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사 일반
· ISBN : 9791185447094
· 쪽수 : 420쪽
· 출판일 : 2018-01-25
목차
01. 우리 한(韓)겨레 민족은 어디서 왔을까?
1. 인류의 진화과정 1
2. 한(韓)민족의 기원 2
3. ‘요하 문화 기원’에 대한 중국 측 반응 7
02. 고대국가의 건국신화
1. 고조선 13
2. 고구려 시조 주몽의 건국신화 16
3. 백제의 건국설화 19
4. 신라의 건국신화 21
5. 김수로왕(금관가야)의 건국신화 23
03. 한겨레민족의 상징, 태극기, 아리랑, 애국가, 무궁화
1. 태극기(太極旗) 26
2. 아리랑 28
3. 애국가 31
4. 국화(國花) 무궁화 33
04. 일제의 역사왜곡과 식민사관
1. 임나일본부설(任那日本府說) 36
2. 일제의 식민주의 사학(식민사관) 42
3. “역사는 과연 되풀이 되어야 하는가” 47
05. 중국의 동북공정(東北工程)과 굴기(堀起)
1. “간도는 우리 땅이 였다” 50
2. 동북공정(東北工程) 53
3. “한국은 과거부터 중국의 일부였다?” 61
06. 북한의 “대동강문명론”과 주체사관
1. 단군신화는 신화인가? 역사인가? 64
2. 고조선의 건국은 언제이며, 그 중심위치는 어디인가(?) 65
3. 북한, “단군릉 발견 주장하다.” 69
4. 대동강 문명론과 주체사관 70
5. 대동강문명, 과연 역사로 남을까? 72
07. 독도는 우리 땅, 그리고 “대마도도 우리 땅이였다”
1. 독도(울릉도)의 역사 74
2. 독도영토분쟁 76
3. 동해 표기 문제 80
4. 이승만 대통령 “대마도 반환하라” 81
08. 신라 삼국 통일의 의의
1. 삼국통일 항쟁은 “한강 쟁탈전에서 시작되었다” 84
2. 삼국의 민족 통일 항쟁 86
3. “통일신라”의 의의 96
09. 불교의 교·선(敎·禪) 양종과 결사운동
1. 삼국시대의 불교 101
2. 교종과 선종(5교 구산) 104
3. 신라의 대표 명승 원효와 의상 105
4. 신라 불교의 대표 건축 “불국사와 석굴암” 109
5. 고려의 호국불교와 대각국사 의천 111
6. 불교의 통합운동과 결사운동 114
7. 조계종(曹溪宗)의 역사 116
10.『삼국사기』와 『삼국유사』
1. 삼국사기(三國史記) 118
2. 삼국유사 122
3. 『삼국사기』와 『삼국유사』 비교 124
11. 고려는 왜 멸망했는가?
1. 토지제도, 적폐가 되어 고려멸망의 원인이 되다. 126
2. 공민왕의 개혁정치, 홍건적의 침입으로 좌절되다. 127
3. 요승신돈, 고려멸망의 원인이 되고 공민왕 시해되다. 128
4. 신흥사대부의 성장과 왜구의 창궐 131
5. 요동정벌론과 위화도 회군 132
6. 최영의 최후와 우왕의 폐립 134
7. 고려의 적폐, 토지 개혁하다. 135
8. 정몽주, 동지에서 정적으로. 136
12. 사림(士林)과 사화(士禍)
1. 조선조, “성리학(性理?)을 통치이념으로 삼다” 140
2. 퇴계 이황과 율곡 이이의 이기론(理氣論) 142
3. 사림의 기반, 서원(書院)과 향약(鄕約) 145
4. 사화의 종식과 붕당정치 146
5. 사화와 붕당정치가 주는 교훈 162
13. 임진왜란과 충무공 이순신
1. 전쟁의 배경 163
2. 전쟁의 시작 165
3. 선조의 몽진 166
4. 충무공 이순신의 등장 167
5. 이순신의 평가 169
6. 조선의 반격 171
7. 한양수복과 선조의 귀환 178
8. 강화회담 179
9. 정유재란 180
10. 전란의 영향 182
14. 우리 민족사 최대의 치욕 “삼배구고두(三拜九叩頭)”
1. 서출 광해군의 등장 184
2. 광해군의 정치외교와 강홍립의 한(恨) 187
3. 인조 반정과 이괄의 난 189
4. 정묘호란 190
5. 병자호란과 삼전도(三田渡)의 굴욕 191
15. 조선왕조 세계지도에서 사라지다
1. 일본의 침략서곡 『병자수호조약(강화도 조약)』 198
2. 대한제국 선포와 『을사보호조약』 203
3. 『한·일 합방(合邦)』 “조선왕조 세계지도에서 사라지다” 212
16. 수난의 섬 제주도와, 4,3사건 및 여순반란사건
1. 제주도의 역사 222
2. 「4.3 사건」 224
3. 「여, 순 반란사건」 227
17. 남로당과 주사파
1. 남로당(남조선 로동당) 230
2. 주사파(주체 사상파) 236
18. 이승만과 김구
1. 이승만의 생애 243
2. 김구의 생애 258
3. 이승만, 김구의 평가 267
4. 대한민국의 건국은 언제인가? 276
19. 한국전쟁(6·25전쟁)
1. 전쟁의 배경 280
2. 6·25전쟁의 경과 284
3. 유엔군의 개입과 낙동강 전선 287
4. 인천상륙작전 288
5. 중공군의 개입과 1·4 후퇴 289
6. 휴전 회담과 반공포로 석방 292
7. 한국전쟁이 남긴 것 293
8. 휴전 이후 북한의 도발과 남북회담 296
20. 한겨레민족의 생활과 문화
1. 고대사회 300
2. 삼국 및 통일신라시대 307
3. 고려시대 323
4. 조선시대 ? 광복 330
21. 시대별 역사의 약사(略史)
1. 고조선 348
2. 고구려 350
3. 백제 352
4. 가야연맹 354
5. 발해 357
6. 신라 359
7. 후삼국시대 363
8. 고려 366
9. 조 선 373
부록참고문헌 및 사진자료 출처 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