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일반
· ISBN : 9788963476292
· 쪽수 : 291쪽
· 출판일 : 2025-06-20
책 소개
목차
목차
머리말 3
1부 자본주의의 역사적 경향들: 국제비교분석 19
제1장 장기 침체: 미국경제와 한국경제 비교 / 김덕민 21
제2장 마르크스 경제지표로 살펴본 1990년대 이후 한미일 경제 / 정구현 61
제3장 두-계급 구조: 미국과 한국 / 김덕민 81
2부 사회, 노동, 투쟁 99
제4장 디지털 자본주의와 디지털 노동 / 김현강 101
제5장 한국 사회와 극우주의: 연결된 쟁점들 / 한상원 137
제6장 초국적 연대로서의 5.18민주화운동: 윤한봉과 재미한인사회 / 김미경 151
3부 한국자본주의의 역사 199
제7장 한국에서 자본의 원시 축적, 1876-1960 / 정성진, 차크라바티 201
저자소개
책속에서
경상국립대 SSK 연구단은 마르크스주의의 시각을 기초로 한국사회의 위기를 다각도에서 진단하고 대응책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해왔다. 우리는 마르크스주의 관점이 세계와 한국사회의 위기들을 연구할 수 있는 주요 관점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여러 해 걸친연구를 진행해왔으며, 이 성과를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정책세미나를 진행하고 있고, 시민사회 및 사회운동단체, 그리고 광범위한 학술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해 애써왔다. 마르크스주의는 우리 사회를 자본주의 생산양식에 기반한 사회로 묘사하고 있으며, 이 사회가 본질적으로 이윤율의 저하와 불평등의 심화 등 위기로의 경향이 존재한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우리가 살고 있는 위기의 시대를 연구하고 분석하는 데 마르크스주의를 우회할 수 있는 길은 그리 많지 않다. 12.3 내란사태 이후 우리 사회의 위기에 대한 본격적 논의가 더 활발해질 것이고, 마르크스주의는 이에 기여할 것이다.
〈머리말〉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