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한국고대사 > 고구려
· ISBN : 9791171611447
· 쪽수 : 372쪽
· 출판일 : 2024-11-29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1 동아시아 정세 변화와 고구려 멸망
1장 멸망 전후의 국내외 정세 변화
1. 고구려의 대신라정책과 남방전선
2. 나당군사동맹과 당의‘ 고구려 선공’ 전략 폐기
3. 백제의 멸망과 고구려의 대응
2장 나당연합군의 공세와 고구려의 멸망
1. 661년 당군의 공세와 신라의 군량수송작전
2. 당군의 고구려 공격 과정
3. 연개소문의 죽음과 자식들의 분열
4. 연남생의 투항 및 고구려 지배층의 동향
5. 667~ 668년 당의 공세와 고구려 멸망
2 고구려 멸망 후 부흥운동
3장 부흥운동의 전개
1. 당의 고구려 고지 지배정책과 유민의 저항
2. 서북한 지역의 부흥운동
3. 요동·부여·책성 지역의 부흥운동
4. 당의 지배정책 변화와 보장왕의 부흥운동
4장 신라–당 전쟁의 전개와 고구려 유민의 활동
1. 신라의 백제 고지 장악과 신라 - 당 전쟁
2. 고구려 부흥운동과 신라로의 내투
3. 신라의 고구려 유민정책과 고구려 고지 지배
5장 고구려 멸망의 역사적 의미
1. 고구려의 국세 팽창과 전쟁
2. 7세기 동아시아 국제전쟁과 고구려의 멸망
3. 고구려 멸망의 역사적 의미
3 유민사 및 고구려 인식
6장 부흥운동 및 고구려 유민 연구의 신자료
1. 고구려 유민묘지명 자료 현황
2. 고구려 유민묘지명의 자료적 성격
3. 묘지명에 나타난 유민의 동향과 부흥운동
7장 고구려 유민의 향배와 존재방식
1. 보덕국과 신라의 고구려 유민정책
2. 왜로 이주한 고구려 유민과 고려군(高麗郡)
3. 당으로 이주한 고구려 유민의 존재 양상
4. 돌궐로 이주한 고구려 유민
8장 고구려의 영향과 동북아시아
1. 발해 건국의 배경과 고구려 계승의식
2. 고구려인으로 추정되는 도상(圖像) 등을 통한 고구려 인식
3. 후대 동아시아 각국의 고구려 인식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