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징병제와 근대 일본

징병제와 근대 일본

(1868-1945)

가토 요코 (지은이), 박완 (옮긴이)
고려대학교출판문화원
2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6,600원 -5% 0원
1,400원
25,2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징병제와 근대 일본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징병제와 근대 일본 (1868-1945)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일본사 > 일본사 일반
· ISBN : 9791169561143
· 쪽수 : 324쪽
· 출판일 : 2025-07-21

책 소개

국내에도 잘 알려진 역사학자이자 근대 일본 정치·군사·외교사의 권위자인 가토 요코 도쿄대학 교수의 초기 저작 《징병제와 근대 일본―1868-1945》은 ‘징병제’라는 현상에 대한 치밀한 분석을 통해 ‘근대 일본’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을 제시한다.

목차

들어가며
징병제 군대와 국가의 책임 / 징병과 지원병 / 국민 그 자체 / 지금까지의 연구에 대한 의문 /
육군과 국민과의 관계 / 시대를 대표하는 사상과 징병제의 변천 / 용어

I 무사는 무엇이 문제였는가
무사에 대한 비난 / 무사와 메이지유신 / 병사 수와 경비 / 독일과의 비교 / 아오키 슈조의 서한

II 징병제 확립 전의 병제
1. 무진전쟁 무렵의 병제
석고에 상응하는 병사 / 히로시마번의 예 / 오무라의 등장 / 도호쿠 평정
2. 각 번에 의한 개혁기의 병제
병사 수 보고 / ‘초빙 외국인’ / 병학료 / 상비 편대 규칙 / 이지치 마사하루의 반론 / 집의원 /
사사키 다카유키의 관점 / 경비 정칙과 상비 정원 / 병부성 간부 / 징병 규칙 / 어친병

III 징병제 도입 당시의 논리와 병사 수
병사 수가 적은 이유 / 최초의 징집 인원 결정 방법 / 징병제 개혁론 / 막부 말기의 병부 /
오무라 마스지로의 징병론 / 주일부병론 / 복역 연한과 징집 횟수와의 상관관계 /
신진 교환 / 신진 교환의 교육 효과 / 초년병 교육 / 국가의 자세 / 합격률 /
사관이 되기 위한 경쟁 / 종으로 길러서 횡으로 쓴다

IV 프랑스·독일의 영향
서양 군제 / 독일·프랑스의 병역 면제 조항 및 유예 제도 / 1년간의 병사 수 / 프로이센 군제

V 대일본제국헌법의 성립까지
개정 방향 / 징병령 개정안 심사 과정
1. 1875년 11월 5일의 징병령 개정
육군성 원안 / 법제국의 대응 / 야마가타의 분노의 대상
2. 1879년 10월 27일의 징병령 개정
새로운 기피 패턴 / 육군성 원안 / 법제국의 수정 / 원로원 안의 특징 / 바람직한 병제의 개념 /
태정관의 재수정 / 천황의 자순 / 니시 아마네의 병부론
3. 1883년 12월 28일의 징병령 개정
호적을 어떻게 할 것인가 / 참사원의 회답 / 호장 공선 / 기피자에 대한 벌칙 /
참사원에서의 수정 / 부아소나드의 답의 / 원로원에서의 수정 / 참사원의 재수정 /
지방의 상황 / 후쿠자와의 징병론

VI 헌법과 징병령
1. 헌법과 병제
헌법과 징병령과의 관계 / 소네 아라스케 / 병역 의무 / 징집 인원과 육해군 예산 /
뢰슬러의 답의 / 1887년 5월 초안 / 육군 내부의 준비 / 육군에서 말하는 ‘법률’의 의미 /
모세의 답의 / 이노우에의 ‘육군 군정 의견’
2. 1889년 1월 22일의 징병령 개정
육군 원안 / 법제국의 반론 / 이노우에 고와시의 의견 / 내각 원안 /
모리 아리노리에 의한 추가 수정 / 원로원의 반대 / 가토 히로유키의 의견 /
사람의 미묘한 감정 / 다시금 후쿠자와 / 가난한 다수의 지지를 받는 군 /
‘4장군’의 개혁론 / 병역 단기론에 대한 육군 측의 반박

VII 제국의회에서의 공방
1. 1895년 3월 13일의 징병령 개정
보충병역 신설 / 복역 연한 연장 / 외국에 있는 자에 대한 유예 확장 / 기류지 응징 폐지 /
그 외의 개정 사항 / 중점주의 / 제8 의회의 심의 / 지방의 상황 / 청일전쟁 이후의 시책
2. 1904년 9월 28일의 징병령 개정
병사 수 부족 / 다나카의 〈수감록〉 / 추밀원에서의 심리 / 부담의 중점화 /
제21 의회에서의 승인 / 《요로즈초호》의 1년병론 / 지방의 상황 / 러일전쟁 이후의 시책
3. 1906년 4월 12일의 징병령 개정
‘외국’이란 / 육군의 사고방식 / 중국통 오가와 헤이키치의 반대 /
대만·가라후토·한국·청 등에 있는 자의 징병 검사 / 러일전쟁의 영향 / 지방의 상황

