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 인문/사회
· ISBN : 9791171530212
· 쪽수 : 116쪽
· 출판일 : 2024-12-0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세계 역사의 이정표, 동학 농민 혁명 바로 알기
1장. 조선의 위기와 동학의 등장
1. 조선 후기 백성들의 삶은 어땠나요?
2. 동학이란 무슨 뜻인가요?
3. 최제우는 왜 동학을 창시했나요?
4. 동학의 핵심 사상은 무엇인가요?
2장. 사람을 하늘처럼 섬기다
5. 백성들은 왜 동학을 따랐나요?
6. 2세 교주 최시형은 어떤 일을 했나요?
7. 동학사상은 생태주의와 어떻게 이어지나요?
3장. 3·1 혁명의 불을 댕기다
8. 3세 교주 손병희는 왜 전봉준과 손을 잡았나요?
9. 우금치 전투 이후 어떤 일이 있었나요?
10. 왜 천도교로 이름을 바꾸었나요?
11. 동학은 3·1 혁명을 어떻게 주도했나요?
4장. 신화가 된 녹두장군 전봉준
12. 전봉준은 누구인가요?
13. 「새야 새야 파랑새야」는 어떤 민요인가요?
14. 사발통문에 담긴 평등사상은 무엇인가요?
15. 두 번째 농민 봉기는 어떻게 전개되었나요?
5장. 동학 농민 혁명군의 마지막 전투
16. 농민군의 행동 강령과 대의는 무엇이었나요?
17. 황토현 전투는 어떻게 전개되었나요?
18. 어떻게 전주성에 무혈입성했나요?
19. 집강소 설치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20. 우금치 전투는 왜 패배했나요?
6장. 민주주의로 부활하는 혁명의 역사
21. 동학 농민 혁명의 세계사적 의미는 무엇인가요?
22. 동학의 정신은 오늘날 어떻게 이어지고 있나요?
책속에서
동학사상은 주자학적 전통으로 굳게 닫힌 전근대의 강고한 철벽을 무너뜨렸습니다. 또한 인권·평등·자존을 바탕으로 백성들을 깨우치고, 삶의 주체로서 민족정신을 일깨워서 근대의 문을 열게 했습니다. 봉건적 전근대의 철문을 깨고 근대의 광장을 연 것이지요.
동학의 기조는 생명 사상입니다. 사람과 천지 만물의 생명에 절대 가치를 두었어요. 오늘날 기계 문명의 발달과 무한대의 인간 욕망으로 인해 생태계가 파괴되고 지구촌이 기후 위기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결국 최시형의 경천·경인·경물의 정신을 현재화하는 것이 지구촌을 살리는 길이지 않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