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수운 최제우 다시읽기

수운 최제우 다시읽기

임형진, 김삼웅, 성주현, 성강현, 송봉구, 김영진, 김선배, 백진솔, 이나미, 우수영 (지은이)
도서출판선인(선인문화사)
3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2,000원 -0% 0원
0원
32,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수운 최제우 다시읽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수운 최제우 다시읽기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후기(영조~순종)
· ISBN : 9791160689747
· 쪽수 : 360쪽
· 출판일 : 2025-01-31

목차

발간사•5

수운 최제우 탄신 200주년의 의미와 과제┃ 임형진(경희대학교)
1. 수운 최제우와 동학
2. 동학이 창도될 수밖에 없었던 환경
3. 수운 최제우의 실천하는 동학적 삶
4. 한국사상과 동학 창도의 의미
5. 수운 최제우의 탄신 200주년의 과제

수운 최제우의 사상과 리더십┃김삼웅(전 독립기념관 관장)
1. 동학 창도의 역사성
2. 근대의 문을 연 동학
3. 사회개혁 사상가 최제우
4. 성(誠)ㆍ경(敬)ㆍ신(信)의 리더십
5. 동학혁명 성공했다면 아시아 선진주도
6. 동학의 좌절로 사대세력 다시 기승
7. 최시형ㆍ손병희로 이어진 민족사의 정맥
8. ‘인간사랑’의 동학정신

동학의 발상지 구미용담과 수운의 경주 인식┃성주현(월간 『신인간』 주필)
1. 머리말
2. 용담정 건립과 용담 26영
3. 수운 최제우의 경주 인식
4. 맺음말

수운 최제우의 저술에 나타난 대내외적 모순 인식┃ 성강현(동의대학교)
1. 머리말
2. 요순의 다스림으로도 해결할 수 없는 정치 · 경제적 모순 인식
3. 함지사지에 빠진 사회적 모순 인식
4. 순망치한의 대외적 모순 인식
5. 맺음말

수운 최제우 사적(史蹟) 연구┃ 성강현(동의대학교)
1. 머리말
2. 탄생과 구도 사적
3. 득도와 포덕 사적
4. 수난과 순도 사적
5. 맺음말

공자의 극기복례와 수운의 수심정기 비교연구┃ 송봉구(영산대학교)
1. 머리말
2. 공자의 인(仁)과 극기복례 수양법
3. 수운의 시천주와 수심정기 수련법
4. 공자의 극기복례와 수운의 수심정기 비교
5. 맺음말

실천적 방법론으로서의 ‘侍天主’┃ 김영진(경희대학교)
1. 들어가며 - 수운의 인간관과 세계관
2. ‘시천주’의 실천적 방법론
3. ‘天道’와 사르트르의 ‘無’ 개념
4. 나오며 - 다시 개벽 사상


현대물리학 관점에서 본 수운의 지기론┃ 김선배(동국대학교)
1. 머리말
2. 수운의 지기론
3. 맺음말

수운의 관계론적 세계인식과 비판적 사상 고찰┃ 백진솔(고려대학교)
1. 머리말
2. 수운의 관계론적 세계인식
3. 수운의 당대 사상에 대한 비판적 고찰
4. 맺음말 : 수운의 관계론적 세계인식과 비판적 사상 고찰의 현대적 의의

협력, 공생, 진화로서의 동학사상┃ 이나미(동아대학교)
1. 머리말
2. 협력의 동학사상
3. 공생의 동학사상
4. 진화의 동학사상
5. 맺음말

일제강점기 천도교 출판 매체에 대한 통시적 고찰┃ 우수영(경북대학교)
1. 논의를 시작하며
2. 매체 『開闢』의 기존 연구
3. 담론적 실천으로서의 『開闢』에 대한 연구 동향
4. 『開闢』에 대한 앞으로의 연구 과제

수운 최제우의 시천주와 이상사회론┃ 임형진(경희대학교)
1. 머리말
2. 후천개벽과 지상천국
3. 수운의 정치적 개벽-인간평등의 이상사회
4. 수운의 도덕적 개벽-道成德立
5. 맺음말