VIII 제1차 세계대전의 영향
1. 1918년 3월 30일의 징병령 개정
주된 개정 사항 / 문부성과의 왕복 문서 / 교육조사회의 상신 / 징병령과의 차이 /
외무성의 회답 / 미국의 징병령 / 6주간 현역제 개정 / 육군의 제1차 세계대전 연구 /
법제국의 수정 / 제국의회에서의 논의 / 대량 동원론 / 희망 결의 / 선원 보충 /
1년 지원병제와 1년 현역병제 / 총력전의 발상 / 병역 의무 균등의 진정한 의미 /
관련 규칙 개정 / 병역세 청원 / 장정세의 법안화 / 육군의 대응 / 무토 산지의 회고 /
병역세 건의의 연혁 / 우가키의 등장 / 1918년 개정의 의의 / 군사 교육의 필요성
2. 1927년 4월 1일의 병역법
베르사유 회의에서의 징병제 폐지론 / 새로운 명칭 / 재영 연한 단축 / 훈련소의 사례 /
지방의 상황 / 육군 중앙의 사고방식과 현장과의 상극 / 개정을 향한 시동 / 심의회 구성원 /
부담 경감 / 1년 현역병제 등의 폐지 / 재외자의 유예 / 사회 정책적 배려 / 국가 총동원 /
제69조 / 두 가지 개정 방향 / 다양한 개혁론 / 사토 고지로의 의견 / 다나카 구니시게의 의견 /
이누카이 쓰요시의 군비 축소 사상 / 무토 산지의 군인 우대론 / 육군으로서의 사고방식 /
요시노 사쿠조의 군비 축소론 / 군사사상 보급

IX 중일전쟁 시기의 병역법
1. 1939년 3월 9일의 병역법 개정
방공 협정 강화 / 작전에 대한 두 가지 사고방식 / 장기 지구전 / 재만주 군비 강화 /
편제 개편 / 육군성 징모과의 기안 / 제74 의회에서의 심의 / 단기 현역병제의 특전 /
간부 후보생의 저연령화 / 법학협회에 의한 해설
2. 1941년 2월 14일의 병역법 개정
1940년의 징집 수 / 개정 취지 / 아나미 고레치카 육군차관의 설명 /
북중국·몽강은 포함되는가 / 마루야마 쓰루키치의 질문 / ‘후비역’ 명칭 폐지의 의미 /
현 재류지 징집주의 / 조선·대만 등에 병역법을 적용할 것인가 / 법학협회에 의한 해설 / 지방의 상황
3. 1941년 10월 16일의 병역법 개정
부칙 제4항 삭제 / 추밀원에서의 심리 / 제77 의회에서의 승낙 / 고이즈미 준야의 찬성론 /
중국·홍콩·마카오 재류 국민 / 예비 장교 / 임시 징병 검사 / 병역법에 관한 각종 논의 /
해군 임시조사과의 병역세론

X 태평양전쟁 시기의 병역법
1. 1942년 2월 18일의 병역법 개정
개정이 필요하다고 보는 이유 / 개정 취지 / 제79 의회에서의 심의 /
국민병에 대한 평가의 변경 / 징병 적령의 수시 변경 / 해군 보충병
2. 1943년 3월 2일의 병역법 개정
제국 방위권 확대 / 개정의 구체적 예 / 기무라 헤이타로의 설명/《조선군 개요사》 /
참정권은 대가가 아니다 / 조선에서의 징집
3. 1943년 11월 1일의 병역법 개정
재학 징집 연기 임시 특례 / 개정 취지 / 위원회에서의 논의 / 대만에서의 징병제 / 특별 지원 제도
4. 1945년 2월 10일의 병역법 개정
개정 취지 / 제67조 / 장교 보충
5. 1945년 6월 23일의 의용병역법 공포
의용병제란 / 병역법과의 관계 / 병비과의 답변 자료 / 징용과 병역

저자소개

가토 요코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0년 일본 사이타마현 오미야시(현 사이타마시)에서 태어났다. 도쿄대학 문학부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인문사회계연구과에서 박사 과정을 수료하였다. 1989년부터 야마나시대학에서 교편을 잡았고 스탠퍼드대학 후버연구소 방문연구원을 거쳐 1994년부터 도쿄대학 문학부에 부임하여 현재에 이른다. 현재 도쿄대학 문학부 교수이다. 주요 저서로는 《모색하는 1930년대—미·일 관계와 육군 중견층 模索する1930年代—日米関係と陸軍中堅層》(1993), 《만주사변에서 중일전쟁으로 満州事変から日中戦争へ》(2007), 《그럼에도 일본은 전쟁을 선택했다 それでも、日本人は「戦争」を選んだ》(2009), 《천황과 군대의 근대사 天皇と軍隊の近代史》(2019) 등이 있다.
펼치기
박완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81년 부산에서 태어났다. 고려대학교 동양사학과를 졸업하고 도쿄대학 대학원 인문사회계연구과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 하였다. 2019년부터 강릉원주대학교 인문학연구소, 한양대학교 창의융합교육원을 거쳐 2024년부터 숙명여자대학교 일본학과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연구 분야는 육군을 중심으로 한 근대 일본의 정치·군사사이다. 주요 연구 성과로는 《교류와 전쟁으로 본 일본사》(2023, 공저), 《근대 일본인의 국가인식》(2023, 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