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주역 64괘

주역 64괘

(주역 64괘를 풀다, 쉬운 주역, 생활도덕 주역)

임병학 (지은이)
중도
4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40,500원 -10% 0원
2,250원
38,250원 >
40,5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4,050원
36,4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0개 37,46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주역 64괘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주역 64괘 (주역 64괘를 풀다, 쉬운 주역, 생활도덕 주역)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역학 > 주역
· ISBN : 9791185175645
· 쪽수 : 346쪽
· 출판일 : 2023-08-15

책 소개

『주역(周易)』을 쉽게 풀이한 『주역 64괘』(도서출판 中道, 2023)가 출간되었다. 이 책은 3부로 구성되어 있는데, 제1부는 『주역』 상경 30개의 괘를, 제2부는 『주역』 하경 34개 괘를, 제3부는 팔괘(八卦)와 팔괘도(八卦圖)를 ‘쉬운 주역’, ‘생활도덕 주역’으로 풀이하였다.

목차

발간사

제1부 상경(上經)

건(乾) ……… 11 곤(坤) ………22 둔(屯) ………30 몽(蒙) ………33
수(需) ……… 38 송(訟) ………43 사(師) ………47 비(比) ………53
소축(小畜)…… 59 리(履) ………62 태(泰) ………67 비(否) …… 71
동인(同人)…… 75 대유(大有) ……80 겸(謙) ………84 예(豫) ………88
수(隨) ……… 94 고(蠱) ………98 임(臨) …… 101 관(觀) …… 107
서합(??)… 112 비(賁) …… 117 박(剝) …… 120 복(復) …… 124
무망(无妄)… 129 대축(大畜) … 133 이(?) …… 137 대과(大過) … 142
감(坎) …… 146 리(離) …… 149

제2부 하경(下經)

함(咸) …… 157 항(恒) …… 163 돈(遯) …… 167 대장(大壯) … 171
진(晉) …… 175 명이(明夷) … 178 가인(家人) … 183 규(?) …… 188
건(蹇) …… 192 해(解) …… 196 손(損) …… 201 익(益) …… 206
쾌(?) …… 212 구(?) …… 215 췌(萃) …… 219 승(升) …… 223
곤(困) …… 228 정(井) …… 234 혁(革) …… 240 정(鼎) …… 245
진(震) …… 249 간(艮) …… 253 점(漸) …… 257 귀매(歸妹) … 261
풍(豊) …… 265 려(旅) …… 269 손(巽) …… 273 태(兌) …… 277
환(渙) …… 281 절(節) …… 284 중부(中孚)… 288 소과(小過) … 292
기제(旣濟) … 296 미제(未濟) … 300
제3부 팔괘(八卦)와 팔괘도(八卦圖)
건(乾) …… 305 곤(坤) …… 307 진(震) …… 309 손(巽) …… 311
감(坎) …… 313 리(離) …… 315 간(艮) …… 317 태(兌) …… 319
복희팔괘도(伏羲八卦圖) ………… 321
문왕팔괘도(文王八卦圖) ………… 327
정역팔괘도(正易八卦圖) ………… 33

찾아보기

저자소개

임병학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저자는 관중(觀中) 류남상(柳南相) 교수에게 『주역』과 『정역』을 배웠으며, 현재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역철학, 정역철학, 사상철학, 원불교학, 마음학(선진유학)을 연구․강의하고 있다. 저서는 『한자, 주역으로 풀다❷』, 『하늘을 품은 한자, 주역으로 풀다』, 『동의수세보원, 주역으로 풀다』, 『중용, 주역으로 풀다』, 『꽃차, 사상의학으로 만나다 1․2』, 『역학과 河圖洛書』, 『一夫傳記와 正易哲學』 등이 있고, 논문은 역학(易學)연구 30여 편, 사상철학 30여 편, 원불교학 등 30여 편이 있다. 저자는 이 책을 저술해야겠다고 미리 계획한 것은 아니었다. 『한자, 주역으로 풀다 2』를 저술하면서, 발걸음이 저절로 옮겨지게 되었다. 왜곡되고 타락한 『주역』의 해석을 멀리하고, 성인의 말씀을 드러내고자 하는 마음에서 시작하였다. 이어서 『주역 384효』를 역해(易解)할 계획이다. 384효에서 밝힌 말씀 하나하나의 형이상학적인 뜻을 생각해보고자 한다. 특히 『주역 64괘』의 풀이를 바탕으로 이태경(李泰暻) 선생님과 공동으로 ‘주역 64괘 화보’를 작업하고 있다. 『주역』을 공부하면 할수록 어리석은 자신을 알아가게 되었다. 책을 출간하는 것은 아둔한 자신을 일깨우는 공부의 과정이지만, 함께 나누고자 하는 마음도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뇌지예괘(雷地豫卦)는 내괘 곤괘(坤卦, )와 외괘 진괘(震卦, )로, 우레가 땅으로부터 나오는 형상이다. 예괘(豫卦)는 예비하는 것으로, 사람의 종교성을 실현하는 것이다.
우예(盱豫)는 쳐다 보면서 예비하는 것으로, 눈에 보이는 대상적 존재를 하나님이라고 믿는 것이다. 우상숭배(偶像崇拜)의 전형으로 돌이나 나무로 만들어진 형상에 의지하거나, 특정한 사람을 절대적으로 믿는 것이다. 이것은 진실한 믿음이 아니기 때문에 후회(後悔)가 따르게 된다.
쳐다볼 우(盱)는 눈 목(目)과 어조사 우(于)로, 눈에 보이는 것에 따라 가는 것이다. 목(目)은 대상의 경계를 가장 먼저 접촉하고 가장 끌리는 것이기 때문에 경계해야 하는 것이다.
불교에서도 안․이․비․설․신․의(眼耳鼻舌身意) 육식(六識)에서 가장 먼저 안식(眼識)이 나오고, 또 ��금강경��에서는 오안(五眼)이라 하여, 육안(肉眼), 천안(天眼), 혜안(慧眼), 법안(法眼), 불안(佛眼)을 밝히고 있다.
<예괘(豫卦)>


