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경영 일반
· ISBN : 9791171176373
· 쪽수 : 704쪽
· 출판일 : 2024-06-26
책 소개
목차
머리말_이 책의 출판에 즈음하여
1부. 40대의 이나모리 가즈오 (1970년대~)
_나의 기업가 정신
1장. 나의 기업가 정신
구마모토 일일신문 주최 정보문화 간담회, 1976년 12월 2일
2장. 연구개발을 성공으로 이끄는 방법
매니지먼트 센터, 1977년 2월 17일
2부. 50~60대의 이나모리 가즈오 (1990년대)
_훌륭한 경영을 위한 철학
4장 리더의 조건—올바른 판단 기준이 있는가
구 우정성 강연, 1991년 5월 3일
5장 기업 경영에 왜 철학이 필요한가
세이와주쿠 간토지역 합동학원장 정례회 강연, 1994년 8월 9일
6장 마음을 드높여 경영에 매진하라
제1회 경영 강좌 최고경영자 세미나 강연, 1995년 5월 12일
3부. 60~70대의 이나모리 가즈오 (1990~2000년대)
_ 회사의 성장과 발전에 필수적인 사고방식
7장 전략의 원점은 경영자의 사고방식에 달렸다
제10회 일본증권애널리스트 대회 기념 강연, 1995년 10월 5일
8장 왜 고수익이어야 하는가?
고수익을 위한 사내 강연, 1999년 8월 19일
9장 매출 최대화, 비용 최소화를 실천하는 방법
세이와주쿠 중부 도카이 지구 합동 학원장 간담회 강연, 2004년 5월 18일
4부 70대의 이나모리 가즈오 (2000년대)
_ 리더십과 이타심
10장 기업윤리와 리더십—기업의 성장이 멈추지 않으려면
케이스웨스턴리저브대학교 강연, 2002년 10월 18일
11장 차세대 리더에게 바라는 것
규슈대학교 비즈니스스쿨 제1기생 수료 기념 심포지엄 강연, 2005년 3월 15일
12장 경영자에게 필요한 ‘세 가지 힘’
세이와주쿠 뉴욕 학원장 정례회 강연, 2006년 2월 26일
5부 70대의 이나모리 가즈오 (2010년대 ①)
_ 번영하는 기업의 기법
13장 지속적인 기업 성장을 이끄는 ‘아메바 경영’
2011년 이나모리 가즈오 경영철학 중국 광저우 보고회 강연, 2011년 9월 25일
14장 경영의 원점에서 보는 ‘교세라 회계학’
—50년간 단 한 번도 적자를 내지 않는 회계의 7대 원칙
2011년 이나모리 가즈오 경영철학 다롄 보고회 강연, 2011년 10월 23일
6부 70~80대의 이나모리 가즈오 (2010년대②)
_ 기업 경영의 핵심
15장 철학이야말로 경영의 원천
세이와주쿠 후쿠시마 발족식 강연, 2011년 6월 2일
16장 기업 경영의 기본은 직원에게 동기를 부여하는 것
세이와주쿠 LA 학원장 정례회 강연, 2012년 10월 1일
맺음말
옮긴이의 말
책속에서
맨 처음 그분을 만나 뵈었을 때 저는 “지금까지 제가 해온 연구를 살려 어떻게든 전자공업에 필요한 새로운 재료를 만들어 보겠습니다”라고 말씀드렸습니다. 그랬더니 그분은 “……회사는 자네가 직접 경영해나가야 하네. 어떤 상황에 부딪히더라도 돈에 휘둘려서는 안 되네. 자네와 함께 일하고자 하는 동료가 있다면, 돈도 없고 아무런 기반도 없는 상황에서도 다들 힘을 합칠 수 있는, 훌륭한 마음가짐을 가진 집단을 만들어야 한다네. 그건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것일세. 바로 거기에 기대어 경영을 해나가야 하는 걸세”라며 제게 일생 최대의 가르침을 주셨습니다.
- <나의 기업가정신>
이노베이터와 얼리어답터를 끌어들이고, 얼리어답터가 구매할 때까지 노력하고, 더 나아가 초기 다수자가 사용하기 시작하면 완전히 유행이 됩니다. 그때까지는 대단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의류계에서는 일부 사람들만 선택해서 소비하는 단계를 모드라고 하는데, 그다음에 사회에 널리 받아들여지는 단계는 ‘패션’이라고 부릅니다. 상품 또는 제품은 이와 같은 단계를 거쳐 사회에 보급됩니다. 그래서 제품을 시장에 투입할 때 이노베이터 단계에서 동력을 상실하면 그것은 반드시 실패로 끝나고 맙니다.
- <나의 기업가정신>
회사를 시작하고 맨 처음 맞닥뜨린 것은 최고경영자라는 중책이었습니다. 시작한 그날부터 물건을 사든 월급을 주든, 부하직원이 모든 일을 저에게 “이건 어떻게 할까요”라고 물으러 옵니다. 그것을 하나하나 제가 ‘해도 된다’, ‘하면 안 된다’라고 판단해야 합니다.
그럴 때마다 매우 곤란했습니다. ……이렇게 없는 것투성이인 제가 회사의 최고 자리를 맡아야만 했습니다. 최고경영자로서 ‘해도 된다’, ‘해서는 안 된다’를 사력을 다해 판단해야 합니다.
- <훌륭한 경영을 위한 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