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에세이
· ISBN : 9791185992907
· 쪽수 : 252쪽
· 출판일 : 2018-11-20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_ 우아한 선생님
추천의 글_ 목소리 잃은 인어공주의 마음 (강우미_광주큰별초등학교 교사)
01 Letter 잔소리쟁이 선생님께
01 선생님의 잔소리를 들어볼까요?
02 교사의 상상은 현실이 됩니다
02 Letter 새 학기가 시작되었습니다
01 선생님이 방금 뭐라고 했니?: 주의 집중하기
02 지금이 몇시야?: 시간 지키기
03 셋 셀 때까지 써. 하나 둘 셋!: 공책 정리하기
04 뭐라고? 잘 안 들려: 발표하기
05 꼭 선생님이 볼 때만 정리하니?: 정리정돈 및 1인1역하기
03 Letter 멈출 수 없는 잔소리 행진
01 다 같이 해, 무임승차는 안 돼!: 모둠 활동하기
02 친한 친구랑 같은 모둠은 안 돼!: 또래 집단 이루기
03 이것도 먹어봐! 저것도 먹어보고!: 좋은 식습관 갖기
04 모두 다 가져 왔지? 숙제와 안내장 점검하기
04 Letter 이 잔소리만은 안 하고 싶습니다
01 왜 너밖에 모르니?: 역지사지하기
02 질 때도 있지!: 승부욕 다스리기
03 하루도 조용한 날이 없어!: 싸움 말리기
04 친구 괴롭히면 안 돼!: 따돌림 없애기
05 Letter 잔소리 없는 1년을 위해
01 집단토의가 뭐예요?
02 집단토의는 어떻게 할까요?
03 집단토의에는 어떤 기술이 필요할까요?
04 집단토의를 해봐요
에필로그
참고문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아들러 심리학은 인간 행동의 목표가 단 두 가지라고 보았습니다. 자립할 것 그리고 조화를 이루며 살아갈 것. 여기서 교육은 학생들이 자립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으로 강제적인 ‘개입’이어서는 안 됩니다.
아들러 심리학이 전하는 내용은 쉽고 명쾌합니다. 전문 용어도 별로 없습니다. 마법 같은 해결책이나 이상적인 말도 없기에 너무나 뻔한 이야기처럼 느껴지기도 합니다. 하지만 그 속을 조금만 파고 들어가면 무척 어렵게 다가옵니다. 몸소 이해하고 실천해보기란 간단한 일이 아닙니다. 저는 일단 잔소리 안 하기, 또는 우아하게 잔소리하기라는 소박한 목표를 세워보았습니다. 이 여정에 선생님을 초대합니다. 세상의 수많은 민주적인 선생님, 격려하는 선생님, 존중하는 선생님, 경청하는 선생님을 응원합니다.
마음속에 ‘저 아이는 매일 문제만 일으키는 아이’라는 전제를 깔고 아이를 대하면 정말 그렇게 됩니다. 선생님이 잔소리를 하지 않으면 아이가 문제를 일으키고, 그 아이가 매일매일 문제를 일으키는 상황을 막으려면 잔소리를 매일매일 계속해야 하는 상황이 될 수밖에 없습니다. 선생님이 “문제행동은 절대 안 돼!”라고 하면 할수록 아이는 선생님으로부터 “너는 문제행동을 하는 나쁜 아이야”라는 암시를 계속 받는 셈이 됩니다. 그렇게 해서 아이는 ‘문제행동을 하는 나쁜 아이’라는 자아 이미지를 갖게 됩니다.
선생님의 상상은 현실이 됩니다. 지금 잘못을 하더라도 아이가 미래에 할 바람직한 행동에 더 주목해야 합니다. “지금 실수는 괜찮아, 앞으로 좋아질 테니까”하고 믿음과 존중을 표현해주면 아이도 선생님이 그린 이미지에 점점 가까워집니다.
칭찬하지 말라는 이야기를 처음 접했을 대는 참으로 충격적이었습니다. 칭찬을 통해 아이들이 동기유발되고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칭찬받기 위해 열심히 하는 모습을 보며 자라왔으니까요. 하지만 곰곰이 생각해보면 칭찬으로 부담스러웠던 기억이 많이 떠오를 것이에요. (…) 아이들이 배우는 것을 스스로 즐기게 된다면 칭찬이나 칭찬스티커는 필요없습니다. 칭찬은 배우거나 경험하는 즐거움을 오히려 빼앗아갑니다. 아이들의 문제풀이, 그림그리기, 놀이마저도 칭찬의 대상이 되는 순간 아이들은 그 평가에 갇혀 스스로의 느낌으로 표현하고 판단하는 능력을 잃어버리게 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