저자소개

김삼웅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독립운동사 및 친일반민족사 연구가로, 현재 신흥무관학교 기념사업회 공동대표를 맡고 있습니다. 〈대한매일신보〉(지금의 서울신문) 주필을 거쳐 성균관대학교에서 정치문화론을 가르쳤으며, 4년여 동안 독립기념관장을 지냈습니다. 민주화운동 관련자 명예회복 및 보상심의위원회 위원, 제주 4·3 사건 희생자 진상규명 및 명예회복위원회 위원, 백범학술원 운영위원 등을 역임하고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위원, 친일파재산환수위원회 자문위원, 친일인명사전 편찬위원회 지도위원 등을 맡아 바른 역사 찾기에 부단히 노력하고 있습니다. 역사·언론 바로잡기와 민주화·통일운동에 큰 관심을 두고, 독립운동과 민주화운동에 헌신한 인물의 평전 등 이 분야의 많은 저서를 집필했습니다. 청소년을 대상으로 쓴 주요 저서로는 『미래 세대를 위한 동학 농민 혁명 이야기』, 『선생님, 친일파가 뭐예요?』, 『10대와 통하는 독립운동가 이야기』, 『10대와 통하는 민주화운동가 이야기』, 『정의의 길, 역사의 길』 등이 있습니다.
펼치기
임형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교수
펼치기
임형진의 다른 책 >
송봉구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7년 경남 양산 출생. 성균관대학교 동양철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 유학과에서 맹자의 수양론으로 석사학위를, 주자의 수양론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대학교에서는 이기동 교수님의 지도하에 동양철학 수양론의 이론적인 부분을 공부했고, 밖에서는 실제 수련에 참여하여 김열권 거사에게 위빠사나 수련을 배웠으며, 김태완 거사에게 설법을 들으면서 본질을 찾는 특이한 수련 방 법을 배웠다. 이론 공부와 실제 수련 경험 덕분에 박사논문을 완성할 수 있었다. 이후에 동학의 주문 수련법을 만나서 지금은 주문 수련에 열중하고 있다. 논문으로는 「맹자의 호연지기 연구」, 「주자의 거경궁리론 연구」, 「정이천의 심성수양론 연구」, 「동학의 수양론 연구」, 「주자의 거경과 해월의 수심정기 비교 연구」 등이 있다. 현재는 동학과 동양철학의 수련법을 비교하는 데 관심을 두고 연구하고 있다. 영산대학교에서 동양사상과 글쓰기를, 천도교종학대학원부산분원에서 천도교 교리를, 그리고 울산에서 일반인을 대상으로 논어·도덕경·금강경 등의 동양고전을 가르치고 있다.
펼치기
성주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연구위원, 청암대학교와 숭실대학교 연구교수로 지냈고, 현재 1923 제노사이드 연구소 소장, ㈜신인간사 대표다. 저서로는 『근대전환기 문화들의 조우와 메타모포시스』(공저, 보고사, 2021), 『근대전환기 서구문명의 수용과 민족운동』(선인, 2020), 『동학과 동학농민혁명』(선인, 2019), 『근대 신청년과 신문화운동』(모시는사람들, 2019), 『일제하 민족운동 시선의 확대』(아라, 2014), 『식민지시기 종교와 민족운동』(선인, 2013)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천도교소년회의 지역 조직과 활동」(『방정환연구』5, 2021), 「근대전환기 호열자의 유행과 천도교의 대응」(『세계역사와 문화연구』 56, 2020), 「衡平社と天道敎」(『部落解放硏究』 212, 2020) 등이 있다.
펼치기
성강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강원도 삼척 출신으로 강릉고등학교와 경희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동의대학교 대학원에서 『6·25전쟁 시기 천도교 포로의 전향과 종교 활동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동의대학교 역사인문교양학부 겸임교수이며 동천고등학교에서 근무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충청도 옥천 동학혁명』(공저), 『전라도 전주 동학혁명』(공저), 『6·25전쟁시기 천도교 포로 연구』 등이 있으며, 한국전쟁 포로, 동학과 천도교, 민족운동 등에 관한 논문이 다수 있다. ■ 저서 『충청도 옥천 동학농민혁명』(공저) 『전라도 전주 동학농민혁명』(공저) 『강원도 원주 동학농민혁명』(공저) 『6·25전쟁 시기 천도교 포로 연구』 『부산 근현대사 산책』(공저) 『반도의 총후진』(공역) ■ 논문 「소파 방정환의 일본 유학시기 활동 연구」(2021) 「대한제국 진위대 연구」(2021) 「『개벽(開闢)』의 3·1독립운동 민족대표 담아내기」(2021) 「옥천 지역의 동학의 전파와 확산」(2020) 「동학농민군의 전주성 점령과 전주화약에 관한 고찰」(2019) 「6·25전쟁 시기 부산의 포로수용소」(2019) 「동학농민혁명 이후 해월 최시형의 피신과 교단 수습」(2018) 「해월 최시형의 단양 은거 시기 연구」(2016) 「제1차 교육과정의 국사 교과서 서술체제와 내용 분석」(2016) 「군대 해산 과정에서의 서소문 전투 연구」(2016) 「거제도 포로수용소의 9·17폭동 연구」(2016
펼치기
김영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 교수
펼치기
김선배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학교 과학영재원 지도교수
펼치기
우수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연구원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