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시대 일반
· ISBN : 9791170485681
· 쪽수 : 352쪽
· 출판일 : 2023-06-12
책 소개
목차
머리말
稻作文化를 찾아서- 草露 박철수
벽골제사(碧骨堤社)
벽골제 역사 개요
벽골제의 관할 행정구역
1. 제(堤)의 소재지
2. 제내 관할 행정구역
3. 벽골제의 몽리 구역
- 짐(卜)
시축 연대와 국가
1. 시축(始築)
- 마한시대
- 백제의 지배 영역
- 근초고왕과 신공황후
2. 맺는말
보수공사
1. 서설(序說)
2. 신라 시대
- 원성왕의 증축(增築)
- 문성왕 대의 보수
- 기타보수공사
3. 고려 시대
4. 조선 시대
- 태종의 중수(重修)
- 태종의 중수비
- 송일중의 보수
존폐론
1. 세종대의 존폐론
- 벽골제와 박초
2. 현종대의 존폐론
3. 숙종의 환발(渙發)
4. 정조대의 존폐론
벽골제의 규모
1. 제방의 길이
- 벽골제 남북 쪽 접점과 여수토의 위치
2. 중수비에 기록된 제장과 둘레
3. 제방의 크기와 수문의 구조
4. 만수위와 사수위(死水位)
- 도량형의 역사 개요
근황(近況)
- 벽골제 사적비(碧骨堤 史蹟碑)
- 김제 벽골제 비(金堤 碧骨堤 碑)
문제점과 연구과제
1. 문제점
- 규모에 대하여
- 수문의 현재 위치와 제방 높이
- 수월리에 대하여
- 벽골제가 방조제라는 설에 대하여
- 용수로 보전 문제
2. 연구 과제
- 벽골제 지역의 벼 재배 역사
- 전통농경 문화 소택식 영농
- 부윤현 관개(灌漑)의 미스터리
- 수여거 유통거 2거문
- 호안 석축
- 지질학적 검토
- 토랑에 대하여
역사 기록과 발굴 조사로 밝혀진 수문의 구조
1. 장생거, 중심거, 경장거 3거문
2. 장생거 중심거 경장거 3거문 모형도
맺는말
벽골제에 얽힌 이야기
1. 초혜산(草鞋山: 신털뫼)
2. 승답(升畓: 되배미)
- 용
3. 김제 조씨(趙氏) 조연벽(趙連壁) 장군의 설화
- 벽골제에 단야(丹野)의 전설은 없다
- 표절된 단야 소설과 원작의 오류
- 아리랑과 수문모형
- 김제에 쌍용놀이 민속은 없다
4. 제주 방죽
5. 호남(湖南) 호서(湖西)의 호칭
6. 김제(金堤)의 지명
7. 용두동(龍頭洞)
8. 석산지(石山址)
9. 명금산(鳴琴山)
벽골제 발굴조사
1. 發掘經過
- A 지구
- B 지구
2. 遺蹟의 構造
水門 石柱
水門 前面 護岸石築(B地點)
堤防構築土
도수로
3. 제방의 構築過程에 대한 검토
4. 시축 연대
- 출토유물과 그 연대
- 방사성탄소에 의하여 측정된 연대
5. 맺는말
6. 윤무병 교수의 발굴조사 보고서에 대한 고찰
벼의 근원과 전래
수리시설
1. 발전 과정
제언사(堤堰司)
2. 보(洑)
3. 국내 유서 깊은 저수지
수산제(守山堤)
의림지
눌제(訥堤)
황등제(黃登堤)
합덕지(合德池)
남대지(南大池)
공검지(恭儉池)
경양지(景陽地)
축만제(祝萬堤)
청제(菁堤)
4. 근세 국내 수리시설
15개 수리조합 내력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