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사 일반
· ISBN : 9791185006307
· 쪽수 : 523쪽
· 출판일 : 2020-07-10
책 소개
목차
Chapter 1 선사시대(先史時代)
구석기 시대∙신석기 시대∙청동기 시대∙고조선의 성립∙고조선의 성장∙위만조선∙고조선의 멸망∙고조선의 사회모습∙철기문화∙부여∙고구려∙옥저와 동예∙삼한
Chapter 2 고대국가의 성립과 발전
고구려∙백제∙신라∙가야 연맹∙삼국의 통치 제도
Chapter 3 고구려의 대외항쟁
6세기 말~7세기경 동북아시아의 정세∙삼국의 각축∙고구려와 수·당의 전쟁
Chapter 4 신라의 삼국통일
나·당 연합의 결성과 백제. 고구려의 멸망∙백제와 고구려의 부흥운동∙나·당 전쟁과 신라의 삼국통일∙통일 신라의 발전과 통치체제의 정비∙발해의 건국∙발해의 성장과 발전∙발해의 통치 체제∙발해의 멸망∙신라 말의 동요와 후삼국의 성립∙후삼국의 성립
Chapter 5 남북국 시대의 경제
고대의 경제와 사회∙귀족의 경제생활∙농민의 경제생활∙통알신라의 경제 정책∙통일신라의 경제활동∙통일신라 귀족과 농민의 경제생활∙발해의 경제 발달∙삼국 사회의 모습∙발해와 신라와의 관계∙통일 후 신라 사회의 변화∙발해의 사회구조와 문화∙고대의 문화∙역사 편찬과 유학의 보급∙불교의 수용∙유학과 도교, 풍류도∙불교 사상의 발달∙선종과 풍수지리설
Chapter 6 과학기술의 발달
천문학과 수학
Chapter 7 고대인의 자취와 멋
고분과 벽화∙삼국시대와 발해의 건축과 탑∙삼국과 남북국시대 예술
Chapter 8 문화교류
삼국시대 문화교류∙삼국문화의 일본 전파
Chapter 9 고려 건국과 후삼국 통일
고려의 건국∙태조의 정책과 왕권의 안정∙광종의 개혁정치∙성종의 유교적 정치질서 강화∙고려의 통치 체제∙군역 제도와 군사조직∙관리 등용과 교육제도∙문벌 귀족 사회의 성립과 동요∙이자겸의 난(1126)∙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1135)∙무신정권의 성립(1170)∙최씨 무신정권의 성립
Chapter 10 대외관계의 변화
거란의 침입과 격퇴∙여진의 성장과 동북 9성∙몽골과의 전쟁∙삼별초의 항쟁
Chapter 11 고려 후기의 정치변동
원의 내정 간섭권문세족의 성장∙공민왕의 개혁정치
Chapter 12 신진 사대부와 신흥무인 세력
신진사대부∙신흥무인세력∙고려의 멸망
Chapter 13 중세의 경제와 사회
고려의 경제 정책∙국가의 재정운영∙수취 제도의 정비∙전시과 제도와 토지소유
Chapter 14 고려의 경제 활동
귀족의 경제생활∙농민의 경제생활∙수공업과 상업활동∙고려시대의 화폐정책∙대외 무역활동
Chapter 15 고려 사회의 모습
고려 사회의 모습∙농민들의 생활모습과 사회제도∙법률과 풍속
Chapter 16 고려 후기의 사회변화
무신 집권기 농민과 천민의 봉기∙원 간섭기의 사회변화
Chapter 17 중세의 문화
학문의 발달과 역사서 편찬∙성리학의 수용∙고려의 교육 기관∙역사서의 편찬∙불교 사상과 신앙∙불교 통합 운동과 천태종∙경사 운동과 고려 불교∙대장경 간행∙도교와 풍수지리설
Chapter 18 중세 과학기술의 발달
천문학과 의학∙인쇄술의 발달∙농업 기술의 발달∙화약무기 제조와 조선술의 발달
Chapter 19 귀족문화의 발달
건축과 예술의 발달∙고려청자와 문화
Chapter 20 근세의 정치
