홍(鄭仁弘, 1536-1623)이 계해정변(癸亥政變)으로 집권한 인조 정권에 의해 적신(賊臣)으로 몰려 처형당함으로써 정치적으로 회복하기 어려운 타격을 입었고, 이후 100여 년 뒤 1728년에 일어난 이인좌의 난 때 경상우도의 남명학파가 이에 가담함으로써 설상가상의 타격을 입었다.
그러다가 1796년 정조가 친히 남명에 대한 제문을 지어 제사를 지내게 함으로써 다시 학풍이 일어나기 시작하여, 200여 년 동안 위축되어 있던 사기가 올라 그 이전에 비해 엄청나게 많은 학자들이 배출되기에 이르렀다.
남명학파가 그 사이에 어떻게 계승되고 변화되었는지 그 전개 모습을 그려보되, 진주 지역을 중심으로 형성된 남명학파 주요 가문과 계해정변 이후 변화된 여러 학문 계열에 따른 학자의 존재 양상을 정리하고, 그 주요 인물이 남명학파의 학문을 어떻게 계승하고 있는가 하는 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