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머니니스

머니니스

강남규 (지은이)
스타리치북스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10% 0원
1,000원
17,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머니니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머니니스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화폐/금융/재정
· ISBN : 9791185982786
· 쪽수 : 408쪽
· 출판일 : 2023-02-28

책 소개

중앙일보 국제경제 선임기자이자 저자인 강남규 기자는 29년간의 기자 생활 중 대부분을 경제기자로 활동하며 ‘돈이란 무엇인가?’라는 궁금증을 풀기 위해 발버둥 쳐왔다. 이후 해답을 얻고자 영어권 경제 서적 15권 이상을 번역했으며 영국 버밍엄대학과 런던정경대학의 강의를 들으며 탐구했다. 그간 저자가 모은 지식과 팩트를 자신만의 틀에 넣어 배열한 것이 바로 《머니니스》다.

목차

지은이의 고백 _5
INTRODUCTION 돈은 바이러스다 _13

CHAPTER 1 돈이란 무엇인가?
1. 돈은 사라지지 않는다 위기와 팬데믹의 이중주 _41
· 죽음의 춤:돈을 둘러싼 공포 심리학 _45
· 돈의 DNA, 그리고 부활 _48
· 돈의 종말론:경제적 천동설 _53
· 비트코인의 도전과 응전 _56
· 달러 패권의 종말론 _61

2. 돈을 지탱하는 트라이앵글 종이돈(지폐) 생태계의 시작 _68
· 돈의 권력을 나눈 3가지 축 _70
· 세금의 오묘함 _72
· Fed, 여윳돈의 저수지 _74
· 자본주의 사령부 _77
· 상식의 배반, 돈은 누가 만드는가? _81
· 새끼 치는 돈 _ 85
· 돈의 혁명, 부분지급준비금 _ 87
· 마지막 대부자, 중앙은행의 탄생 _89
· 불안정 자체인 삼각동맹 _91

3. 돈의 숙주는 바뀐다 돈의 가치를 지켜줄 최고의 숙주 _94
· 생존을 위한 돈의 교환 _99
· ‘돈이 생겨라’하니 돈이 생겼다 _103
· 권력, 경제관리 그리고 돈 _110
· 평화, 또 하나의 조건 _115

4. 돈에도 영토가 있다 돈의 가치를 매기는 셈의 단위 기준 _124
· 돈의 영토를 확대하는 법 _128
· 돈놀이꾼들의 재탄생 : 근대 금융시장의 탄생 _131
· 돈의 위계서열 _135
· 기준금리:영토 내 돈 가격 _141
· 신분을 나누는 새로운 척도 _146

5. 그 많은 돈은 누가 가져가는가? 돈의 배분, 양극화와 그 해결사들 _149
· 코인주의자의 복음성가 _152
· 배분의 불평등과 경제 불평등 _159
· 돈의 흐름과 소득 채널 _162
· 소득과 금융의 이중주 _166
· 양극화와 재테크 강박관념 _170

6. 영토를 벗어난 돈은 그저 물건일 뿐이다 달러 패권주의와 글로벌 통화 서열 _175
· 돈의 두 얼굴, 금리와 환율 _175
· 서열의 꼭짓점 _177
· 달러를 향한 물신숭배 _181
· ‘영토 밖은 위험해!’ _188
· 영토 밖 채권자와 채무자 _194

CHAPTER 2 돈의 위기
7. 돈이 경제위기를 일으키는가? 돈과 경제위기, 진실과 오해 _201
· 종이돈, 은행권의 시작 _203
· 경제위기의 정체 _207
· 고대 금융위기의 그림자 _211
· 패닉 1825, 위기의 변곡점 _218
· 경제위기와 돈의 문제 _221

8. 돈의 위기, 승자는 누구인가? 위기의 시그널과 엔딩크레딧 _227
· 위기란 무엇인가? _230
· 돈이란 바이러스 속 위기의 단서 _233
· 신용, 깨지기 쉬운 그 무엇 _236
· 금융은 증폭기 _240
· 돈이 아니라 소비가 문제? _243
· ‘문제는 가격이야!’ _247

CHAPTER 3 돈의 과거
9. 돈은 세기의 발명품이다 돈의 창세기와 역사성 _257
· 아리스토텔레스의 창세기 _260
· 돈의 탄생 VS 발명 _265
· 돈은 그림자가 아니라 방아쇠 _267
· 방아쇠, 그리고 코로나 사태 _270
· 공동체 의식 대신 부채 의식 _271
· 돈의 원초적 기능 _274
· 점토, 돈의 첫 번째 숙주 _276
· 금은이 아니어도 가치 저장 기능 _278

