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후기(영조~순종)
· ISBN : 9791160689747
· 쪽수 : 360쪽
· 출판일 : 2025-01-31
목차
발간사•5
수운 최제우 탄신 200주년의 의미와 과제┃ 임형진(경희대학교)
1. 수운 최제우와 동학
2. 동학이 창도될 수밖에 없었던 환경
3. 수운 최제우의 실천하는 동학적 삶
4. 한국사상과 동학 창도의 의미
5. 수운 최제우의 탄신 200주년의 과제
수운 최제우의 사상과 리더십┃김삼웅(전 독립기념관 관장)
1. 동학 창도의 역사성
2. 근대의 문을 연 동학
3. 사회개혁 사상가 최제우
4. 성(誠)ㆍ경(敬)ㆍ신(信)의 리더십
5. 동학혁명 성공했다면 아시아 선진주도
6. 동학의 좌절로 사대세력 다시 기승
7. 최시형ㆍ손병희로 이어진 민족사의 정맥
8. ‘인간사랑’의 동학정신
동학의 발상지 구미용담과 수운의 경주 인식┃성주현(월간 『신인간』 주필)
1. 머리말
2. 용담정 건립과 용담 26영
3. 수운 최제우의 경주 인식
4. 맺음말
수운 최제우의 저술에 나타난 대내외적 모순 인식┃ 성강현(동의대학교)
1. 머리말
2. 요순의 다스림으로도 해결할 수 없는 정치 · 경제적 모순 인식
3. 함지사지에 빠진 사회적 모순 인식
4. 순망치한의 대외적 모순 인식
5. 맺음말
수운 최제우 사적(史蹟) 연구┃ 성강현(동의대학교)
1. 머리말
2. 탄생과 구도 사적
3. 득도와 포덕 사적
4. 수난과 순도 사적
5. 맺음말
공자의 극기복례와 수운의 수심정기 비교연구┃ 송봉구(영산대학교)
1. 머리말
2. 공자의 인(仁)과 극기복례 수양법
3. 수운의 시천주와 수심정기 수련법
4. 공자의 극기복례와 수운의 수심정기 비교
5. 맺음말
실천적 방법론으로서의 ‘侍天主’┃ 김영진(경희대학교)
1. 들어가며 - 수운의 인간관과 세계관
2. ‘시천주’의 실천적 방법론
3. ‘天道’와 사르트르의 ‘無’ 개념
4. 나오며 - 다시 개벽 사상
현대물리학 관점에서 본 수운의 지기론┃ 김선배(동국대학교)
1. 머리말
2. 수운의 지기론
3. 맺음말
수운의 관계론적 세계인식과 비판적 사상 고찰┃ 백진솔(고려대학교)
1. 머리말
2. 수운의 관계론적 세계인식
3. 수운의 당대 사상에 대한 비판적 고찰
4. 맺음말 : 수운의 관계론적 세계인식과 비판적 사상 고찰의 현대적 의의
협력, 공생, 진화로서의 동학사상┃ 이나미(동아대학교)
1. 머리말
2. 협력의 동학사상
3. 공생의 동학사상
4. 진화의 동학사상
5. 맺음말
일제강점기 천도교 출판 매체에 대한 통시적 고찰┃ 우수영(경북대학교)
1. 논의를 시작하며
2. 매체 『開闢』의 기존 연구
3. 담론적 실천으로서의 『開闢』에 대한 연구 동향
4. 『開闢』에 대한 앞으로의 연구 과제
수운 최제우의 시천주와 이상사회론┃ 임형진(경희대학교)
1. 머리말
2. 후천개벽과 지상천국
3. 수운의 정치적 개벽-인간평등의 이상사회
4. 수운의 도덕적 개벽-道成德立
5.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