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대안교육
· ISBN : 9791186202524
· 쪽수 : 308쪽
· 출판일 : 2022-11-15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글
발도르프학교 담임 과정(1~8학년)
1. 수공예 수업 (패트리샤 리빙스턴)
발도르프학교에서 수공예 수업의 중요성
수공예 교사
유치원 수공예 활동
교과 과정: 1학년 / 2학년 / 3학년 / 4학년 / 5학년 / 6학년 / 7학년 / 8학년
2. 목공 수업 (데이비드 미첼)
발도르프학교에서 공예 수업의 의미
교과 과정: 4학년 / 5학년 / 6학년 / 7학년 / 8학년
3. 수공예의 치유 효과 (보니 리버)
4. 인간의 손에 바치는 찬사 (엘리자베스 아우어)
발도르프학교 상급 과정(9~12학년)
1. 실용 공예 (데이비드 미첼)
실용 공예와 청소년
교과 과정 _ 도자기 공예 / 찰흙 소조 / 바구니 짜기 / 마크라메 공예 / 실잣기, 염색, 직조 / 양재 /
배틱 염색 / 목공 / 스테인드글라스 / 상자 만들기와 책 제본 / 종이 만들기 / 금속 공예 /
구리 공예 / 대장간 작업 / 대장간 꾸리기 / 석조
2. 자연에서 추상적 사고로_공예 수업의 역할 (마이클 마틴)
3. 수공예와 실용 공예 되살리기 (앵거스 고든)
맺는 글
책속에서
교육의 과제는 의지가 느낌의 지배를 벗어나 사고의 지배를 받도록 이끄는 것이다.
우리는 아이들이 손으로 만드는 것을 좋아하고 즐기며, 능숙하게 손을 쓸 줄 아는 동시에 예술적 안목을 계속 키워 나가기를 바란다. 수공예는 편하고 재미있는 동시에 생산적이어야 한다. 결국 수공예는 강한 ‘의지 활동’이기 때문이다. 손을 움직여 작업하지 않았는데 무슨 작품이 나올 수 있겠는가! 자연 재료를 변형하는 과정에서 아이들 내면이 성장하고, 온전함에 대한 감각, 생명감각이 자란다. 수공예 수업은 다른 과목을 보충, 보완하면서 교육 활동 전체를 조화롭고 온전하게 만들어 준다.
성숙한 예술가의 공예 작품에는 사고, 감성, 의지 활동이 균형을 이룬다. 인간의 ‘의지’는 대부분 깊이 잠들어 있다. 발도르프학교의 수공예 수업은 아주 어린 나이부터 의지를 부드럽게 깨우고 교육한다. 의지를 일깨우는 것이 왜 중요할까? ‘의지’는 궁극적으로 사고와 연결된다. 모든 발도르프학교 교사의 진정한 과제는 아이들이 명확하면서 상상력이 풍부한 사고의 소유자로 성장하도록 돕는 것이다.
슈타이너는 수공예 활동이 판단력을 강화해 주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판단은 상상력에서 나와 심장의 힘을 통해 이루어진다. 머리만이 아니라 인간 존재 전체가 판단을 내리는 과정에 참여하는 것이다. 수공예 활동에 얼마나 다양한 감각이 쓰이는지 생각해 보자. 시각, 촉각, 운동감각, 균형감각 등 수많은 감각이 동원된다. 이 감각들을 통해 세상의 다양한 인상이 들어오고, 그 정보를 하나로 모아 판단을 내린다. 손을 통해 우리는 세상과 더 깊고 밀접한 관계를 맺게 되며, 그만큼 인류를 이해하는 눈 역시 깊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