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외교정책/외교학
· ISBN : 9791172130015
· 쪽수 : 316쪽
· 출판일 : 2024-02-20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전쟁의 시대를 헤쳐나가는 방법
1부 “혁명의 국가” 소련은 어떻게 침략 전쟁의 주역이 됐나
소련의 폐허에서 러시아의 미래를 예측하다: 다시 보는 소련 망국 30년
21세기의 러시아 혁명은 가능한가
푸틴주의: 국가, 군대, 정교회의 삼위일체
‘러시아 혐오’의 실체는 무엇인가
러시아의 반전운동은 왜 미약한가
각자도생 사회에서 반전운동은 가능한가
러시아는 쉽게 무너지지 않는다: 1930년대가 주는 교훈
“현실 사회주의” 실험은 무엇을 남겼는가: 소련 출범 100주년
러시아는 왜 성공한 개발 국가가 되지 못하는가
푸틴 독재를 옹호하는 지식인은 누구인가
중‧러의 헤게모니 전략은 성공할까
왜 소련은 몰락하고 중국은 살아남았나
2부 러시아는 왜 우크라이나를 침공했는가
전쟁은 러시아의 ‘발전 전략’인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드러낸 것들
러시아는 왜 전시 동원 모델을 선택했나
푸틴의 도박은 성공할까
문화는 어떻게 침공을 가능케 했는가: ‘제국’과 ‘전쟁’으로 구성된 문학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은 세계 패권 지형을 어떻게 재편할까
‘힘의 공백’ 이후, 세계는 어디로 가는가
국가의 귀환은 세계 질서를 어떻게 바꿀까: 우크라이나 침략 1주년을 돌아보다
하층계급은 왜 전쟁에 동조하는가
‘친척 민족’ 우크라이나와 러시아는 왜 싸우는가
러시아, 침략의 논리
러시아는 왜 이렇게 호전적인가
3부 한국과 러시아, 무엇이 같고 무엇이 다른가
한‧러는 왜 ‘진짜 남자’에 열광하는가
두 개의 군사주의: 러시아와 한국
‘주변부 콤플렉스’로 하나 되다
한‧러, ‘피해자 민족주의’를 공유하다
‘헤게모니적 민족주의’라는 공통분모
역사 교육은 어떻게 ‘제국’을 정당화하는가
한국적 정치 다원주의와 러시아적 정치 일원주의
중‧러에 비판적인 좌파가 필요하다
푸틴의 협박은 한‧러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한국은 러시아를 어떻게 인식해왔는가: 환상과 환멸의 역사
신권위주의는 어떻게 외로운 청년들을 사로잡았나
푸틴과 박정희, 무엇이 다른가
4부 포스트 워, 세계는 어디로 가고 있는가
우크라이나는 세계 재분할의 첫 단추가 될 것인가
우크라이나 침공과 미국 대외 정책의 상관관계
전쟁은 어떻게 현대 세계를 만들었나: 자본주의‧의회주의‧복지사회와 전쟁의 관계
주변부는 어떻게 중심부가 되는가: 유럽과 동아시아의 비교로 본 통일과 분열의 지정학
풍요의 경제는 어떻게 위기를 맞는가
다원 패권 체제가 몰려온다: 21세기 첫 20여 년의 총결산
신냉전 시대, 냉정한 양비론을 넘어서라
“전쟁하는 국가”에서 반전운동은 어떻게 가능한가
미국 패권 이후, 혼돈과 기회의 시대에 대비하라
중‧러, “한계 없는 협력”은 가능할까
전쟁은 어떻게 러시아를 만들었나: 전쟁으로 읽는 200년 러시아사
세계는 러시아와 함께 퇴보 중인가
세기말로 돌아간 세계, 한국의 과제는 무엇인가
케인스주의와 스탈린주의를 넘어선 평등화 프로젝트를 시작하라
파편화되는 세계, 윤석열 정부의 실패는 시작됐다
“전체주의적 집단”들의 전성기,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라
균세로의 귀환은 기회인가
신자유주의는 어떻게 서구 패권을 종식시켰나
‘한반도 평화’를 중심에 둔 한·러 관계를 위한 제안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2023년은 다른 어느 때보다도 현대사에서 보기 드문 ‘전쟁의 해’였습니다. 1968년이 ‘세계 혁명의 해’, 여러 나라에서 동시다발적으로 각종 저항 운동들이 일어난 해였다면, 2023년은 끝이 보이지 않는 전란의 해로 각인돼 앞으로 기억될 것입니다. … 일련의 새로운 전쟁들은 결국 미국 독무대에 대한 중국과 러시아, 이란 등 여러 주요 비서구 열강의 ‘도전’을 의미합니다. 이 도전의 궁극적 결과에 따라 2020년대 중후반쯤에는 앞으로 또 30~50년 동안 지속될 주요 강대국 사이의 새로운 질서가 다시 만들어지고 한동안 이어질 것입니다.
… 새로운 전쟁의 시대를 다루는 이 책의 가장 중요한 저술 의도는 전쟁의 시대를 전쟁 없이, 한반도 평화를 지켜가면서 헤쳐나갈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저자의 고민을 공유하는 데에 있습니다.
큰 틀에서 봤을 때 내전의 종식 이후 소련의 역사는 “현실”의 이름으로 “이념”이 점차 뒤로 물러나는 과정이자 “혁명적 국가”에서 “혁명적” 부분이 퇴색하고 “국가”에 보다 더 강하게 방점이 찍히는 과정이었습니다. … 소련 장교들이 다시 제정 러시아 시절처럼 “계급장”을 달게 되었고, “애국적” 내용의 “국사” 수업들이 부활했으며, 동성애가 불법화되었고, 여성들은 낙태권까지 빼앗긴 상태였습니다. … 당시 소련 사회는 점진적으로 “보수화”되는 역사를 밟고 있었던 만큼 그 궁극적 몰락이 결코 우연은 아니었습니다. 혁명의 이념을 계속 등지다 보면 결국 혁명 이후의 “실험적 국가” 체제도 굳이 고집할 필요가 자연스레 없어지는 것이 아니겠습니까?
러시아 문학의 “당연한 배경”은 바로 ‘제국’이었습니다. 대부분의 보수적인 문학가들은 ‘제국’을 ‘문명화’를 추진하는 긍정적 행위자로 의식적 또는 무의식적으로 간주하고, ‘현지인’이나 ‘적국’의 저항에 부딪치는 경우 ‘제국’의 군사력을 옹호하곤 했습니다. 이를테면 푸시킨은 〈러시아의 비방자들에게〉 등의 시를 통해 1830년 폴란드 독립운동에 대한 러시아군의 진압 작전을 적극 지지했습니다. 또한, 도스토옙스키는 중앙아시아에 대한 러시아군의 점령이나 튀르키예와의 전쟁을 열성적으로 옹호하면서 튀르키예의 수도인 이스탄불까지 러시아가 “탈환”해 다시 비잔틴 시대와 같이 “기독교 도시”로 “복원”해야 한다는 제국주의적 “꿈”을 드러내곤 했습니다. … 톨스토이와 같은 “예외”들을 제하면 러시아의 주류 문학은 “제국”과 “전쟁” 없이는 그 구성이 불가능할 정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