10. 돈은 물류의 엔진이다 전쟁과 불신의 시대에 돈의 구실 _281
· 코인(주화)의 고향 그리스 _284
· 군대-주화 복합체 Ⅰ:그리스 버전 _287
· 군대-주화 복합체 Ⅱ:조선 버전 _290
· 알렉산드로스 시대의 화폐경제 _292
· 무게와 화폐단위의 이별, 그 첫걸음 _295
· 귀금속으로부터 해방 _297
· 기독교 국교화와 돈 _299

11. 돈의 주인은 누구인가? 돈 창출 시스템의 태동 _302
· 돈의 몰락 그리고 부활 _304
· 근대 금융의 주인공 등장 _308
· 새로운 돈이 나타났다 _310
· 국책의 싹 _312
· 흄, 중상주의 저격수 _315
· 애덤 스미스, 머니 크리에이션을 발견하다 _320
· 나폴레옹과 위기 _323
· 금과 종이돈 사이 게임의 룰 _327
· 1차 논쟁, 영란은행을 믿을 수 있을까? _330

12, 돈을 누가 관리하는가? 공권력을 등에 업은 새로운 도전자 _334
· 헨리 손튼,‘돈은 금화’라는 전제 _335
· 리카도, 화폐이론의 선동가 _339
· 금태환 재개, 태평성세는 오지 않았다! _343
· 통화학파, 논쟁 승리의 쓴 대가 _345
· 은행학파, 시대의 통념 파괴자들 _347
· 베지헛, 중앙은행의 아버지 _349
· 21세기 Fed에 의해 부활한 빅셀 _354
· 화폐이론의 정반합 _358

CHAPTER 4 돈의 현재 그리고 미래
13. 돈은 무한한가? 공권력을 등에 업은 새로운 도전자 _363
· 위기의 데칼코마니 _365
· 돈의 빅뱅, 그 이후 _367
· 그림자에서 방아쇠로 _371
· 일그러지기 시작한 삼각동맹 _375
· 돈의 시계추 이동 _337

14. 돈의 계시록 블록체인 시대의 돈 _382
· 0과 1이란 숙주 _386
· 금융 기득권의 붕괴 _390
· 빅브라더의 등장 _395
· 중앙은행 쟁탈전 _399
· 돈의 정치화 _401
· 돈의 영토 해체 _403
· 비이성적 과잉을 제어할 수 있는 세상 _405

저자소개

강남규 (옮긴이)    정보 더보기
중앙일보 국제경제 선임기자다. 1994년 한겨레신문에 입사해 29년째 저널리즘에서 일하고 있다. 중간에 경제 전문 매체인 이데일리를 거쳐 2007년부터 현재까지 중앙일보에서 글로벌 경제 기사를 쓰고 있다. 2021년부터는 해외 석학과 경제 전문가를 인터뷰하는 유튜브 채널 <삼프로TV>의 글로벌 머니 토크의 공동 진행을 맡고 있기도 하다. 국내에서는 건국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했다. 해외에서는 2003~2005년 영국 버밍엄대학에서 머니, 뱅킹&파이낸스(Money, Banking and Finance)를 배웠다. 2016~2017년 관훈클럽정신영연구기금의 지원을 받아 영국 런던정경대학(LSE)에서 경제사(석사)를 공부했다. 지은 책으로는 ≪지긋지긋한 빚 탈출≫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금융투기의 역사≫, ≪현명한 투자자≫, ≪금융제국 J. P. 모건≫, ≪세계 금융시장을 뒤흔든 투자 아이디어≫, ≪신용카드 제국≫, ≪월스트리트 제국≫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전문가 또는 경제를 알 만한 사람들이라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경제위기 탓에 한 나라의 돈이 위기를 맞고 있다’거나 ‘기존의 돈이 문제가 많아 인플레이션이나 자산 거품으로 이어지고 끝내 경제위기를 맞는다’고 주장하는 일단의 무리가 등장하곤 했다. 이른바 돈의 종말론이다.
<돈의 종말론 : 경제적 천동설>


반면 돈의 영토 안에서 국가는 가장 확실한 돈줄을 쥐고 있다. 정부 조직 가운데 법원에서 압수수색 영장을 발부받아 뒤질 수 있는 권한을 쥔 곳은 검찰과 국세청, 관세청 등 몇 안 된다. 또 세금이란 빚은 개인이 파산을 인정받고 면책받는다 하더라도 갚아야 한다. 이런 세금 덕분에 정부는 영토 안에서 ‘가장 믿을 만한 존재’이다.
<세금의 오묘함>


경제학 교과서에서 금속화폐는 인간들이 물물교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한 대안이다. 이런 가설은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가 제시한 것이다. 그러나 역사적으로 보면 금속화폐는 물물교환의 문제점이 아니라 돈의 영토 내 갈등이 낳은 산물이다. 미첼 교수는“주화(coin)가 발명된 지역을 보면 진실이 드러난다”고 말했다.
<평화, 또 하나의 조건>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