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만공법어

만공법어

(개정증보판)

만공월면 선사, 경허록·만공법어 편찬위원회 (지은이)
불광출판사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7,000원 -10% 0원
1,500원
25,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만공법어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만공법어 (개정증보판)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 경전/법문
· ISBN : 9791172611095
· 쪽수 : 391쪽
· 출판일 : 2024-11-30

책 소개

만공 선사의 상당법어·거량·발원문·게송 등을 수집하여 간행되었던 『만공어록』(1968년)과 『만공법어』(1982년)의 개정 증보판이다. 이전 간행 당시 발견되지 않았던 거량과 게송 10여 편이 새롭게 추가되었으며, 기존 내용 중 원문의 오탈자와 오역을 바로잡았다.
한국 불교의 순수성과 전통 수행 가풍을 정립한 대선사,
만공월면 스님의 남다른 선지(禪旨)가 담긴 주옥같은 글


암울했던 일제 강점기, 만공 선사는 경허 선사의 법을 이어 쇠퇴해 가던 한국 선불교의 법맥을 계승하고 정통 간화선을 선양한 분이다. 만공 선사는 조선 총독부의 한국불교 말살 정책에 반발하면서 우리 불교의 순수성을 지키고자 선학원을 설립하고 수행자를 보호하는 한편, 법회를 통해 한국불교의 전통 가풍을 손수 정립하기도 하였다.
이 책은 만공 선사의 상당법어·거량·발원문·게송 등을 수집하여 간행되었던 『만공어록』(1968년)과 『만공법어』(1982년)의 개정 증보판이다. 이전 간행 당시 발견되지 않았던 거량과 게송 10여 편이 새롭게 추가되었으며, 기존 내용 중 원문의 오탈자와 오역을 바로잡았다. 이 책을 통해 일제 강점기라는 역사의 암흑기에 한국불교의 선맥을 계승하고 많은 대중을 교화한 만공 선사의 선지가 널리 알려지고, 선을 공부하는 이들이 선사의 법어를 쾌속선 삼아 자기 완성의 길로 나아가길 바란다.

역사의 암흑기,
일제의 침략 정책과 억압에 굴하지 않고
선(禪)과 대중교화에 진력한 만공월면 스님


한국 선불교의 법맥을 계승하여 간화선을 선양하고 불교 중흥에 힘쓴 선지식이 있다. 암울했던 일제 강점기, 일본의 억압 속에서 한국불교의 순수성을 지키고자 했던 만공 선사이다. 태어날 적 ‘불문에 들어가 고승이 될 것이다.’라는 말을 들었던 만공 선사는 동학사에서 행자 생활을 하던 중 자신의 삶과 사상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한 인물을 만난다. 바로 근대 한국불교의 중흥조로 평가받는 경허 선사이다. 이후 태허 스님을 은사로, 경허 스님을 계사로 출가한 스님은 평생을 화두 참선과 대중교화에 힘썼다.
특히 만공 선사는 당시 일본의 한국불교 말살 정책에 맞서 한국불교의 전통과 정체성을 지키고자 노력했다. 대표적인 예로, 조선 총독부에서 열린 31본산 주지 회의에 참석해 정교분리를 주장하며 일본인 총독을 크게 꾸짖었던 유명한 일화가 있다. 뿐만 아니라 재단법인인 선학원을 설립해 전통 수행 가풍을 정립하고 수좌공제회를 만들어 수행자를 보호하는 한편, 설법을 통해 계율과 선을 진작시켜 선불교를 중흥케 하였다. 또한 한국불교의 선맥을 증명하는 전법게, 안거증, 사적기 등을 기록함으로써 근현대 한국불교의 정체성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여럿 남기기도 하였다.

나를 비추는 거울이자
수행의 지침으로 삼아야 할 가르침
만공 선사 법어집


만공 선사 법어집은 선사의 상당법어·거량·발원문·게송 등을 수집하여 1968년에 『만공어록』이라는 제목으로 초간본이 나왔고, 이후 1982년에 수정·증보판 『만공법어』가 새롭게 간행되었다. 그러나 당시 본문에서 빠진 법어가 적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원문의 오탈자와 번역의 오류로 판단되는 부분이 많아서 보완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경허록·만공법어 편찬위원회는 만공 선사의 법어를 전면적으로 수정하여 재편하였다. 초간 당시 잦았던 오기와 오역을 바로잡고 각주도 보완하였으며, 지금까지 발굴된 거량과 게송 10여 편을 새롭게 추가하여 개정 증보판 『만공법어』를 펴냈다. 이 책에는 불교와 선의 주요 화두에 관한 만공 선사의 가르침이 오롯이 새겨져 있다. 경허 선사의 제자로서 선불교의 법맥을 계승하고 선풍을 진작시켰던 스님의 삶과 사상, 근현대의 선사 가운데 격외의 선지를 가장 자유롭게 구사했던 스님의 경지가 가감 없이 드러난다. 곧 이 책은 선으로 깨달음을 닦아 나가는 이들이 자신의 현재를 점검하는 데 거울로 삼을 말씀이자, 모든 불자가 지녀야 할 최고의 수행 지침서라 할 수 있다.

