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교류와 전쟁으로 본 일본사

교류와 전쟁으로 본 일본사

조명철, 홍성화, 정기웅, 정순일, 김현우, 고은미, 이해진, 송완범, 이세연, 한상문, 위신광, 박완, 이형식 (지은이), 조명철 (엮은이)
경인문화사
3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3,250원 -5% 0원
1,050원
32,2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교류와 전쟁으로 본 일본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교류와 전쟁으로 본 일본사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일본사 > 일본사 일반
· ISBN : 9788949967196
· 쪽수 : 474쪽
· 출판일 : 2023-09-15

책 소개

총 2부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에서는 일본과 주변 세계와의 외교·교류와 상호 인식, 사람·물품·질병의 이동과 이에 대한 중앙 권력의 대응을 다루었다. 다음으로 제2부에서는 일본 국내외의 전쟁이 초래한 사람·물자·정보의 동원과 국내 지배 질서의 변용, 그리고 지배층의 생사관의 변화 등을 다루었다.

목차

총설
역사의 좌표-외교와 전쟁의 변주곡 조명철
Ⅰ. 머리말
Ⅱ. 일본외교의 지향점
Ⅲ. 의화단 사건이 초래한 일본 외교의 폭주
Ⅳ. ‘만한 교환론’의 등장
Ⅴ. 맺음말

제1부
高松塚古墳 壁畵服飾에 대한 一考察-壁畵製作年代와 被葬者를 중심으로 홍성화
Ⅰ. 머리말
Ⅱ. 高松塚古墳 壁畵服飾의 분석
Ⅲ. 高松塚古墳의 築造年代
Ⅳ. 高松塚古墳의 被葬者
Ⅴ. 맺음말

역병의 대유행과 조정의 대응책-天平 9(737)年 역병 사례를 중심으로 정기웅
Ⅰ. 머리말
Ⅱ. 天平 9년 역병의 양상
Ⅲ. 태정관부의 역병 대응책
Ⅳ. 전약료감문의 역병 대응책
Ⅴ. 대응책의 비교, 검토
Ⅵ. 맺음말

9세기 일본의 당물(唐物)에 관한 기초적 검토 정순일
Ⅰ. 당물(唐物)에 관한 종래의 논의
Ⅱ. 당물(唐物) 등장 이전의 박래품(舶來品): 명칭 표기 및 내용의 비교
Ⅲ. 9세기 당물(唐物)의 실태와 성격
Ⅳ. 맺음말을 대신하여: 당물(唐物) 연구의 전망과 과제

고려 문종의 의사파견 요청과 여일관계 김현우
Ⅰ. 서론
Ⅱ. 문종의 의사파견 요청과 대송(對宋)외교
Ⅲ. 대일교섭과 의사파견 요청
Ⅳ. 일본의 대고려(對高麗)인식 변화
Ⅴ. 결론

송의 조공정책 전환과 ‘고려상인’ㆍ‘일본상인’의 등장 고은미
Ⅰ. 머리말
Ⅱ. ‘고려상인’・‘일본상인’의 등장
Ⅲ. 송의 선박파악방식 변화
Ⅳ. 송의 조공정책 전환
Ⅴ. 맺음말

17세기 말 朝日關係의 변화와 對馬藩-‘亂後의 餘威의 쇠퇴’에 관한 재고로부터 이해진
Ⅰ. 머리말
Ⅱ. 1682년 통신사의 도일
Ⅲ. 조선・쓰시마번 관계의 변화
Ⅳ. 竹島一件의 처리를 둘러싼 각 주체의 입장
Ⅳ. 맺음말

제2부
7세기 왜국의 外征과 內戰의 ‘戰後처리’, 그리고 일본의 탄생 송완범
Ⅰ. 머리말
Ⅱ. ‘白村江싸움’과 동아시아 諸國의 유민
Ⅲ. ‘壬申의 亂’과 왜국의 유민
Ⅳ. 왜국의 ‘戰後처리’로서의 ‘遺民처리’
Ⅴ. 맺음말

일본 중세무사들의 원한과 화해 이세연
Ⅰ. 머리말
Ⅱ. 수호신으로 전환되는 원령
Ⅲ. 살생의 업과 원령의 침묵
Ⅳ. 사사로운 원한, 공(公)의 화해
Ⅴ. 맺음말

