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이야기
· ISBN : 9791169851213
· 쪽수 : 328쪽
· 출판일 : 2025-01-31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PART 1 돈의 속성: 계속 늘어나고, 늘어나야만 한다
자꾸만 돈이 늘어나는 비밀, 3개의 수도꼭지
- 첫 번째 수도꼭지: 민간은행
- 두 번째 수도꼭지: 정부와 한국은행
- 세 번째 수도꼭지: 외국인
(서프라이징 투자 TIP 돈의 양이 늘어나면 항상 돈의 가치는 떨어지는가)
돈이 늘지 않으면, 최대의 피해자는 국민이다
- 나쁜 점을 견딜 수 있는가?
- 미국, 인플레이션이 큰 문제가 되지 않는 이유
(서프라이징 투자 TIP 투자란 돈의 물결과 남의 어깨에 올라타는 일)
PART 2 리스크와 포트폴리오: 변동성을 잡아내는 방법
주식과 부동산 투자에 대한 ‘의미 있는’ 질문
- 변동성과 관련된 차이
- 가격 결정의 중요한 요인
어느 순간 말려들게 되는 나락의 사이클
- 매번 실패하기만 하는 사람의 심리
- 변동성이 큰 투자는 항상 나쁜 결과를 가져온다
- 투자 수익률은 오로지 기다림에서 나온다
-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이라는 말의 의미
- 100% 내가 이기는 게임의 법칙
- 우리가 믿을 수 있는 유일한 것
(서프라이징 투자 TIP 모건 하우젤의 가상 투자 게임)
PART 3 환율, 금리, 채권: 요동치는 돈의 세상
채권과 금리에 대한 세상에서 가장 쉬운 설명
- 현재의 돈과 미래의 돈
- 채권 가격과 시중 금리의 관계
채권과 금리 관계로 살펴보는 경기에 대한 판단
- 배고픈 철수는 왜 설거지까지 하려고 할까?
- 중앙은행이 금리를 결정하게 놔두는 이유
요동치는 환율을 꿰뚫어 보는 시선
- 환율 변동의 주요 요인들
- 환율이 변하지 않으면 생기는 일
- 왜 전 세계 모든 국가의 금리는 동일하지 않을까
PART 4 부동산: 아파트 불패 신화의 탄생
세계적으로 유례가 없는 대한민국 아파트 시장
- 정부 주도의 아파트 공급
- 허약한 시행사가 든 깃발
- 왜 우리나라 아파트는 다 똑같이 생겼을까?
- 부동산 뉴스를 들을 때 생각해야 하는 것
아파트 가격 상승과 하락의 여러 요인
- 고작 ‘시멘트 덩어리’인 아파트는 왜 비싸질까?
- 공급이 많으면 가격은 낮아진다
금리, 수출 그리고 집값의 비밀
- 한국이 낮은 금리를 유지할 수 있는 이유
- 그러면 못사는 나라의 집값은 쌀까?
(서프라이징 투자 TIP 사실 통화량과 부동산 가격은 관계가 별로 없다)
PART 5 부채: 현대 경제 시스템의 엔진
경제 문제를 해결하는 부채의 역할
- 은행의 핵심 수익 모델은?
- 알고 보면 세상은 100% 부채로 구성되어 있다
- 문제의 드라마틱한 해결
내 인생을 바꿀 수 있는 좋은 부채
- 지금이냐, 10년 뒤냐?
- 빚으로 미래의 시간을 사다
- 견딜 수 없는 변동성의 위험
가계 부채 때문에 대한민국은 망하는 걸까?
- 공포심에 사로잡힐 필요는 없어
- 가계 부채가 많을 수밖에 없는 이유
(서프라이징 투자 TIP 정답이 없는 딜레마, 부채라는 숙명)
PART 6 금융 위기: 무엇이 위기이고, 어떤 점을 관찰해야 하나?
경제와 금융, ‘위기’의 기준은 무엇일까?
- 은행이 의심받는 그 순간
- 뉴스의 크기에 상관없는 위기의 시작
은행이 처해 있는 의심받는 구조
- 은행의 탄생
- 지급준비율과 자기자본비율
(서프라이징 투자 TIP 은행과 대부업, 어디가 더 나쁠까?)
