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사/불교철학
· ISBN : 9791172610883
· 쪽수 : 600쪽
· 출판일 : 2024-10-17
책 소개
목차
서론
1 인도의 불교철학: 항상 굴러가는 수레바퀴
2 게임으로서의 철학
3 게임을 결정하는 요인들
a. 논증
b. 성전
c. 명상수행
4 게임 내레이션: 재료를 구성하는 방법
5 게임의 원천
a. 불교철학의 기반
b. 논쟁
c. 주석
d. 학설강요서
6 게임에 대한 게임의 견해
아비달마
1 아비달마 개관
a. 논모
b. 문답 형식
c. 종합적 이론을 제공하기
2 진위 여부의 문제
3 아비달마 학파들
a. 대중부
b. 장로부: 남방 상좌부
c. 장로부: 뿌드갈라론
d. 장로부: 설일체유부
e. 장로부: 경량부
대승
1 대승의 흥기와 불교철학과의 관계
2 중관학파
3 반야의 가르침
a. 아비달마 프로젝트에 대한 비판
b. 환영주의 교리
c. 모순에 대한 명시적 수용
4 용수 사상의 핵심 주제
a. 용수와 아비달마 프로젝트에 대한 비판
b. 용수의 사상 속에 나타난 환영주의
c. 모순과 용수의 사상
5 주석가들
a. 불호
b. 청변
c. 월칭
6 위대한 종합자: 적호와 연화계
7 중관학파와 니야야
유가행파
1 유가행파 발전의 다섯 단계
a. 1단계: 초기 유가행파의 경전
b. 2단계와 3단계: 미륵과 무착
c. 4단계: 세친
d. 5단계: 후기 유가행파
2 불교 교리에 대한 증명
a. 재생
b. 타자의 마음
c. 찰나성
3 유가행파의 핵심 개념들
a. 유심
b. 알라야식과 여덟 유형의 의식
c. 삼성
d. 의식의 재귀성
e. 세 차례의 굴림
f. 여래장과 유가행파
4 유가행파의 철학을 형성한 요인들
a. 논증과 관련된 요인
b. 텍스트와 관련된 요인
c. 명상과 관련된 요인
5 유가행파와 다른 불교철학 학파
6 유가행파와 베단타
디그나가와 다르마끼르띠 학파
1 디그나가와 다르마끼르띠의 생애
2 인식론
3 추론
4 형이상학
5 언어
6 경전의 권위와 요가 수행자의 지각
a. 경전의 권위
b. 요가 수행자의 지각
7 디그나가와 다르마끼르띠 철학을 분류하는 방법
8 디그나가 및 다르마끼르띠 학파와 미망사와의 관계
a. 미망사의 인식론
b. 미망사의 언어철학
c. 미망사와 역사학, 역사
9 인도 불교철학의 종식
a. 적천
b. 아띠샤 디빵까라쉬리즈냐나
맺음말
참고문헌
역자 후기
리뷰
책속에서
인도 불교철학의 맥락에서 볼 때, 불교철학의 설명 틀뿐만 아니라 내용까지도 비불교 학파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중요한 방식으로 영향을 받은 수많은 사례가 있다. 그렇다면 불교 전통 내의 논증 교류에만 초점을 맞출 것이 아니라, 불교도들이 고전 인도철학의 다른 학파의 주창자들과 벌인 논쟁에 초점을 맞추는 일도 중요하다.
불설(佛說)이 될 수 있는 핵심 자격 기준은 이론적으로 연대를 산정할 수 있는 역사적 붓다의 발화라는 ‘딱딱한’ 기준이 아니라, 적절한 의미에서 붓다의 여타 가르침들과 ‘같은 말씀의’ 가르침이라는 ‘부드러운’ 기준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어떤 텍스트를 정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할 것인지에 대한 질문을 역사적인 것에서 해석학적인 것으로 바꾼다. 우리는 이제 붓다가 실제로 그것을 말했느냐의 여부 대신에, 어떤 텍스트가 (올바르게 이해되었을 때) 그 동일한 것을 의미하는지에 관심을 갖게 된다.
아비달마는 (불교 사상 전반과 마찬가지로) 단순히 논증 중심의 철학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서로 잘 어울리는 일련의 붓다의 가르침들 안에 위치하는 동시에, 그 가르침 가운데 일부를 구성하는 기법들에서 비롯되는 명상 경험들도 고려하는 개념적 기획으로 이해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