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기초과학/교양과학
· ISBN : 9791170220114
· 쪽수 : 312쪽
· 출판일 : 2015-10-23
책 소개
목차
제 1 장 멸종을 반전시키는 방법
여섯 번째 대멸종
멸종 반전
복원에 대한 과학적 관점
복원시키기
제 2 장 종 선택하기
복원을 하려는 ‘옳은’이유
복원을 결정하는 짧은 안내서
부활시키려는 납득할 만한 이유가 존재하는가?
왜 멸종되었는가?
부활이 성공했을 때 서식지는 마련되어 있는가?
현재 생태계에 부활한 종을 도입하면 어떤 영향을 끼칠까?
게놈 배열을 알아내는 것이 가능할까?
게놈 배열을 살아 있는 유기체로 만드는 방법이 있는가?
부활한 종을 사육 상태에서 야생 서식지로 옮기는 것은 가능한가?
사육장의 코끼리가 매머드가 될 가능성
제 3 장 잘 보존된 표본 찾기
쥬라기 공원은 없다?
DNA가 없는 화석에서 DNA 추출하기
화석에서 발견되는 놀라운 DNA의 다양성
DNA 생존기간의 한계
아주 오래되었다고 말할 수 있는 연대는?
제 4 장 복제본 만들기
123. 체세포 핵 치환
130. 기적을 찾아서
132. 새로운 희망과 지하세계의 짐승
137. 첫 번째 시도
140. 보존의 수수께끼를 해결하는 가능한 해결책과 매머드
144. 점점 높아져가는 기대감과 새로운 경쟁자
150. 그렇게 연구는 계속되고
제 5 장 멸종 종 부활시키기
160. 재번식
167. 간단하면 더 좋은 걸까?
169. 성공까지 너무 느린 과정
제 6 장 게놈 복원하기
180. 매머드 ‘잘라내기’와 ‘붙여넣기’
183. 유전자가위와 효소풀
188. 크리스퍼로 보는 복원
제 7 장 부분적인 게놈 복원하기
195. 복원된 마몬텔레페이즈
199. 매머드와 비슷한 외형에 비슷한 행동을 한다면 이를 매머드라고 할 수 있는가?
203. 게놈의 어떤 부분을 조작해야 하는가?
209. 뉴클레오타이드의 합보다 더 많은
제 8 장 복제본 만들기
217. 최초의 복원이라 할 수 없는 상황
220. 핵 치환을 이용한 복원
221. 부카르도 탄생시키기
222. 불안한 아이벡스와 아종 해결책
225. 복원으로 가는 예상치 못한 장벽
227. 매머드의 문제점들
230. 크기 문제
233. 조류를 위한 복제
236. 생식세포 치환을 이용한 복제
제 9 장 더 많은 복제본 만들기
249. 진화의 촉진
253. 한 마리를 더해서 개체를 만든다
257. 한 마리의 탄생으로부터 많은 개체를 양육하기까지
261. 또 다른 과제, 매머드
제 10 장 풀어 주기
269. 그리고…… 풀어주기
275. 멸종위기에 처한 종을 유전적으로 변형한 생물
283. 야생으로 돌려보내고, 생태계의 부활을 향해
제 11 장 우리는 과연?
292. 위험한 병원균을 부활시킬 수도 있다
293. 복원은 동물에게 정당하지 않다
294. 현생 종의 보존을 우선순위에 두어야 한다
297. 멸종되지 않은 종들마저 갈 곳이 없다
299. 멸종에서 구해낸 종을 풀어주면 현존하는 생태계가 파괴될 것이다
305. 만약 복원이 가능하다면 멸종률은 증가할 것이다
305. 우리는 ‘신처럼 놀고 있다’
307. 복원의 산물은 원래의 종과 똑같지 않을 것이다
309. 실증주의
리뷰
책속에서
매머드는 다르다. 지난 1만 년간 매머드가 멸종할 만한 어떤 비극적인 사건도 발생하지 않았다. 최근에 밝혀낸 유전학 연구 결과에서는 매머드의 개체수가 아마도 약 2만 년 전 마지막 빙하기 이후로 줄어들기 시작했을 것이라고 한다. 당시 많은 생물이 풍부한 먹이를 찾을 수 있던 스텝 툰드라, 즉 북극 초원이 점차 현대의 북극 식물로 대체되기 시작했다. 매머드는 약 8000년 전 북미와 아시아 대륙에서 멸종되었지만 베링 해협Bering Strait의 떨어진 두 지역에서 수천 년 더 생존했다. 한 지역은 알래스카 남부에 위치한 프리빌로프 제도Pribilof Islands로 약 5000년 전까지, 다른 한 지역은 시베리아 북동부에 있는 랭갤 섬Wrangel Island으로 약 3700년 전까지 매머드가 살아 있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