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경영전략/혁신
· ISBN : 9791130689135
· 쪽수 : 244쪽
· 출판일 : 2022-04-27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회계를 모르고는 진정한 경영자가 될 수 없다
1장 경영을 위한 회계란 무엇인가 : 회계의 본질과 존재 이유
숫자 너머에 있는 진실에 다가가라
원리 원칙에 따라 무엇이 옳은지 판단하라
매출은 최대로, 경비는 최소로
최고의 경영자는 최고의 회계 관리자다
2장 회사는 어떻게 이익을 내는가 : 경영을 위한 회계의 7가지 실천 원칙
[현금 베이스 경영의 원칙] 현금을 바탕으로 경영하라
[일대일 대응의 원칙] 일대일 대응을 고수하라
[근육질 경영의 원칙] 건전한 자산 상태를 유지하라
[완벽주의의 원칙] 오직 100퍼센트만을 고집하라
[이중 체크의 원칙] 이중 체크로 회사와 사원을 지켜라
[채산성 향상의 원칙] 아메바 경영으로 채산성 향상을 유지하라
[투명 경영의 원칙] 그 무엇도 숨기지 말고 투명하게 경영하라
3장 이익을 내는 리더는 무엇을 생각하는가 : 젊은 경영자가 묻고 이나모리 가즈오가 답하다
[젊은 경영자의 이야기 1] 과감한 선행 투자를 앞두고 불안합니다
[이나모리 가즈오의 대답 1] 모든 투자에는 때가 있는 법입니다
[젊은 경영자의 이야기 2] 대기업과 제휴를 맺고 자금을 조달하려 합니다
[이나모리 가즈오의 대답 2] 스스로 강해지지 못하면 그 어떤 전략도 소용없습니다
[젊은 경영자의 이야기 3] 사업 확장에 따른 차입금 증가가 걱정입니다
[이나모리 가즈오의 대답 3] 손익계산서의 숫자를 분석하는 일이 먼저입니다
[젊은 경영자의 이야기 4] 경영 목표를 어떻게 정해야 할지 고민입니다
[이나모리 가즈오의 대답 4] 경영 목표란 직원들의 마음을 자극하는 도구입니다
[젊은 경영자의 이야기 5] 일반적인 원가계산의 문제점이 무엇입니까?
[이나모리 가즈오의 대답 5] 제조사의 이익은 제조 부문에서 발생합니다
리뷰
책속에서
아무리 작은 일이라도 원리 원칙에 입각한 경영을 한다면 도리에 맞는 경영을 해나갈 수 있다. 물론 원리 원칙에 따라 철저하게 생각하는 데에는 엄청난 노고와 고통이 따른다. 그럼에도 누가 봐도 보편적이고 옳은 것을 기준으로 판단을 이어간다면, 매 순간 적절한 결정을 내릴 수 있다. 경영의 중요한 분야인 회계에서도 마찬가지다. 회계에서 ‘상식’이라고 불리는 사고방식이나 관행을 그대로 적용할 것이 아니라, 먼저 무엇이 본질인가를 스스로에게 물어본 다음 회계의 원리 원칙에 따라 판단해야 한다. 그 때문에 나는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적정한 회계 기준’을 함부로 믿지 않고, 오직 경영의 입장에서 ‘왜 그렇게 하는가?’, ‘무엇이 본질인가?’를 각별히 의식했다.
_1장, 원리 원칙에 따라 무엇이 옳은지 판단하라
모든 경영자는 이익을 추구하지만, 대부분은 매출을 증가시키려면 당연히 경비도 증가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것이 이른바 ‘경영의 상식’이다. 하지만 ‘매출은 최대로, 경비는 최소로’라는 것을 경영의 원점으로 삼으면 상식이 달라진다. 매출을 늘려가면서 경비도 늘리는 것이 아니라, 매출을 늘려가면서 반대로 경비를 줄이거나 혹은 그대로 유지하는 방법을 생각하게 된다. 물론 매출을 늘리면서 경비를 줄이는 것은 그리 간단하게 이룰 수 있는 일이 아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지혜와 창의, 그리고 노력이 필요하다. 이익이라는 것은 그 결과물로 발생하기 때문이다.
_1장, 매출은 최대로, 경비는 최소로
경영을 비행기 조종에 비유한다면 회계 데이터는 조종석 계기판에 나타나는 숫자에 해당한다. 계기판은 경영자인 기장에게 시시각각 변화하는 기체의 고도와 속도, 자세, 방향을 즉시 정확하게 보여주어야 한다. 그와 같은 계기판이 없다면 지금 비행기가 어느 곳을 비행하고 있는지, 어떤 상태로 비행하고 있는지 모르기 때문에 제대로 된 조종을 할 수 없다. 그러므로 회계는 경영의 결과를 나중에 뒤쫓기 위한 것이 되어서는 안 된다. 아무리 정확하게 결산 처리를 했다고 해도 그것이 너무 늦어지면 아무것도 해결할 수 없다. 회계 데이터는 현재의 경영 상태를 간단하게, 그리고 실시간으로 경영자에게 전해야 한다.
_1장, 회계를 모르고는 진정한 경영자가 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