미국과 한국의 사례에서 보는 금융 위기의 전개 과정
- 최초의 좋은 의도
- IMF, 환율이 만들어 낸 외환 위기
(서프라이징 투자 TIP 금융 위기가 닥쳐올 때 보이는 신호들)
PART 7 잘사는 나라의 비밀: 나는 무엇을 할 것인가?
도대체 잘사는 나라는 왜 잘살게 된 것일까?
- 어떻게 해야 잘사는 나라가 되는가
- 단 하나의 정답은 없다
- 제2의 대한민국이 쏟아질 수 있을까
- 하필 중국이 개혁 개방을 늦게 해서…
영국에서 살펴보는 잘사는 나라의 원인
- 나무에 목숨 걸어야 했던 영국
- 개량된 증기기관의 압도적인 효율성
- 이자가 만들어 낸 잘사는 나라의 비결
서프라이징 투자 TIP 불편한 환경의 극복 과정에서 이뤄지는 성취
부자 나라의 비밀, 결국 다시 사람으로…
- 발전이 멈추고 성장에 한계가 있을 때
- 사업할 의지와 인센티브
(서프라이징 투자 TIP 대한민국은 경제 발전을 지속할 수 있을까?)
PART 8 게임의 본질과 선택의 역설: 더 현명한 인생을 위해
거래라는 게임, 여기에 적용되는 의외의 법칙
- 노점상의 높은 가격에 대한 괘씸함
- 뷔페 음식에서 무엇을 먹어야 하나?
- 고객을 설득하면 되지 않을까?
(서프라이징 투자 TIP 회사와의 소통에 적용되는 게임의 본질)
재테크에 내재한 게임의 법칙
- 예상치 못했던 새로운 법칙
- 계좌를 열어 보지 않으면 얻게 되는 이득
동전을 던져서 하는 선택이 제일 현명한 이유
- 인생에서 좋아하는 일을 꼭 찾아야 하나?
- 최소한 49의 가치는 반드시 있다
- 은행이 나에게 선택을 하라는 이유
위험해 보이는 선택이 위험하지 않은 이유
- 마을을 떠난 사람들의 소득
- 파키스탄인이 인도인인 척하는 이유는?
에필로그
리뷰
책속에서
고등학교 경제 교과서 목차를 펼쳐 보면 이런 내용들이 나온다. 생산과 소비, 시장경제의 특성, 수요-공급과 가격, 국민경제의 3요소, 무역의 필요성과 원리, 세계 속의 대한민국. 아마도 고등학교 경제 교과서의 교육 목표가 ‘책임 있는 민주 시민’ 양성이므로 그럴 수도 있겠다 싶기는 하다. 그러나 어른이 된 우리 삶의 목표는 책임 있는 민주 시민만은 아니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함께 든다. 우리의 욕망을 좀 더 솔직하게 마주해 보자. 우리는 돈을 벌고 싶고, 좋은 집과 좋은 차도 갖고 싶다. 주식투자도 성공하고 싶고, 아무튼 가난하고 힘들게 살고 싶지는 않다. 적은 시간을 일하고도 남보다 많은 돈을 벌면 좋겠고, 어느 날 갑자기 큰돈을 잃고 가난해지는 것도 피하고 싶다. 사실은 이렇게 되고 나야 민주 시민의 책임 같은 것도 다 할 수 있을 것 같기도 하다. 그렇다면 무엇을 배우면 이렇게 될 수 있을까?
_ 「프롤로그」
은행이 ‘돈의 수도꼭지’인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다. 고객들이 은행을 이용하면서 대출을 받는 과정에서 돈은 계속해서 늘어나기 때문이다. 이제 우리는 지난달 은행 가계 대출이 5조 원이나 늘어났다는 뉴스를 듣게 되면 ‘가계 부채가 늘어나서 큰일이다’라는 생각 대신 ‘아, 시중에 5조 원이나 돈이 더 풀려 나왔다는 말이구나’라고 생각해야 한다. 우리는 이렇게 생각의 방향을 바꿔야 ‘가계 부채가 계속 늘어난다고 하니 조만간 큰일이 터지고, 사람들은 부채 부담 때문에 집을 사지 못하게 될 테니 집값도 내려갈 것이다’라는 흔한 착각에 빠지지 않는다. 가계 부채가 계속 늘어나면 장기적으로는 부담이 될 수도 있으나, 단기적으로는 시중에 풀려 나온 돈의 양이 많아진 효과로 집값에는 오히려 상승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_ 「PART 1 돈의 속성: 계속 늘어나고, 늘어나야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