메이지 시기 陸軍糧秣厰의 설치와 일본 육군 兵食의 ‘근대화’ 한상문
Ⅰ. 머리말
Ⅱ. 육군의 소고기 통조림 도입과 통조림 산업의 발전
Ⅲ. 육군양말창의 설치와 관제(官製) 소고기 통조림 생산
Ⅳ. 양말창의 유럽 모델로의 전환 : 후쿠오카 사지로(福岡佐次郎)의 구미(歐美) 시찰
Ⅴ. 맺음말

제1차 세계대전 시기 대만총독 인사와 육군 내 寺內正毅의 위상 위신광
Ⅰ. 머리말
Ⅱ. 대만총독 후임 문제의 부상과 육군의 조기 검토
Ⅲ. 대만총독 후임 인사를 둘러싼 육해군의 공방
Ⅳ. 대만총독 후임인사의 극적인 반전과 데라우치의 역할
Ⅴ. 맺음말

제1차 세계 대전기 일본 육군의 승패 분석과 ‘대전의 교훈’ 박완
Ⅰ. 머리말
Ⅱ. 대전 발발 직후의 승패 예상
Ⅲ. 대전 중기의 군사력 평가와 그 교훈
Ⅳ. 대전 종결 전후의 승패 분석과 그 교훈
Ⅴ. 맺음말

아시아태평양 전쟁시기 조선인・대만인 참정권 문제 이형식
Ⅰ. 머리말
Ⅱ. 도조 내각 시기의 참정권 문제
Ⅲ. 고이소 내각 시기의 참정권 문제
Ⅳ. 맺음말