조선의 건국∙국가의 기틀 마련
Chapter 21 통치 체제의 정비
중앙 정치 제도∙지방 행정 제도∙유항소와 경재소 설치∙군사제도와 군사조직∙교통, 통신 체제∙ 관리 등용 제도∙인사 관리 제도∙조선 전기의 대외관계
Chapter 22 사림의 대두와 붕당의 출현
훈구와 사림∙사림의 성장과 사화∙사림의 집권과 붕당의 형성∙임진왜란(1592)-극복∙광해군의 중립외교와 호란의 발발
Chapter 23 근세의 경제와 사회
과전법의 시행과 변화∙수취 체제의 확립∙수췌제도의 문란∙조선 전기의 경제생활∙수공업 생산 활동과 상업활동∙양반중심의 관료 사회∙사회 정책∙법률 제도∙향촌 사회의 조직과 운영
Chapter 24 근세의 문화
훈민정음의 창제∙교육 기관∙조선 전기 편찬 사업∙성리학의 발달∙불교와 도교, 민간 신앙-불교의 정비∙과학 기술의 발달-천문,역법∙농업 기술과 의학의 발달∙인쇄술과 군사 기술의 발달∙문학과 예술의 발달-문학의 발달∙예술의 발달
Chapter 25 근대 태동기의 정치
정치 구조의 변화∙군사 제도의 변화∙지방군의 개편∙붕당 정치의 변질∙탕평론의 대두∙영종의 탕평 정치∙영조의 개혁 정책∙정조의 개혁 정치∙세도 정치의 전개∙세도 정치의 폐단
Chapter 26 대외 관계의 변화
청과의 관계∙일본과의 관계
Chapter 27 근대 태동기의 경제와 사회
수취 체제의 개편∙서민 경제의 발달∙수공업의 발달∙광업의 발달∙상품 화퍠폐 경제의 발달∙신분제의 변화와 동요∙사서얼과 중인의 신분상승 운동∙노비의 신분상승 운동
Chapter 28 사회구조의 변동
가족 제도의 변화와 혼인∙향촌 질서의 변화사회 변혁의 움직임-예언 사상의 유행∙천주교의 수용과 확산∙동학의 창시∙농민 봉기의 발생∙삼정의 문란
Chapter 29 근대 태동기의 문화
성리학의 절대화 경향∙양명학의 수용∙실학의 등장과 발달∙농업 중심의 개혁론∙상공업 중심의 개혁론∙실학사상의 의의와 한계∙국학의 발달∙서양문물의 수용과 과학 기술의 발달∙서민 문화의 발달∙조선 후기 문학과 예술∙진경산수화와 풍속화, 민화∙건축의 변화와 발달
Chapter 30 근대 국가 수립 운동
흥선대원군의 정책∙통상 수교 거부 정책∙병인양요(1866)∙신미양요(1871)∙불평등 조약의 체결∙서양 열강과의 수교∙개화 정책의 추진∙정부의 개화 정책 추진∙위정척사 운동∙임오군란(1882)∙갑신정변(1884)∙갑신정변 이후의 국내외 정세∙갑오개혁의 추진
Chapter 31 동학 농민 운동 ~ 구국 민족 운동의 전개
동학 농민 운동∙독립 협회의 활동∙대한 제국의 수립(1897)∙간도(間島, 墾島)∙독도(獨島)∙항일 의병 전쟁
Chapter 32 일제의 국권침탈
러·일 전쟁-을사늑약(1905)∙의사, 열사의 항일 투쟁∙애국 계몽 운동∙교육활동과 언론 활동
Chapter 33 개항 이후 경제와 사회 ~ 근대 문물과 문화
일본 상인의 침투∙일본 상인과 청 상인의 무역 경쟁∙제국주의 열강의 이권침탈∙일본의 이권 침탈∙방곡령 선포∙상권 수호 운동∙이권 수호 운동∙민족 자본과 기업 육성∙국채 보상 운동∙근대 문물의 수용∙근대 시설의 수용∙언론의 발달∙일제의 언론 탄압∙근대 교육∙국학 연구
Chapter 34 생활, 종교, 문예의 변화
의, 식, 주 생활의 변화∙문학과 예술의 변화∙종교계의 변화