텅 빈 산의 기운이 고금 밖인데
흰 구름 맑은 바람 스스로 가고 오누나
무슨 일로 달마가 서천을 건너왔는가
축시엔 닭이 울고 인시에 해가 오르네
- 만공 선사 오도송

목차

·발간사_송원설정
·봉향송_혜암 선사
·서사_경봉 선사
·간행사_진성원담

·상당법어

무인년 결제 법문|세간상은 상주하나니라|위없는 보리|일만 기틀을 그치다|대중에게 보이다|여래의 형상|천안으로도 볼 수 없다|선행과 악행|뚫을 수 없다|안정병원을 찾아가라|법 중의 왕|몸과 마음의 체와 용|돌 장승이 이마가 깨짐|고요하고 뚜렷함|오직 마음|있는 것도 없는 것도 아님|생사의 꼭지|높고 높아 당당하다|일심이 만상이다|여래장|하나도 아니고 다른 것도 아니다|밀밀히 머물다|명백하여 스스로 빛남|모두 다 성불하였다|삼세제불을 모두 삼키다|묘하게 밝다|당당하고 뚜렷하도다|금가루와 눈병|좌선하는 법|법기보살의 설법|결제도 없고 해제도 없다|마음의 체와 용|할과 방|선학원에서 대중에게 보이다|제불의 열반|육근과 사대|정수리부터 바닥까지 뚫음|평등성지에 머물다|암자를 태운 이야기|파계사 성정에서 영가 천도 법문|선학원 고승대회 법어|일본인 총독 남차랑에게 일할

·거량
매미 소리를 감별하다_보덕사에서 수박 공양할 때|금붕어 한 꼬리|보려고 하는 자가 누구인가|숭늉 그릇을 던지다_수월 화상|문 앞에서 곡성을 내다_혜봉 선사|무자 10종 병에 대한 문답|서신 문답_한암 스님이 묘향산에 있을 때|서신 문답_한암 스님이 금강산에 있을 때|오대산에서 돌을 던져 보이다_오대산 길가에서|여자 공양_보월 선화|종소리에 깨닫다_성월 선화|일 마친 사람의 경계_용음 선화|절 짓기를 좋아하다_효봉 선화와 마하연에서|출산게 한 구절_고봉 선화|차를 마시고 차를 올리다_고봉 선화|선지식의 머리 깨지는 대목_금봉 선화|자네의 별_전강 선화|길옆의 석불_서경 선화|부처님의 유방_혜암 선화|절대로 속지 말라_금오 선화|주먹을 들어 보이다_선학원 방장실에서|조사가 서쪽에서 오신 뜻_대은 선화|용의 콧구멍_벽초 선화|모두 다 성불하였다_진성 사미|이 등불과 저 등불_시자와 함께 즐기다|차 한 잔 더하다_시자와 함께 즐기다|부처님 형상이 하얗다_공양청을 낸 비구니에게 나아가다|가섭의 찰간 법문|그물에 걸려든 고기|콧구멍 속의 적멸궁|모래가 눈동자에 떨어진 것|여기서 나가지 못하다_임석두 스님|새해는 갑자년이다_기석호 선화|하늘과 땅만큼 현격하다|자기의 직분|허공도 늙는다|영신만복|한 손가락을 들어 보임_설봉학몽|한용운 법사의 오도송_용운 법사|학명 화상의 다섯 가지 물음_학명 화상|세 분 화상의 할|법기보살의 깊은 풀밭|무념 선화의 제일구|대안 선화의 임종게|밥값을 받다_보월 선화|만허 선화의 법거량|만회암에서|소 죽은 넋두리|어떤 부처님이 주인불인가|대은 선화의 공양청|남전의 완월화|못 알아들으면 귀머거리|강선대를 바라보며|여여 처사의 목욕|몽술 행자의 청법|주행산거

