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중국 언어문화 돋보기

중국 언어문화 돋보기

김종호, 김진아, 김태성, 김현주, 나민구, 민경만, 박정원, 박정원, 박흥수, 임대근, 장은영, 최재영, 홍현지, 姜颖 (지은이)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지식출판원(HUINE)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3,750원 -5% 0원
1,250원
22,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중국 언어문화 돋보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중국 언어문화 돋보기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중어중문학
· ISBN : 9791171992836
· 쪽수 : 386쪽
· 출판일 : 2024-12-31

책 소개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연구소의 『중국연구』 100권호 발간, 그리고 한국외대 공자아카데미 설립 15주념을 기념하여 두 기관이 합심한 중국어문학 연구서가 출간되었다. 『중국 언어문화 돋보기』는 음운, 어휘, 어법, 수사(레토릭), 대조언어, 방언, 데이터 시각화, 문화, 교육, 통번역, 문학 등 다양한 영역의 최신 연구 동향을 총망라하여 현대 중국어문학 연구의 가장 활발한 논의를 담아내었다.

목차

1. 중국 음운학의 이해와 성찰
김태성 · 홍현지

2. 현대 중국어 어휘론 연구 동향
준접사 ‘迷’에 대한 연구를 중심으로
박흥수

3. 누가 나의 이름을 불러 다오
생성문법학과 생물언어학의 만남
김종호

4. 현대중국어는 언제부터 생겨났을까?
최재영

5. 중국어 수사학
나민구

6. 한·중 대조언어학의 연구 동향과 활용 방안
윤비취

7. 중국어 방언 연구
하나의 언어, 다양한 이야기
민경만

8. 중국어문학과 AI 데이터, 콘텐츠 큐레이팅
박정원

9. 언어와 문화 교육을 통한 학생의 다문화 의식 배양
중국어와 중국 문화 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강 영

