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디지털과 문화융합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문화연구/문화이론
· ISBN : 9791185006161
· 쪽수 : 232쪽
· 출판일 : 2015-05-15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문화연구/문화이론
· ISBN : 9791185006161
· 쪽수 : 232쪽
· 출판일 : 2015-05-15
책 소개
21세기 문화의 의미를 ‘관계와 소통을 위한 인간관계의 지향’에 두고 유사 이래 다루어진 문화와 미디어의 의미를 고찰하고, 이들이 관계와 소통을 위하여 어떻게 작용하였는지에 관해 살펴본다. 또한 ‘미디어-콘텐츠’의 관계를 고찰하면서 문화융합의 관점에서 한국문화의 글로컬화를 위한 미디어콘텐츠의 역할에 대해 정리하고 있다.
목차
Ⅰ. 디지털, 글로컬 그리고 문화융합
Ⅱ. 디지털시대와 문화융합
1. 글로컬라이제이션과 문화융합
1) 문화와 문화교류
2) 문화적 경험들의 매개
3) 미디어와 문화융합
2. 디지털과 문화절체
1) 디지털과 미디어기술
2) 문화절체와 체험
3) 미디어체험
3. 문화융합을 위한 글로컬 미디어콘텐츠
1) 문화융합과 글로컬 미디어콘텐츠
2) 외국인의 시각에서 본 한국문화체험
3) 국가 간 문화교류와 문화콘텐츠 수용의 의미
Ⅲ. 한국문화의 복합적 수요와 미디어의 역할
1. 미디어와 문화전파
1) 프랑스 TV5monde
2) 문화융합 관점의 TV5monde
2. 미디어와 문화수요
1) 한국문화의 복합적 수요
2) 한국문화의 산업적 수요
3) 해외 한국문화교육의 필요성
3. 미디어와 문화체험
1) 한국문화체험의 층위
2) 미디어를 통한 한국문화 공유영역의 확대
Ⅳ. 한국문화의 글로컬화를 위한 미디어콘텐츠 기획론
1. 글로컬 관점의 문화융합과 신한류
1) 신한류의 흐름과 외국인의 문화수용태도
2) 문화적 가치를 공유하는 한국문화의 글로컬화
3) 사회적 필요를 통합하는 미디어 전략
2. 한국문화체험의 재구성
1) 한국문화체험유형의 분절과 다양화
2) 체험을 중심으로 한 단계별 미디어전략
3) 미디어체험네트워크의 구축
3. 한국문화콘텐츠의 글로컬화
1) 한국문화콘텐츠 관리시스템
2) 한국문화교육시스템
3) 한국문화 미디어네트워크
Ⅴ. 한국문화의 글로컬화를 위한 미디어콘텐츠의 역할
저자소개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