·게송
경허 법사의 천화 소식을 듣고 읊다|함경도 갑산군 웅이면 난덕산 밑에서 선법사를 다비할 때 읊다|경허 선사 영찬|자화상에 부쳐|달마 영찬|간월암에서|간월암 중창 게송|간월도를 다녀오는 길에 대나무를 얻고 읊다|갱진교에서|백운을 바라보고 읊다|거문고 법문|난초를 찬탄하다|매화를 찬탄하다|우연히 읊다|오대산 적멸궁에서|오대산 월정사에서|팔공산 성전에서|사월 초파일 병석에서 읊다|납월 팔일 법좌에 올라 대중에게 보이다|납월 팔일|해제 때 대중에게 보이다|벽해를 지나며 읊다_2편|각화|비로봉에서 읊다|비로봉에 올라 읊다|금강산 반야대에서|보덕굴에서 읊다|금강산 업경대에서|금강산에서 읊다|태화산에서 읊다_3편|도비산 부석사에 올라 읊다_2편|참회게문|현암 선자에게 보이다_태흡 참회게문|보덕사에서 읊다|성월당을 애도하는 만사|침운당 만송|침운당 임종게 답송|운암 스님 만송|석호 영가를 위하여 읊다|상로 구공 거사에게 주다|간월도에서 서산 군수 박영준에게 주다|백련성에게 보이다|혜일·심월 두 내외 신자에게 주다|일본인 석정옥룡 거사에게 보이다|선원 잡지의 권두언|학교창립 축시|구황의 처방|이왕궁 족자 화제|부채를 두고 읊다|부민관에서 무희의 춤을 보고|두 비구가 싸울 때|보월성인에게 보이다|혜암현문 선자에게 보이다|고봉 선자에게 보이다|성월 선자에게 보이다|금오 선자에게 보이다|학몽 선자에게 보이다|전강 선자에게 보이다|올연 선자에게 보이다|포산 선자에게 보이다_만공·포산이 꿈꾸는 즐거움|진성 사미에게 보이다|묘리 비구니 법희에게|백련도엽 비구니에게 보이다|월저지명 비구니에게 보이다|숭심명순 비구니에게 보이다|습득 행녀에게 주다

·서문
선림계 서|덕숭산 정혜사 능인선회 방함록 서|견성암 방함록 서

·발원문
발원문|사홍서원|삼대발원

·수행찬
참선곡|참선을 배워 정진하는 법|산에 들어가 중이 되는 법|청정수행록|무자 화두 드는 법

·법훈
나를 찾아야 할 필요와 나|나를 찾는 법_참선법|현세인생에 대하여|불법|불교|승니란 무엇인가?|대중처에서 할 행리법|경구|최후설

·행장
만공월면 대선사 행장_진성

·부록 1
만공 화상 자답|한암 선사와 주고받은 편지|한암 선사와 재차 주고받은 편지|경허 화상과 주고받은 편지|메이지 일왕 부고에 지은 만사|봄이 옴에 풀이 절로 푸르다|월인천강송|완월송|오쟁이 지푸라기 밥을 드시다

·부록 2
만공 스님을 추모하며_중은|만공월면 선사 실기_성오

·수법제자·은상좌
·경허록·만공법어 편찬위원회

저자소개

만공월면 선사 (지은이)    정보 더보기
1871년 3월 7일 전북 태인(정읍) 출생. 세속 이름은 송도암宋道巖. 13세에 김제 금산사, 전주 봉서사, 논산 쌍계사를 거쳐 계룡산 동학사에서 진암眞巖 스님 문하에서 행자로 생활했다. 이듬해인 1884년 10월, 경허 스님의 권유로 서산 천장암 태허泰虛 스님을 은사로 모셨다. 1895년 여름, 아산 봉곡사에서 새벽 범종을 치며 ‘응관법계성應觀法界性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라는 게송을 읊다가 첫 번째 깨달음을 얻었다. 그 뒤 경허 스님의 점검을 받고 공주 마곡사, 서산 부석사, 부산 범어사에서 보임保任했다. 1901년, 통도사 백운암에서 또 다시 새벽 범종소리에 크게 깨달음을 증득했다. 1904년, 입전수수(入廛垂手: 저자거리에서 보살행을 실천함)하기 위해 북녘으로 향하던 경허 스님을 서산 천장암에서 만나 전법게와 법호 ‘만공滿空’을 받았다. 1905년 수덕사에 금선대金仙臺를 짓고 수행하며 수좌들을 제접했다. 1933년부터 유점사 금강선원과 마하연 선원 조실을 지냈으며, 1935년 5월 마곡사 주지로 추대됐다. 수덕사, 정혜사, 견성암, 간월암을 중창한 그는 1920년대 초에는 선학원 설립운동에 나섰고, 1930년대 중반 ‘조선불교선학원종무원’ 종정을 지내는 등 일본불교에 맞서 조선불교의 정체성 확립에 앞장섰다. 말년에는 덕숭산 상봉 근처 전월사에 머물며 선풍禪風을 크게 떨쳤으며, 1946년 10월 20일 원적에 들었다. 세수 75세, 법납 62세.
펼치기
경허록·만공법어 편찬위원회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경허록·만공법어 편찬위원회의 다른 책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