10. 사회주의 중국 문화의 역사적 흐름
임대근

11. 국내 중국어 교육의 연구 동향과 전망
장은영

12. 통번역 교육을 중심으로 바라본 한국의 통번역 발전사
김진아

13. 중국 고전문학의 현재와 미래
김현주

저자소개

박흥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어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 대학원 중국어과에서 석사, 국립대만사범대학 국문연구소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언어문화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중국어교육학회 회장, 한국중국언어학회 회장, 한중언어문화연구회 회장, 중국학연구회 회장, 국제중국언어학회(IACL) 이사를 역임하였다. 저서로는 『현대 중국어 준접사 연구』, 『한자에 반영된 중국문화』 등이 있고 중국문자학, 중국어 어휘론 관련 120여 편의 학술 논문을 발표하였다.
펼치기
김진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 한중과 교수 전 지식경제부 번역감수 위원 전 한국관광공사 번역감수 위원 전 중국 천진시 천인계획 전문가 전 중국 통번역전문가 자격시험 교재 평가위원 18개 이상의 저역서 출간 [술술 읽히는 삼국지], [중국어문법 무작정 따라하기] ,[시진핑의 외교연설], [번역학비판], [동시통역 중국어 회화사전]
펼치기
나민구 (엮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어과를 졸업하고, 프랑스 파리제7대학교 대학원 중 국언어문화학과에서 석사, 파리 사회과학고등연구원(EHESS)에서 언어학 박사를 취득하였고,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언어문화학부 교수로 재직 중 이다. 세계중국어 수사학회 회장, 세계수사학역사학회 이사, 한국중어중문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현재 한국수사학회 회장, 한국동아시아과학철학회 회장, SETI Korea(Search for Extraterrestrial Intelligence 한국 외계지적생명체 탐사) 사무국장을 맡고 있다. 저서로서는 『중국 수사학』, 『중국어 레토릭』 등이 있고 수사학, 사회언어학, 우주과학 관련 100편 이상의 국내외 학술지 논문을 발표하였다.
펼치기
김현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어과와 대학원 석사반을 졸업하고, 국립대만사범대학 국문연구소에서 박사(고전문학, 돈황학)를 수학하였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어통번역학과에서 교수를 역임하고 현재 동 대학의 명예교수로 있다. 세계실크로드학회 사무총장, 한국외대 실크로드연구센터장, 한국돈황실크 로드학회 회장을 역임하였고, 현재 동방시화학회 부회장, 중국문학지리학회 고문을 맡고 있다. 저서로는 『唐五代敦煌民歌』, 『중국어한자읽기사전』, 『중국기초고문』(공저), 『한국詞문학의세계』(공저), 『벽계만지 역주』(공역), 『역주 도이지략』(공역) 등이 있고, 연구논문으로 「중당 민간곡자사의 문인사화 과정고찰」, 「韓國近50年來詞文學研究狀況」외 70여 편을 발표하였다. 중국 사문학, 돈황학, 실크로드와 문명교류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김종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어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 대학원 중국어과에서 석사, 연세대학교 대학원 중어중문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언어문화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성신여자대학교 중어중 문학과교수, UC. Berkeley, center for chinese studies visiting scholar, 國立臺灣 師範大學 文學院 國文係 客座敎授 北京語言大學 語言學係 短期 語言學, 敎授, 중국학연구회회장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 『현대중국어 화제화 이중 명사 구문 연구』, 『현대중국어 10문형 50구문』, 『도표로 보는 정통문법』, 『공자, 멋진 사람을 말하다』, 『생성문법이란 무엇인가?』, 『논어명구(문체부 세종 학술도서)』, 『최소주의 생성문법 13강』, 『한문해석공식: 촘스키가 논어를 읽는다면(문체부 세종학술도서)』, 『AI시대 기초한문공부: 생성문법으로 한문해석하기』, 『공식으로 한문 텍스트 읽기: 5문형 16공식』, 『현대중국어 최소주의 생성문법(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등이 있고 중국어학 관련 80여 편의 학술 논문을 발표하였다.
펼치기
박정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콘텐츠제작, 정보디자인 시리즈: 콘텐츠 소스 조작 테크닉(기본편)> 출간
펼치기
박정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어과를 졸업하고,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중국현대문학), 북경대학에서 중국 현당대문학으로 문학박사를 취득하였고,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언어문화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온택트시대 교육콘텐츠 디자인』, 『온택트시대 교육콘텐츠 디자인』, 『Wordpress 웹퍼블리싱』, 『데이터 큐레이팅』, 『데이터 시각화: Tableau』, 『LMS 플랫폼과 웹콘텐츠』, 『데이터 큐레이션 플랫폼』, 『콘텐츠 큐레이션 플랫폼』, 『워드프레스 테마: Newspaper』, 『네트워크 데이터 큐레이팅: Gephi, VOSviewer』, 『네트 워크 데이터 큐레이팅: Netminer, AI 프롬프팅』등이 있고 『중국어문 텍스트 시각화 및 공유 플랫폼 구축 전략 연구』, 『AI시대 중국현당대 문학 텍스트 분석 전략』, 『중국학 AI 챗봇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등의 학술논문을 발표하였다.
펼치기
최재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어과를 졸업하고, 중국 베이징대학교 대학원 중문과에서 석·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2003년부터 현재까지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어통번역학과에서 교수로 재직 중이며, 현재 한국중국언어학회 회장을 맡고 있다. 중국어역사문법, 중국어문법화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으며, 국내 외의 학술지에 다수의 관련 논문을 발표하였다.
펼치기
임대근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어과를 졸업하고, 한국외대 중어중문학과에서 문학석사와 문학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융합인재학 부와 디지털콘텐츠학부 교수이다.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장, 한국문화콘텐츠비평협회장을 역임하고, 현재 한국외대 컬처-테크놀로지융합대학 학장, 대 만연구센터장, 사단법인 아시아문화콘텐츠연구소 대표, 전주국제단편영화제 조직위원장, 한국영화학회 부회장 겸 편집위원장, Forum for World Litera-ture Studies 편집위원 등을 맡고 있다. 저서로 『문화콘텐츠론』, 『인간의 무늬』, 『중국초기영화 1896~1931』, 『한류 생태계와 지속가능성』(공저) 등이 있고 중 국영화, 한류와 아시아 대중문화, 트랜스아이덴티티 스토리텔링, 문화콘텐츠론 관련 100편 이상의 국내외 학술지 논문을 발표하였다.
펼치기
김태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어과를 졸업하고, 타이완 보인대학에서 석사, 동오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으며,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언어문화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중국언어학회 총무이사와 중국학연구회회장 을 역임하였고, 주요논문으로 「조선 신숙주의 중국어관」, 「낙선재본 홍루몽역음 성모 표기체계 고찰」을 발표하는 등 조선시대 역학서의 역음 표기와 관련한 연구와 지도를 해오고 있다.
펼치기
민경만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어통번역학과를 졸업한 후, 중국정부초청장학생으로 베이징어언대학교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연구소에서 책임연구원을 역임하였으며, 현재는 학술연구교수로 연구를 진행 중이다. 저서로는 『語言資源(第三輯)』(語文出版社, 공저), 『留 學韓國語(四)』(北京大學出版社, 공편)이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중국어 방언학’, ‘문화언어학’, ‘한국한자음’ 등이며, 국내외 학술지에 20여 편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펼치기
장은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어과를 졸업하고,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중어 중문학과에서 석사, 국립대만사범대학 국문연구소에서 문학 박사를 취득하였으며,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학부(중국어교육전공)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중국어교육학회 편집이사, 중국학연구회 총무이사, 한국중국언어학회 편집이사 등을 역임하고, 현재 한국중국언어학회 총무이사를 맡고 있다. 주요 연구분야는 중국어교육, 중국문자학이며, 국내외 학술지에 다수의 관련 논문을 발표하였다.
펼치기
홍현지 (지은이)    정보 더보기
清华大学 中国语言文学系에서 汉语言文学을 전공하고,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중어중문학과에서 언어학 석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언어문화학부 강사로 재직 중이다. 중국 성운학, 역사음운학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으며, 국내외 학술지에 다수의 관련 논문을 발표하였다.
펼치기
姜颖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국 대련외국어대학교 한국어과를 졸업하고, 중국 대외경제무역대학교에서 언어학 및 응용언어학 석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한국 경희대학교 어학연수, 영국 리버풀대학교 방문학자 활동 및 한국외국어대학교 공자아카데미 국 측 원장을 역임하고, 현재 북경외국어대학교 국제교류협력처 부처장으로 재직 중이다. 번역서 『국제 중국어 교육용 중국 사회 문화 교육 참고서』와 다수의 중국 저서를 출판하였으며, 주요 연구 분야는 한중 문화, 다문화 교류, 외국인 유학생 유치 및 양성, 고등교육 국제화 등이다.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