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기호학/언어학 > 한국어/한문
· ISBN : 9791185882222
· 쪽수 : 332쪽
· 출판일 : 2016-05-10
책 소개
목차
제1부 한자의 창제
한자는 언제 만들어졌을까
한자는 누가 만들었을까
한자는 어떤 과정을 거치며 만들어졌을까
한자는 모두 몇 자일까
한자 창제 전에는 무엇을 사용했을까
옛 글자는 어떻게 알아냈을까
한자는 무엇으로 썼을까
한자는 어디에 썼을까
한자(漢字)라는 명칭은 언제 붙여졌을까
한자의 발음은 어떻게 정했을까
한자는 언제 우리나라에 들어왔을까
제2부 한자의 변천
한자는 어떻게 변해왔나
거북 등에 새겨진 한자, 갑골문(甲骨文)
청동기(靑銅器)에 쓰인 한자, 금문(金文)
인장(印章)의 모범, 전서(篆書)
단아(端雅)한 글자, 예서(隸書)
흘려 쓴 글자, 초서(草書)
모범적인 글자, 해서(楷書)
일반인의 필기체, 행서(行書)
중국 대륙의 문맹퇴치, 간체자(簡體字)
다른 나라에서 만들어진 한자들
나라마다 모양이 다른 한자
새로 생기는 한자와 사라지는 한자
제3부 한자의 배우기의 기본
편방(偏旁)
편방이 같아도 결합에 다라 다른 글자가 된다
같은 편방이라도 글자에 따라 편방 모양이 다를 수 있다
부수(部首)
가장 많은 글자를 거느리고 있는 부수자
필획(筆劃)
자전(字典)과 사전(辭典)
자전에서 한자 찾는 법
한자는 몇 자를 배우면 되나
한자 교육용 교재, 천자문(千字文)
서로 구별이 어려운 한자들
같은 글자라도 음이 다르면 뜻이 다르다
제4부 한자와 한자문화
한문이 세로쓰기를 해온 까닭
한문은 왜 띄어쓰기를 안 하나
중국의 글자는 한자밖에 없나
가장 많이 사용되는 한자
중국보다 한국에서 더 많이 쓰는 글자
중국인들이 좋아하는 글자와 싫어하는 글자
피휘자(避諱字)
중국의 기발한 외래어 표기
한자는 컴퓨터에 어떻게 입력시키나
부록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