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자본주의의 위기

한국자본주의의 위기

(마르크스주의적 국제 비교 분석)

김덕민, 박노자, 정구현, 김현강, 한상원, 김미경, 정성진, 안잔 차크라바티 (지은이)
진인진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8,500원 -5% 0원
900원
27,6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국자본주의의 위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자본주의의 위기 (마르크스주의적 국제 비교 분석)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일반
· ISBN : 9788963476292
· 쪽수 : 291쪽
· 출판일 : 2025-06-20

책 소개

오늘날 한국 사회의 심화되는 위기를 마르크스주의의 시각으로 조망하는 본격 학술서이다. 김덕민, 박노자 등 국내외 학자들이 집필에 참여한 이 책은, 2024년의 12.3 내란사태를 기점으로 드러난 한국 자본주의의 모순과 위기를 구조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마르크스경제학의 현대적 의의를 재조명한다.

목차

목차
머리말 3

1부 자본주의의 역사적 경향들: 국제비교분석 19
제1장 장기 침체: 미국경제와 한국경제 비교 / 김덕민 21
제2장 마르크스 경제지표로 살펴본 1990년대 이후 한미일 경제 / 정구현 61
제3장 두-계급 구조: 미국과 한국 / 김덕민 81

2부 사회, 노동, 투쟁 99
제4장 디지털 자본주의와 디지털 노동 / 김현강 101
제5장 한국 사회와 극우주의: 연결된 쟁점들 / 한상원 137
제6장 초국적 연대로서의 5.18민주화운동: 윤한봉과 재미한인사회 / 김미경 151

3부 한국자본주의의 역사 199
제7장 한국에서 자본의 원시 축적, 1876-1960 / 정성진, 차크라바티 201

저자소개

정성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경제학과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경상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현재 계간 『마르크스주의 연구』 편집위원장, 국제학술지 Research in Political Economy 편집위원, 맑스코뮤날레 공동대표를 맡고 있다. 과거에 한국사회경제학회장,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장과 대학원 정치경제학과 초대 학과장을 역임했다. 저서로 『마르크스와 한국 경제』(2005), 『마르크스와 트로츠키』(2006), 『마르크스와 세계경제』(2015)가 있으며, 주요 공저로는 Marxist Perspectives on South Korea in the Global Economy(2017), Varieties of Alternative Economic Systems(2017) , 『세계화와 자본축적 체제의 모순』(2012), 『대안세계화운동 이념의 국제비교』(2010) 등이 있고, 『마르크스의 자본론의 형성 2』(2003), 『소련은 과연 사회주의였는가?』(2011), 『칼 맑스의 혁명적 사상』(2007), 『반자본주의 선언』(2003) 등을 우리말로 옮겼다.
펼치기
정성진의 다른 책 >
박노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소련의 레닌그라드(현재의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태어나 자랐고, 본명은 ‘블라디미르 티코노프’다. 2001년 귀화하여 한국인이 되었다. 레닌그라드대 극동사학과에서 조선사를 전공했고, 모스크바대에서 고대 가야사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노르웨이 오슬로대에서 한국학과 동아시아학을 가르치고 있다. 한국 사회에 대한 비판적인 칼럼들을 묶은 《당신들의 대한민국》으로 주목받았으며, 《당신이 몰랐던 K》 《미아로 산다는 것》 《주식회사 대한민국》 《비굴의 시대》 《전환의 시대》 등은 이 연장선상의 저작이다. 《조선 사회주의자 열전》 《거꾸로 보는 고대사》 《우리가 몰랐던 동아시아》 《우승열패의 신화》 등을 통해 역사 연구자로서의 작업도 꾸준히 이어가고 있다.
펼치기
박노자의 다른 책 >
김덕민 (옮긴이)    정보 더보기
경상국립대학교 경제학부 조교수. 제라르 뒤메닐과 도미니크 레비의 《거대한 분기》, 《신자유주의의 위기》, 《현대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을 번역하였고 《마르크스를 읽자》, 《대안마르크스주의》, 《아담의 오류》 등을 번역하였다. 대표 논문으로 〈The Stochastic Model of Technical Change and Profit Rates: Korean Economy〉(Review of Radical Political Economics, 2023)가 있다.
펼치기
김덕민의 다른 책 >
김현강 (지은이)    정보 더보기
뒤셀도르프 대학의 페터 베렌스 예술대학 디자인 철학 및 미학 교수이다. 서울 연세대학교에서 독문학을 공부한 후 뒤셀도르프 및 본 대학에서 독문학과 철학을 연구했다. 2004년 본 대학교 독문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2014년 본 대학교 철학과에서 교수자격논문을 취득했다. 2006‐015년 본 대학교 철학과에서 강의했다. 미학, 모더니즘 철학, 현대철학, 매체철학 및 디자인 이론에 대한 다수의 저작물이 있다.
펼치기
김현강의 다른 책 >
한상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시립대 철학과에서 맑스의 물신주의와 이데올로기 개념 연구로 석사 학위를, 독일 베를린 훔볼트대에서 아도르노의 정치철학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저서로 <앙겔루스 노부스의 시선>, <계몽의 변증법 함께 읽기>, <니체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데모스의 민주주의>, 역서로 <공동체의 이론들>, <아도르노, 사유의 모티브들> 등이 있다. 비판이론과 현대 사회·정치철학을 주로 연구하고 있으며, 각 이론들 간 상호 대화와 교차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충북대 철학과에 재직 중이다.
펼치기

책속에서

경상국립대 SSK 연구단은 마르크스주의의 시각을 기초로 한국사회의 위기를 다각도에서 진단하고 대응책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해왔다. 우리는 마르크스주의 관점이 세계와 한국사회의 위기들을 연구할 수 있는 주요 관점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여러 해 걸친연구를 진행해왔으며, 이 성과를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정책세미나를 진행하고 있고, 시민사회 및 사회운동단체, 그리고 광범위한 학술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해 애써왔다. 마르크스주의는 우리 사회를 자본주의 생산양식에 기반한 사회로 묘사하고 있으며, 이 사회가 본질적으로 이윤율의 저하와 불평등의 심화 등 위기로의 경향이 존재한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우리가 살고 있는 위기의 시대를 연구하고 분석하는 데 마르크스주의를 우회할 수 있는 길은 그리 많지 않다. 12.3 내란사태 이후 우리 사회의 위기에 대한 본격적 논의가 더 활발해질 것이고, 마르크스주의는 이에 기여할 것이다.
〈머리말〉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