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건강한 비영리경영

건강한 비영리경영

이재현 (지은이)
한국문화사
2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8,000원 -0% 0원
1,400원
26,6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1개 23,8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8,000원 -10% 1400원 23,800원 >

책 이미지

건강한 비영리경영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건강한 비영리경영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경영 일반
· ISBN : 9791169192293
· 쪽수 : 376쪽
· 출판일 : 2024-07-30

책 소개

오늘날 우리는 우리도 모르게 막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는 조직들이 의외로 비영리조직이라는 점을 간과하고 있다. 우리는 그들에 대해서 얼마나 알고 있을까? 세상을 조용히 지배하는 조직, 비영리경영에 대해 알아야 한다.

목차

서문

I. 시민사회와 공익활동
비영리조직의 설립
비영리조직의 변화

II. 사명과 전략
전략기획의 기초
비전체계의 도출
사명과 사업의 연계

III. 이해관계자와 거버넌스
이해관계자와 조직
이해관계자 구조화
이해관계자 경영

IV. 인재관리와 리더십
사명 중심의 인사
인재관리와 육성
성장을 돕는 리더십

V. 성과평가와 임팩트
성과평가의 원리
평가체계의 실제
성과보고서 작성

VI. 조직문화와 건강성
조직문화의 개념
조직형태와 문화
건강한 소통문화

부록: 쉽게 따라하는 캔버스 모음

저자소개

이재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98년 시민단체를 시작으로 2009년 사회복지공동모금회(사랑의열매) 중앙회에서 국제협력담당자로 일하다 2010년 사회복지공동모금회와 미국 United Way Worldwide의 합작으로 설립한 United Way Asia Pacific Learning Center에서 한국 측 총괄 책임자가 되어 비영리조직 운영의 Global Standard를 현장에 맞게 전파했다. 이어 2014년에는 유일한 한국인으로서, United Way Worldwide의 Director로 지명되어 아시아태평양교육센터의 초대 국장으로 일했고, 이때 비영리조직의 경영, 임팩트 모금전략의 한국형 모델을 구상했다. NPO스쿨 설립 이후 「모금의 비밀-나팀장 보고서」, 「건강한 조직」, 「본질은 조직문화다」, 「비영리단체의 컨설팅 가이드북」을 단독저자로 출간하며 비영리조직의 건강성 향상을 위해 기여했다. 그는 경희사이버대학교 NGO학과 겸임교수를 필두로, 가톨릭꽃동네대학교와 중앙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에서 각각 「비영리조직의 모금」과 「사회적 경제」를 담당했다. 설립 10년차인 NPO스쿨은 대표 프로그램 「건강한 비영리경영 스쿨」을 운영 중이며, NPO스쿨의 자회사인 「메이저기프트센터」는 미국 CFRE 인증 모금교육을, 「힐송클리닉」은 종사자 회복과 치유를 위한 테라피 워크숍을 제공하고 있다. 이재현 대표는 현재 미국, 스위스, 일본의 협력기관과 함께 협업하며 글로벌 네트워크를 확장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비영리조직에 관한 법

비영리경영을 알기 위해 가장 먼저 비영리조직에 대한 법령을 살펴보겠습니다. 2023년 현재 우리나라는 비영리영역을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법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시민사회’를 명시한 법령도 찾기 어렵습니다. 비영리조직에 관계된 세법을 거듭 개선하던 미국은 1969년 조세개혁을 통해 모든 종류의 비영리조직을 구체적으로 분류했고 그 지위에 따라 지원과 책임을 설정하고 있습니다. 비영리의 근원지인 영국은 무려 1601년 자선법(Charitable Uses Act)을 통해 비영리영역의 기틀을 확립했고, 이후 2006년 자선단체법(Charities Act)을 제정해 개선을 거듭하고 있습니다. 일본은 1995년 한신·아와지(阪神·淡路) 대지진(고베 대지진) 이후 민간의 자발적 활동이 대두되며 1998년 민법 제34조의 특별법으로 ‘NPO법’이라 불리는 특정비영리활동촉진법을 제정, 2001년 개정하여 세금혜택을 강화했습니다. 미국은 29개 항목, 일본은 17개 항목으로 비영리조직을 세분화하여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시민사회의 효시는 1907년 국채보상운동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 여느 국가보다 민주화운동, 시민운동이 왕성했던 경험을 가진 괄목할만한 시민사회입니다. 그런데 이를 통합하여 관리하고 지원하는 법은 미흡한 편입니다. 상황과 필요에 따라 관련 법령이 그때그때 제정 및 개정되어 왔습니다.

비영리민간단체지원법에서는 비영리민간단체에 대한 범위를 다루고, 공익법인설립운영에 관한 법에서는 사단법인과 재단법인 등 비영리법인의 범위를 다룹니다. 그 외의 기관과 단체는 부문별 법령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의제별로 환경, 복지, 인권, 성평등, 경제, 정치, 자원봉사, 국제개발, 마을, 종교, 문화, 나눔, 교육, 지역, 계층 등으로 상세히 구별되는 법체계가 아니기에 맞춤형 지원은 상상도 할 수 없는 실정입니다. 게다가 기부금 사항과 세무관계 사안은 각각 별도의 관계법 소관이라 복잡하기 이를 데 없습니다.

지난 문재인정부에서 대통령훈령(2020.5)으로 ‘시민사회 활성화와 공익활동 증진에 관한 규정’을 제정했고 그 실행의 일환으로 기본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이에 일부 지방자치단체가 관련한 조례를 제정하기도 했습니다. 일부 지자체에서 ‘시민사회 활성화와 공익활동 증진에 관한 조례’ 를 제각기 제정하여 최소한의 근거를 두고 있는 사례가 그것입니다. 이후 윤석열정부에서 이 대통령령은 폐지되었습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69195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