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생산/품질/물류관리
· ISBN : 9791186331293
· 쪽수 : 190쪽
· 출판일 : 2017-11-13
목차
제1장 중국 중관촌 사이언스 파크 발전과 경쟁우위
제1절 중국 중관촌 사이언스 파크 / 1
제2절 혁신클러스터와 연구 분석모형 / 4
1. 지역입지 조건과 클러스터개념 / 4
2. 혁신클러스터와 혁신체계 / 7
3. 분석모형 / 11
제3절 중관촌 첨단과학기술산업단지의 전개과정 / 15
1. 첨단과학기술산업단지 성장의 역사적 과정 / 15
2. 북경시 경제와 중관촌 사이언스 파크 / 19
제4절 중관촌의 지리적 범위와 산업 / 20
1. 중관촌의 지리적 범위 / 20
2. 중관촌의 산업업종구성 / 23
제5절 정부의 역할: 중관촌 관리위원회 / 25
제6절 중관촌의 지역경쟁우위와 제약요소 / 28
1. 지리적 입지와 경쟁우위 / 28
2. 중관촌지역의 제약요소 / 33
3. 중관촌지역의 경쟁력에 관한 종합 분석 / 35
제7절 중관촌 사이언스 파크의 성공과 방향 / 39
참고문헌 / 41
제2장 글로벌 생산체계에서 중국 동관지역의 역할 과 IT?전자산업 산업클러스터의 발전
제1절 광동성 동관지역 산업클러스터 / 45
제2절 이론적 분석틀: 글로벌 생산네트워크와 제도적 역량 / 48
1. 글로벌 생산네트워크와 산업클러스터의 제도적 역량 / 48
2. 동관지역 사례 / 54
제3절 동관 IT·전자산업클러스터의 사례 분석 / 58
1. 동관의 발전 방식: 사회경제적 성격 / 58
2. IT·전자 산업클러스터의 성장요인과 경쟁력 / 64
제4절 산업의 진화와 글로벌 생산네트워크 / 69
참고문헌 / 72
제3장 중국 소주공업원구 발전의 경로의존 유형
제1절 중국 소주공업원구(蘇州工業園區) 발전 / 75
제2절 소남모델의 변화와 신산업지구: 이론적 배경 / 80
1. 지역과 산업, 기업의 경로 의존적 변천 / 80
2. 소남모델의 변화와 소주시 사례 / 86
제3절 정부의 정책과 소주공업원구의 진화유형 / 90
1. 소주공업원구의 정책과 개발 / 90
2. 소주공업원구의 발전단계 / 95
제4절 소주공업원구와 지역혁신체계 / 100
1. 기업가적 정부역할의 전환 / 100
2. 소주시의 지역산업과 지역혁신체계의 유형 / 102
제5절 소남모델과 소주공업원구 / 105
참고문헌 / 108
제4장 대만 신죽과학공업단지의 발전 역사
제1절 대만 신죽과학공업단지의 개요 / 113
제2절 대만 신죽과학공업단지의 형성과정 / 115
제3절 대만 신죽과학공업단지의 형성?발전요인 / 119
제4절 대만 신죽과학공업단지의 현황 / 123
1. 대만 신죽과학공업단지의 현황 / 123
2. 대만신죽과학공업단지의 입지조건 / 126
제5절 대만 신죽과학공업단지의 시장 및 기술적 특성 / 128
1. 대만 신죽과학공업단지의 시장 특성 / 128
2. 신기술 기업의 서식지 / 131
제6절 대만 신죽과학공업단지 벤처기업과 지역경제와의 관계 / 134
1. 대만 신죽과학공업단지의 역할 / 134
2. 신죽과학공업단지 벤처기업과 지역경제와의 관계 / 136
제7절 대만 신죽과학공업단지의 연구계 및 학계와 벤처지원 / 139
1. 대만 신죽과학공업단지의 연구계 및 학계 / 139
2. 신죽과학공업단지의 벤처지원 / 144
3. 세계 혁신클러스터와 신죽과학공업단지의 장단점 비교 / 147
참고문헌 / 150
제5장 제도적 협력을 위한 지역네트워크 플랫폼 구축
제1절 대덕연구개발특구와 네트워크 플랫폼 / 153
제2절 지역혁신네트워크의 구축 / 157
1. 네트워크의 개념과 이론 / 157
2. 지역혁신네트워크 플랫폼 구축 / 159
제3절 지역혁신네트워크체계 사례분석: 대덕연구개발특구 / 164
1. 대덕연구개발특구의 제도적 환경 / 164
2. 네트워크플랫폼체계의 형성 / 170
제4절 지역혁신네트워크 정책 / 172
1. 지역혁신네트워크 정책 / 172
2. 지역혁신네트워크 증진을 위한 핵심과정 / 176
제5절 지역네트워크 증진방안 / 179
참고문헌 / 1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