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91170002772
· 쪽수 : 242쪽
· 출판일 : 2020-12-01
책 소개
목차
서 언
요 약 문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제2절 연구의 목적 및 구성
제2장 기술·사회 환경변화와 지방정부의 수용성
제1절 지능정보기술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지방정부의 특성
1. 조직적 요인
2. 경제적 요인
3. 사회적 요인
제2절 지방공무원 지능정보기술 수용성 영향요인 분석틀
1. 접근요인으로서의 지방정부 조직특성
2. 회피요인으로서의 지방정부 조직특성
제3장 지능정보기술에 대한 지방공무원 수용성 분석
제1절 조사 개요
제2절 기초분석
1. 지능정보기술과 관련된 인식 또는 행위
2. 기반 제품(또는 서비스)에 대한 인식과 사용의도
3. 지능정보기술 기반 제품(또는 서비스)에 대한 회피/접근요인
4. 최신 기술과 기술효과에 대한 인식
5. 지능정보기술 활용을 위한 기관역량 평가
6. 지능정보기술의 업무활용의도와 정책적 지지의 정도
제3절 중앙공무원과 지방공무원 간의 인식비교
1. 지능정보기술 기반 제품(또는 서비스)에 대한 인식과 사용의도
2. 지능정보기술 기반 제품(또는 서비스)에 대한 회피/접근요인
3. 최신 기술과 기술효과에 대한 인식
4. 지능정보기술 활용을 위한 기관역량의 중앙과 지방 비교 평가
5. 지능정보기술의 업무활용의도와 정책적 지지의 정도
제4절 지방공무원 수용성 인과관계 분석
1. 지능정보기술 업무활용의사 영향요인 분석
2. 조절효과 분석
제5절 지방공무원 수용성 연구요약 및 정책적 함의
1. 기초분석 결과를 통해 살펴본 시사점
2. 중앙공무원과 지방공무원 인식비교 결과의 시사점
3. 지방공무원의 지능정보기술 수용성 인과관계 분석 결과와 시사점
제4장 지능정보기술 수용성 종합분석
제1절 분석의 방향성
제2절 2차 연도 연구의 주요 내용 요약
1. 통합 연구 모형
2. 수용성 모형: 구조방정식에 기초한 모형
3. 수용성 모형: 회귀분석에 기초한 모형
제3절 기초분석
1. 인구학적 특성
2. 일반 시민-공무원 전체 간 차이 검증
3. 일반 시민-중앙정부 공무원 간 차이 검증
4. 일반 시민-지방정부 공무원 간 차이 검증
제4절 지능정보기술 수용성 인과관계 분석
1. 분석 방향성 및 분석 모형
2. 지능정보기술 수용성 모형 기준 집단 간 영향력 비교 분석
3. 다차원적 수용성에 관한 결정요인 분석
4. 정책적 수용성에 관한 결정요인 분석
5. 조절효과 분석
제5절 지능정보기술 수용성 연구요약 및 정책적 함의
1. 기초분석 결과 요약
2. 인과관계분석 결과 요약
3. 정책적 함의 도출
제5장 지능정보기술 사회적 수용성 전문가 조사
제1절 전문가 조사 개요
제2절 지능정보기술 관련 전문가 인식조사
1. 지능정보기술 전반에 대한 인식
2. 정부의 역할
3. 지능정보기술 관련 정책문제에 대한 인식
제3절 지능정보기술 수용성 제고를 위한 전문가 의견수렴
1. 지능정보기술 활용 활성화를 위한 성공요인 및 장애요인
2. 지능정보기술 수용 수준 및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일반 시민 역량강화 방안
제6장 결론 및 정책적 함의
참 고 문 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