천뢰무망괘(天雷无妄卦)는 내괘 진괘(震卦, )와 외괘 건괘(乾卦, )로, 하늘 아래에서 우레가 치는 것이다. 하늘 아래에서 성인지도(聖人之道)가 행해지기 때문에 만물이 모두 허망함이 없는 것이다.
「잡괘」에서는 ‘무망(无妄)은 재앙이다’(无妄은 災也라)라 하여, 허망함이 없는 것이 오히려 재앙이라 하였다. 우리의 삶에서 어려움과 시련은 자신의 심지(心志)를 키워주기 위한 하늘의 뜻이기 때문에 무망(无妄)은 재앙이 되는 것이다. 시련이 없이 살아가는 것이 좋은 것 같지만, 그렇게 해서는 진리를 찾고자 하는 마음이 생기지 않는다.
불교의 육도윤회(六道輪迴)에서 인간계(人間界)를 통하여 해탈(解脫)의 길로 갈 수 있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사람은 고통도 있고 안락도 있어서 고통에서 벗어나려는 마음 때문에 해탈을 바라게 되는 것이다. 아무런 고통이 없는 천상계(天上界)에서는 해탈을 성취할 수 없고, 그곳에 머무는 것에 만족하는 것이다. 고통이 역연(逆緣)이 되어 삶의 본질을 찾고자 하고, 이것이 기연(機緣)이 되어 무상(無常)을 느끼고, 현실의 안락을 떠나 영생의 행복을 추구하는 것이다.
무망(无妄)괘는 사람이 허망함이 없이 살아가는 길과 하늘이 내리는 재앙을 이겨가는 것을 의미한다. 허망함은 사람이 실존적 삶의 본질을 깨우치기 위한 과정으로, 성인이 밝힌 하늘의 뜻을 궁구하고 순응하며 살아가는 길을 열어주는 것이다. 이 허망함이 없으면 현실에 안주(安住)하기 때문에 재앙이 되는 것이다.
<무망괘(无妄卦)>


산뢰이괘(山雷頤卦)는 내괘 진괘(震卦, )와 외괘 간괘(艮卦, )로, 산 아래에서 우레가 치는 형상이다. 군자가 마음속에서 성인지도를 익히고 있다.
말씀을 삼가야 하는 것은 성인의 말씀을 듣고 익혀야 하지, 관념적 이데올로기의 말은 삼가고 조심하라는 것이다. 불교의 유식삼성(唯識三性) 가운데 하나인 사람의 관념과 감정은 있지만 천리(天理, 眞理)가 없는 정유리무(情有理無)의 변계소집성(遍計所執性)을 극복해야 하는 것이다. 자신의 감정에 휘둘려서 진리를 왜곡하는 삶을 경계하고 조심해야 한다.
또 음식을 절도에 맞게 먹어야 하는 것도 아무 음식이나 먹으면 안 되고, 가려서 먹어야 하고 시(時)에 맞게 음식을 먹어야 하는 것이다. 정보의 홍수 시대에 우리는 진리의 말씀을 얻지 못하고, 오히려 잡다한 음식을 먹는데 인생을 낭비하고 있다.
<이괘(頤卦)>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