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통일/북한관계 > 통일문제
· ISBN : 9791171173242
· 쪽수 : 216쪽
· 출판일 : 2024-01-15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시간과 공간 이야기
Ⅰ. 우주에서 한반도를 보는 방법
1 한반도를 보는 또 하나의 눈
2 인공위성 원격탐사의 기초
Ⅱ. 우주에서 본 한반도의 모습들 – 북한 사회
1 우주에서 바라본 한반도의 야경
2 북한 사람들은 어디에서 살고 있을까?
3 우주에서 보이는 북한의 광산들
4 우주에서 보는 백두산, 그리고 분화 징후들
Ⅲ. 우주에서 본 한반도의 모습들 – 북한 환경
1 북한에는 정말 산에 나무가 없을까?
2 북한에도 기후변화가 오고 있을까?
3 미세먼지, 남한 vs 북한 승자는?
4 북한의 강물은 깨끗할까?
5 북한의 갯벌도 사라지고 있을까?
Ⅳ. 우주에서 본 한반도의 모습들 – 북한 군사·정치
1 북한은 오늘도 핵실험 중?
2 그 많던 정치범들은 어디에 있을까?
에필로그 모두를 위한 인공위성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2023년 1월부터 5월까지 전 세계에서 우주로 쏘아 올린 인공위성만 1,200개가 넘는다. 1950년대 소련의 스푸트니크 위성이 처음으로 우주 시대를 연 후, 60년 이상이 지난 현재 수만 개의 인공위성이 우주에 존재한다. 모두 알겠지만, 그래도 다시 한번 기억하자. 지구의 비 인공Non-artificial위성은 달Moon 하나뿐이다. 아무튼 인류가 쏘아 올린 인공위성은 지구의 진짜 위성인 달보다 가까이, 밤하늘에 보이는 별보다 많이, 지구를 둘러싸고 있다.
[Ⅰ.-1 한반도를 보는 또 하나의 눈]
미항공우주국NASA에서 운용하는 MODIS 인공위성에서 관측한 북한의 지표온도 변화로 지난 20여 년 간 북한에서 나타난 기후변화를 확인해 보았다. 매년 온도의 차이가 있지만 20여 년 동안 각 격자Grid별 변화를 통계적으로 분석하니 증가세가 명확히 드러났다. 특히 개마고원을 비롯한 북부지역의 증가가 더욱 두드러졌다. 보통 도시의 확장이 지표면의 인공 열을 증가시켜 지표온도 변화의 원인이 되지만, 북한의 경우엔 도시확장이 많지 않았다. 북한 내에서도 상대적으로 북쪽이면서(고위도) 고도가 높아 온도가 낮은 지역의 온도가 높아진 것은 명확한 기후변화의 시그널Signal이다.
[Ⅲ.-2 북한에도 기후변화가 오고 있을까?]
보통강의 일부 수질개선 상황에 정화시설의 현대화나 확충 작업이 이뤄졌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대부분의 수질오염이 하수도 처리 시설 부족으로 인한 오·폐수 및 생활하수 유입으로 발생하는데, 북한은 그동안 정수시설이나 오·폐수 처리 시설이 노후화돼 생활하수를 제대로 정화하지 않은 채 그대로 강으로 방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상황에서 몇 차례 수질정화 사업을 하거나 쓰레기 유입만 단속해서는 눈에 띄는 변화를 끌어내기 어렵다. 이에, 북한이 오염방지법을 통해 보통강 주변 기관과 기업에 현대적인 오·폐수 정화시설을 설치하게 유도한 것이 수질개선에 더 큰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
[Ⅲ.-4 북한의 강물은 깨끗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