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기호학/언어학 > 한국어/한문
· ISBN : 9791169190930
· 쪽수 : 278쪽
· 출판일 : 2023-02-28
책 소개
목차
머리말_
제1부 한국어 교육 실습의 이해
01 한국어 교육 실습 개요
1. 한국어 교육 실습의 정의
2. 한국어 교육 실습의 목적
3. 한국어 교육 실습의 구성
02 한국어 교수-학습의 주체
1. 한국어 학습자
2. 한국어 교사
03 교수설계․교수법 및 수업운영
1. 교과과정과 교수요목
2. 교수이론과 교수법
3. 수업운영
04 비대면 한국어교육실습
1. 비대면 수업과 한국어 교육실습의 이해
2. 실시간 화상수업(ZOOM)의 실제
제2부 교수-학습 지도안
05 교수-학습 지도안의 원리와 구성
1. 교수-학습지도안의 정의
2. 교수-학습지도안의 역할
3. 교수-학습지도안의 구성
4. 교수-학습지도안의 유형별 작성
5. 교수-학습지도안과 참고자료
06 어휘․발음․문법 교수-학습 지도안의 내용
1. 어휘 교수-학습지도안에 필요한 교수요목과 교수법
2. 발음 교수-학습지도안에 필요한 교수요목과 교수법
3. 문법 교수-학습지도안에 필요한 교수요목과 교수법
07 듣기․읽기․말하기․쓰기 교수-학습 지도안
1. 듣기 교수-학습지도안에 필요한 교수요목과 교수법
2. 읽기 교수-학습지도안에 필요한 교수요목과 교수법
3. 말하기 교수-학습지도안에 필요한 교수요목과 교수법
4. 쓰기 교수-학습지도안에 필요한 교수요목과 교수법
제3부 강의참관
08 강의참관 준비와 방법
1. 강의참관 개요
2. 강의참관 방법
3. 강의참관 준비
09 강의참관 내용과 유의사항
1. 참관 내용
2. 강의참관 시 유의사항
3. 수업 내용 분석
10 강의참관 피드백 및 참관보고서 작성
1. 평가 및 피드백
2. 강의참관 일지 및 강의참관 보고서 작성
제4부 모의수업
11 모의수업 준비와 교수-학습지도안 작성
1. 모의수업 개요
2. 모의수업 연습
3. 모의수업 준비
4. 모의수업 교수-학습 지도안
12 모의수업 내용과 수업모형
1. 모의수업 시 유의사항
2. 모의수업에서의 교수-학습 내용
3. 모의수업에서 활용할 수업모형
13 모의수업 평가․피드백 및 모의수업 평가서 작성
1. 평가의 방식
2. 평가의 내용
3. 피드백 및 모의수업 평가서
제5부 강의실습
14 강의실습 절차와 준비
1. 강의실습 개요
2. 강의실습의 진행 절차
3. 강의실습 준비 사항
4. 강의실습 교수-학습지도안
15 강의실습 교수법과 교실활동
1. 강의실습의 유형
2. 강의실습 시 유의할 점
3. 돌발 상황에 대한 대처
4. 강의실습에서 활용할 교육 방법 5. 강의실습과 오류 수정
16 강의실습 평가․피드백 및 강의실습 일지 작성
1. 평가
2. 피드백
3. 강의실습 일지 및 보고서
저자소개
책속에서
한국어 교육 실습은 장차 한국어교육을 담당할 예비교사들이 그동안 배운 이론적 지식을 응용해 실제 교수 감각을 익히는 한국어교육의 마무리 단계로 한국어 교원 자격 취득이라는 현실적인 과제와 맞물려 있다. 따라서 실습생에게 강의참관․모의수업․강의실습 등 충분한 실습기회를 제공하는 한편, 실습 결과를 발전적으로 평가해 추후 실제 교수활동에 반영하도록 독려하는 실효적인 피드백이 필요하다.
1. 한국어 교육 실습의 정의
한국어 교육 실습은 한국어 교과목의 하나이며 교육 과정의 일부로 한국어교육과 불가분의 밀접한 관계를 지니고 있다. 한국어 교육 실습은 직간접적 교수활동을 통해 예비 한국어 교사로서의 한국어교육을 결산하는 마무리 단계다.
한국어교육은 다양한 목적을 지닌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다. 그 중 ‘한국어 교육 실습’은 한국어 교사를 양성하는 데 필요한 교육과목에 해당한다. 또 교과과정의 의미로도 쓰인다. 한국어 교사가 되려면 먼저 한국어 교원 자격을 취득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한국어 교육 실습 과정을 이수해야 하기 때문이다. 한국어 교육 실습은 그동안 이론으로만 배운 학습 내용을 교사의 입장에서 실습활동을 통해 실제로 익히는 최종 단계이다.
2. 한국어 교육 실습의 목적
한국어 교육 실습에서 교과목 담당 교수와 실습생은 교수-학습 간 상호 협력을 통해 실습 과정을 충실히 수행하는 데 목적을 둔다. 한국어교원 양성기관과 교과목 담당 교수, 현장 실습기관은 우수한 교원을 양성해 한국어의 보급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실습생의 한국어 교육 실습 과정을 적극적으로 도와야 한다.
실습생은 한국어 교육 실습 과정을 이수해 한국어 교원 자격을 취득한 후, 한국어 교원으로서 성실히 교수활동을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유창하고도 정확한 한국어의 숙지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한국어교육 방법과 교원의 자질, 교실활동의 효율성을 실습을 통해 익혀야 한다.
3. 한국어 교육 실습의 구성
한국어 교육 실습은 이론수업․강의참관․모의수업․강의실습으로 이루어진다. 이중 이론수업은 실습 교과목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내용을 다룬다. 강의참관과 강의실습은 예비교원이 낯선 공간에서 현장 실습기관의 수업을 참관(강의참관)하거나 실제로 수업을 진행(강의실습)하는 것을 말한다.
모의수업은 주로 평소 익숙한 공간에서 동료 실습생을 대상으로 수업을 시연하는 것을 말한다. 또 동료 수강생의 모의수업 때는 자신이 그 수강생 역할을 한다. 모의수업 때 교과목 담당 교수는 예비교사의 수업 상황을 점검하고 평가해 장단점을 피드백 해준다. 현장 수업 참관을 원칙으로 하는 강의참관은 현장 실습기관의 수업을 참관하고 교수법, 교실활동 수업 방식을 새롭게 익히는 견학의 의미를 지닌다. 모의수업과 강의실습은 자신이 직접 강의의 주체, 즉 교사의 역할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한국어 교육 실습의 실제에 해당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