저자소개

송완범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사학과 졸업 후 일본 도쿄 대학교에서 일본사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고려대학교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고령사회연구원 부원장을 맡고 있다. 2020년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내에 고령사회연구센터를 설립하여 고령사회연구원 설립의 토대를 마련했다. 관련 연구 성과로는 《2022 대한민국이 열광할 시니어 트렌드》 (공저), 논문 〈‘초고령사회’의 이해와 수용을 위한 기초적 고찰〉 (2022) 등이 있으며, 매스컴에 다수의 기고문을 쓰고 있다.
펼치기
홍성화 (지은이)    정보 더보기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 및 논문으로 「石上神宮 소장 七支刀의 신해석에 대한 추가 쟁점 연구」(『백제연구』 78, 2023), 「隅田八幡神社(스다하치만신사) 인물화상경에 대한 일고찰」(『한국고대사탐구』 43, 2023), 『왜 5왕: 수수께끼의 5세기 왜국 왕』(살림출판사, 2019), 『칠지도와 일본서기: 4~6세기 한일관계사 연구』(경인문화사, 2021), 『일본은 왜 한국역사에 집착하는가』1,2(시여 비, 2023, 2024) 등이 있다.
펼치기
이형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원 교수. 고려대학교 동양사학과 를 졸업하고 도쿄대학 일본사학과연구실에서 박사학위 를 받았다. 주로 식민지 관료, 재조일본인, 조선주둔군 등을 통한 식 민지정치사를 연구해 왔다. 대표논저로 『朝鮮総督府官僚の統治構想』(吉川弘文館, 2013)、『제국과 식민지의 주변인 : 재조일본인의 역사적 전개』(공편저, 보고사, 2013), 사료집 『斎藤実・阿部充家 왕복서한집』(아연출판부, 2018) 외 다수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이세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양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도쿄대학 대학원 총합문화연구과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한국교원대학교 역사교육과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연구 주제는 원령 진혼, 전사자 추도이다. 주요 연구 성과로는 <사무라이의 정신세계와 불교>(저서), <술로 풀어보는 일본사>(공역), <요괴>(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정순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역사교육과를 졸업하고 와세다대학 대학원 문학연구과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고려대학교 역사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연구 주제는 일본 고대사 및 동아시아 해역 교류사이다. 주요 연구 성과로는 <九世紀の来航新羅人と日本列島>(저서), <바다에서 본 역사>(공역), <古代日本対外交流史事典>(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조명철 (엮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도쿄대학 대학원 인문사회계연구과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고려대학교 사학과를 정년 퇴임하였다. 연구 주제는 일본 근대사이다. 주요 연구 성과로는 <일본근세근현대사>(공저), <논쟁을 통해 본 일본사상>(공역), <일본인의 선택>(공저), <현대일본의 사회와 문화: 저팬리뷰 2017>(공저), <동아시아 시대의 리더십>(공저), 「러일전쟁기 군사전략과 국가의사의 결정과정」, 「러일전쟁과 동아시아 국제질서」 등이 있다.
펼치기
정기웅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대학원 사학과에서 석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고려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박사 과정에 재학 중이다. 연구 주제는 고대 일본에서 발생하였던 역병이다. 주요 연구 성과로는 「역병의 대유행과 조정의 대응책: 天平 9(737)年 역병 사례를 중심으로」, 「8세기 전반 사신의 왕래와 동아시아 역내 역병의 전파」, 「고대 일본 의사(醫師)의 기능과 역할」 등이 있다.
펼치기
김현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림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교토대학 대학원 문학연구과 후기 박사 과정을 수료하였다. 교토대학 문학부에서 비상근 강사로 재직하였다. 연구 주제는 헤이안 시대 한일 관계사이다. 주요 연구 성과로는 「10세기 일본의 정치적 상황과 한일관계」, 「고려 문종의 의사파견 요청과 여일관계」, 「‘刀伊(동여진)의 침구’ 사건의 재검토와 여일관계의 변화」가 있다.
펼치기
고은미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동양사학과를 졸업하고 도쿄대학 대학원 인문사회계연구과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연구 주제는 10~14세기 동아시아 교류사 및 일본 중세사이다. 주요 연구 성과로는 「日本・高麗との交易事例からみた元の対外政策」, “Characteristics of overseas Chinese residents and the background behind the formation of their settlements in the Song period”, 「일본의 역사 전개와 무사정권」 등이 있다.
펼치기
이해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교토대학 대학원 문학연구과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동국대학교 문화학술원 HK+사업단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연구 주제는 근세 한일관계사이다. 주요 연구 성과로는 「訳官使の役割拡大と接待儀礼」, 「조일 국교회복에 관한 에도시대의 역사서술: 17세기의 성립과정을 중심으로」, 「1636년 조선통신사의 닛코 참배와 그 기억: 근세 일본의 ‘武威’ 외교에 관한 재고」 등이 있다.
펼치기
한상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조선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대학원 사학과에서 석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고려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박사 과정에 재학 중이다. 연구 주제는 일본 육군의 병참 시스템이다. 주요 연구 성과로는 「메이지 시기 陸軍糧秣厰의 설치와 일본 육군 兵食의 ‘근대화’」 등이 있다.
펼치기
위신광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국 다롄외국어대학교 한국어학과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대학원 사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연구 주제는 일본 근대 군사사 및 정치・외교사이다. 박사 논문은 근대 일본 병참 체제의 성립과 운영, 특히 청일전쟁 시기 한반도의 사례를 중심으로 다루었다. 주요 연구 성과로는 <중국경제의 현대화-제도 변혁과 구조전환>(공역), <韩国的对外关系与外交史(高丽篇)>(공역, 근간), 「제1차 세계대전 시기 대만총독 인사와 육군 내 데라우치 마사타케(寺内正毅)의 위상」 등이 있다.
펼치기
박완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동양사학과를 졸업하고 도쿄대학 대학원 인문사회계연구과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한양대학교 창의융합교육원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연구 주제는 육군을 중심으로 한 근대 일본의 정치·군사사이다. 주요 연구 성과로는 「제1차 세계대전 후의 일본 황실의 위기와 육군의 대응」, 「다나카 기이치(田中義一)의 정치적 변신과 군민일치론」, 「야마가타 아리토모(山縣有朋)와 메이지(明治) 국가 건설」 등이 있다.
펼치기
조명철 (엮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도쿄대학 대학원 인문사회계연구과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고려대학교 사학과를 정년 퇴임하였다. 연구 주제는 일본 근대사이다. 주요 연구 성과로는 <일본근세근현대사>(공저), <논쟁을 통해 본 일본사상>(공역), <일본인의 선택>(공저), <현대일본의 사회와 문화: 저팬리뷰 2017>(공저), <동아시아 시대의 리더십>(공저), 「러일전쟁기 군사전략과 국가의사의 결정과정」, 「러일전쟁과 동아시아 국제질서」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