Chapter 35 일제의 강점과 민족 운동의 전개–일제 식민통치~3.1운동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일제의 식민지 지배∙1910년대 헌병 경찰 통치(무단 통치)∙1920년대 민족 분열 통치(문화 통치)∙1930년대 이후 민족 말살 통치∙일제의 경제 수탈-토지조사 사업∙산미 증식 계획(1920~1934)∙일본 자본의 조선 지배∙농촌 진흥 운동(1932)∙병참 기지화 정책∙인적 자원 수탈
Chapter 36 1910년대의 민족 운동
국내 항일 비밀결사 활동∙국외의 독립 운동∙3·1운동(1919)∙3·1운동의 확산∙3·1운동의 의의와 영향∙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대한민국 임시정부의 활동
Chapter 37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위기와 개편
국민 대표 회의 개최(1923)∙지도 체제의 개편
Chapter 38 무장 독립 전쟁의 전개
1920년대 무장 독립운동과 단체의 결성∙봉오동 전투와 청산리 대첩∙독립군의 시련과 극복∙만주 지역 독립군의 재정비∙3부 통합운동∙국외 이주 동포의 활동∙의열단 투쟁의 전개∙의열단의 변화∙한인애국단∙19 30년대 만주 지역의 무장 독립 전개∙만주 지역의 항일 유격 투쟁∙중국 본토에서의 활동∙대한민국 임시 정부와 한국광복군
Chapter 39 다양한 민족 운동과 실력 양성운동
물산장려운동∙민립 대학 설립 운동∙문맹 퇴치 운동∙6·10 만세운동(1926)∙광주 학생 항일 운동(1929)∙농민 운동∙노동 운동∙신간회 창립배경과 사회주의 운동의 전개∙신간회의 창립과 해소∙다양한 사회 운동의 전개∙형평 운동(1923)∙민족 문화 수호 운동 전개∙일제의 식민지 교육 정책∙일제의언론 탄압∙한국사 왜곡∙한국사 연구∙일제의 종교탄압과 대응∙일제식민지 시대의 문학과 예술
Chapter 40 대한민국 수립
조선건국준비위원회∙국토 분단과 미군정의 실시∙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와 좌우익의 대립∙미·소 공동 위원회∙좌우 합작 운동∙한반도 문제의 유엔 이관∙대한민국 정부 수립∙친일파 청산을 위한 노력∙6.25전쟁(1950)∙6.25전쟁의 전개∙6.25전쟁의 결과
Chapter 41 민주주의의 시련과 발전
이승만 정부의 장기 집권 시도∙제 3대 대통령 선거와 보안법 개정∙4.19혁명∙장면 내각(제 2공화국, 1960~1961)∙5.16군사정변∙박정희 정부(제 3공화국, 1963~1972)∙베트남 파병(1964~1973)∙3선 개헌(1969, 6차 개헌)∙유신 체제(제 4공화국, 1972~1979)∙유신체제 붕괴∙신군부 등장∙5.18 민주화 운동(1980)∙전두환 정부(제 5공화국)∙6월 민주 항쟁(1987)∙직선제 개헌 이후의 정부∙김영삼 정부∙김대중 정부∙대북 화해 협력 정책('햇볕 정책')
Chapter 42 통일정책 ~ 경제, 사회, 문화의 변화
6.25전쟁 이후 남·북 구도∙장면 내각∙박정희 정부(1960년대)∙남북 관계의 새로운 변화∙전후 복구와 경제 성장∙전후복구와 경제 원조∙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의 수립과 추진∙1980년대 경제(전두환 정부)∙1990년대 경제(김영삼, 김대중 정부)∙6.25 전쟁 이후 달라진 사회∙노동사회의 변화∙농촌의 변화와 새마을운동∙교육 정책의 변화
참고문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