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교양 심리학
· ISBN : 9791186256275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16-06-21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4
01│비밀을 털어놓으면 빨리 친해진다·자기노출과 호감 …12
02│‘듣기만 하는 사람’은 친구가 없다?·상호작용적 자기노출 …19
03│첫인상, 3초의 힘·후광 효과 …23
04│미남 미녀의 실수는, 이뻐!·실수 효과 …29
05│두 살배기도 인종차별을 한다·편견 효과 …34
06│생산성은 관심의 정도에 비례한다·호손 효과 …40
07│자의식은 거울을 보며 자란다·자의식과 거울 실험 …45
08│누군가 지켜보면 행동이 달라진다·피험자 편파 …51
09│미팅은 못생긴 친구랑 가라구?·대비 효과와 발산 효과 …56
10│부정적 특징일수록 더 강하게 전달된다·부정성 효과 …60
11│수학 선생님이 싫으면 수학도 싫은 심리·감정전이 …63
12│튀는 고기가 먼저 도마에 오른다·현저성 효과 …68
13│모일수록 게을러지는 사람들·사회적 태만 실험 …72 태만 실험 72
14│모일수록 힘이 나는 사람들·사회적 촉진 실험 …77
15│왜 승객이 택시기사 편을 들게 될까·내집단과 외집단 …84
16│목격자의 증언은 얼마나 믿을 수 있는가·목격자 증언 실험 …88
17│예비군복을 입으면 사람이 달라진다?·몰개성화 …93
18│별명에 따라 행동도 달라진다·낙인 효과 …98
19│‘경쟁’의 심리학·경쟁과 갈등 …102
20│내기에 진 사람이 큐대를 놓지 않는 심리·좌절 효과 …107
21│죽음에 이르는 병, 절망·학습된 무기력 …111
22│작은 부탁이 통하면 큰 부탁도 통한다·문간에 발 들여놓기 …116
23│큰 요구를 먼저 하면 작은 요구는 들어준다·면전에서 문 닫기 …121
24│심리적인 예방주사도 필요하다·면역 효과 …128
25│나 지금부터 광고한다·사전경고와 설득 효과 …133
26│무의식이 나를 조종한다·스트루프 효과 …137
27│이번 카드는 틀림없이 스페이드A일 거야·공정세상관 실험 …142
28│족집게 점술가의 비밀·바넘 효과 …147
29│약속은 공개될수록 지켜진다·떠벌림 효과 …152
30│“넌 할 수 있어”라고 말하면 할 수 있다·피그말리온 효과 …157
31│좋은 얘기도 한두 번·심리적 포만 …161
32│누구를 위해 회개하는가·고백 효과 …165
33│‘부당한 명령’에 따른 자는 무죄인가·응종 실험 …169
34│함께 결정할수록 극으로 치닫는다·극화 현상 …176
35│목격자가 많을수록 왜 신고는 늦어지는가·방관자 효과 …180
36│지나친 ‘본때’는 역효과만 가져온다·잔물결 효과 …187
37│우리가 유행을 따르는 이유·동조 실험 …190
38│사람과 사람이 모여 사는 이유·군집 실험 …197
39│부드러운 처벌이 더 위력적이다·위협의 효과 …202
40│샐러리맨의 생명은 샐러리·크레스피 효과 …205
41│행동으로 거짓말을 읽어낼 수 있을까·거짓말 탐지 실험 …208
42│죄수의 딜레마 게임·합영갈등과 비합영갈등 …214
43│이럴 때 사람은 공격행동을 한다·욕구좌절과 분노 …220
44│소음은 사람을 어떻게 변화시킬까·소음과 도움행동 …226
45│아무리 시끄러워도 내 이름은 들린다·칵테일 파티 효과 …232
46│원수도 함께 지내면 친구가 된다·균형 이론과 관계의 원리 …236
47│좁은 공간은 속도 좁게 해·고립 효과 …243
48│한 번 체한 음식을 쳐다보기도 싫은 이유·가르시아 효과 …248
49│‘상표충성도’가 생기는 심리학적 과정·인지부조화 …252
50│혀끝에서만 맴도는 말·설단 현상 …256
51│멍때리는 시간의 힘·회상 효과 …260
찾아보기 …263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어떤 사람하고는 말이 필요 없이 친해지기도 하고, 어떤 사람하고는 친해지고 싶어도 맘처럼 되지 않는다. 또 어떤 경우에는 나와 코드가 딱 맞는 것 같은데, 어떤 부분에서는 전혀 맞지 않는다. 단순 노출 효과에 따라서 “자주 만나면 친해질 수 있을까?” 동조 댄스 이론에 따라 “상대방의 행동을 무의식적으로 따라 하면 좋아질까?” 아니면 “상대방에게 내 마음을 툭 털어놓으면 가까워질까?” 도대체 감을 잡기 어렵다. 그렇다면 사람을 움직이는 데는 어떤 원리가 작용하고 있는 것일까? 이 질문의 해답을 심리학에서는 어떻게 말하고 있을까? -들어가며,
인간관계는 내가 나에 대해 드러내놓는 만큼 상대방도 자신을 드러내놓아야 발전한다. 상대방이 개인적인 이야기를 하면 사람들은 대개 그에 맞는 수준의 개방을 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렇지 않으면 친밀한 관계가 이루어지기 힘들다. ‘자기노출’에도 상호성이라는 일종의 룰이 존재한다. 상대방이 나에게 자신을 노출시키면 나도 상대방에게 비슷한 수준으로 자기개방을 해야 한다는 심리적 압력을 받게 된다. 이러한 과정이 잘 이루어져야 서로 더 친해질 수 있는 것이다.
-본문 20p,「‘듣기만 하는 사람’은 친구가 없다?_ 상호작용적 자기노출」에서
우리는 혼자 너무 잘나 시기하는 적을 많이 만들어 실패한 정치인, 시시콜콜한 것까지 완벽하게 관리하려다 실패한 기업인들을 종종 본다. 지나치게 모든 것을 다 알고 지배하려는 사람들은 어딘지 모르게 인간미가 없어 보인다. 좋은 인상을 원하고, 자신이 잘났다고 생각하면(이 점이 중요하다!) 때로는 의도적으로라도 작은 실수를 해보는 것은 어떨까?
-본문 32p,「미남 미녀의 실수는, 이뻐!_ 실수 효과」 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