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91170002253
· 쪽수 : 235쪽
· 출판일 : 2018-12-31
목차
제 1 장 서 론
제 1 절 연구의 필요성
제 2 절 연구목표 및 주요내용
1. 연구목표
2. 주요 내용
제 2 장 지능정보기술의 개념과 특징
제 1 절 지능정보기술의 정의
제 2 절 지능정보기술의 특징
1. 높은 혁신성
2. 높은 변화유도 가능성
3. 높은 추상성
4. 낮은 지식수준과 낮은 사용자 경험
5. 높은 불안성
제 3 장 기술 수용성의 이론적 배경 및 사회적 수용성
제 1 절 기술수용성
1. 기술수용모형
2. 통합기술수용모형
3. 혁신 확산 모형
4. 혁신 저항 모형
5. 모형의 비교분석 및 평가
제 2 절 사회적 수용성
1. 수용성의 정의
2. 수용성과 유사한 개념들
3. 수용성의 다차원성
4. 사회적 수용성
제 4 장 지능정보기술 정책동향 및 정책이슈
제 1 절 지능정보기술 정책동향
1. 미국의 기술 정책 Trend
2. EU의 기술 정책 Trend
3. 독일의 기술 정책 Trend
4. 영국의 기술 정책 Trend
5. 중국의 기술 정책 Trend
6. 일본의 기술 정책 Trend
7. 시사점
제 2 절 지능정보기술 정책이슈
1. 정치·행정 분야
2. 경제·노동 분야
3. 사회·복지 분야
4. 교육·문화 분야
5. 보안 분야
제 5 장 연구설계
제 1 절 측정문항 설계
1. 측정문항 설계전략
2. 측정문항 구성전략
제 2 절 표본설계
제 3 절 분석설계
1. 문항분석 및 기술통계 분석
2. 수용단계와 사용경험 분석
3. 모형분석
4. 수용자의 인식비교 분석
5. 변화가능성 탐색 : 메시지 방향성 차이 검증
6. 관련 정책 분석
제 6 장 분석결과
제 1 절 문항분석 및 기술통계 분석
1. 조사결과 개요
2. 응답자 특성
3. 문항분석
4. 기술통계 분석
제 2 절 사용경험 분석
제 3 절 모형분석
1. 기존모형 분석
2. 지능정보기술 및 지능형 로봇의 수용성 모형 탐색
제 4 절 수용자의 인식비교 분석
1. 기술 간 비교
2. 국가 간 수용성 비교
제 5 절 변화가능성 탐색 : 메시지 방향성 차이 검증
제 6 절 관련 정책 분석
제 7 장 결 론
제 1 절 기존 이론적 모형의 검증
1. 기술수용모형
2. 통합기술수용모형
3. 혁신수용모형
4. 혁신저항모형
제 2 절 지능정보기술의 수용성 모형 탐색
제 3 절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부록. 설문지 및 빈도분석 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