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미개 사회의 범죄와 관습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인류학/고고학 > 인류학
· ISBN : 9791171311392
· 쪽수 : 236쪽
· 출판일 : 2024-09-20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인류학/고고학 > 인류학
· ISBN : 9791171311392
· 쪽수 : 236쪽
· 출판일 : 2024-09-20
책 소개
현대 인류학의 아버지로 평가받는 브로니슬라프 말리노프스키의《미개 사회의 범죄와 관습》. 뉴질랜드 트로브리앤드 사회에 대한 민속지 보고서로서, 사회학·법학·경제학·언어학·종교학 등 다양한 학문을 망라한 텍스트이다. 지은이는 이 책에서 국가 없는 사회에도 법은 있는지, 법과 관습은 어떠한 잣대에 의해 구분되는지, 법의 구속력은 어디에 있는지와 같은 질문들에 대한 답변을 내리고 있다.
목차
들어가는 말 / 김도현
서문
머리말
제1부. 원시 사회의 법과 질서
1. 관습에서의 자동적 복종인가
2. 멜라네시아 경제와 원시 공산주의 이론
3. 경제적 의무의 구속력
4. 호혜성과 이원 조직
5. 법, 사익, 그리고 사회적 야망
6. 종교 행위의 법 규칙
7. 혼인법
8. 주고받기 - 부족 생활의 지배 원리
9. 호혜성 - 사회 구조의 기초
10. 관습 규칙의 정의와 분류
11. 법의 인류학적 정의
12. 주변적인 법적 장치
13. 결론과 전망
제2부. 원시 사회의 범죄와 처벌
1. 법 위반과 질서 회복
2. 마법과 자살의 법적 효력
3. 법체계 사이의 갈등
4. 원시 부족의 사회 통합 요인
헤제 - 참여 관찰과 기능주의로 얻은 '원시법'의 이해 / 김도현
1. 말리노프스키의 생애와 사상
(1) 인류학에의 입문과 트로브리앤드 현지 조사
(2) 기능주의 이론의 전개와 쇠퇴
(3) 짧은 미국 생활과 그의 저작 활동
2. 《미개 사회의 범죄와 관습》의 배경과 요지
(1) 19세기 법학과 인류학의 상황
(2) 생활 속의 법 - 호혜성, 전시성, 법 다원성
(3) 20세기 초 과학주의 법학과의 관계
3.《미개 사회의 범죄와 관습》의 영향과 의의
(1) 법인류학에 대한 영향
(2) 법학에 대한 교훈
주
더 읽어야 할 자료들
옮긴이에 대하여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