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한국전쟁 이후~현재
· ISBN : 9791186351536
· 쪽수 : 247쪽
· 출판일 : 2022-11-10
책 소개
목차
「가고파」에서 「새길론」까지 9
1. 「가고파」를 사랑하는 마산시민 15
마산 시내에 있는 「가고파」 시비를 찾아서 17
신중현과 베토벤은 음악만 할 줄 알았던 게 아니다 25
시의 거리에서 맑은 영혼을 담은 시를 만나고 싶다 27
2. 한국청년운동협의회 활동과 가고파시비보존결의대회 31
1962년, 첫 번째 휴전선 종주를 다녀와서 31
청우회 중앙본부 제2대~10대 회장으로 17년간 활동 35
반탁, 반공투쟁으로 8개 청년단체들이 모인 대한청년단 40
1963년, 10년 만에 청우회로 부활 44
「가고파」 시비 보존 결의대회의 후원단체인 건국회 46
3. 해방 직후 광양건준 부위원장, 호남신문 사장 49
이은상, 광양건국준비위원회 부위원장으로 추대 49
전남건국준비위원회 최흥종 위원장, 전남인민위원회 박준규 위원장 52
미군정으로부터 호남신문 관리권을 받은 사장 박준규, 부사장 이은상 56
이은상 사장 취임 이후 친미 성향으로 돌아선 호남신문 59
4. 한독당 전남도당 위원장, 여순사건 김지회 신원보증 63
김구의 건국실천원양성소에 강사로 참여 64
여순사건과 한독당 계열의 오동기, 송욱, 이은상 66
여순사건 신원보증문제로 물러난 이은상의 서울, 부산 생활 71
6·25전쟁이 끝난 후 호남신문의 재건을 위해 노력 74
국립 전남대학교 후원재단 이사장으로 활동 77
5. 이승만 단독정부 반대, 민주공화당 입당 거절한 운암 81
바위처럼 서 있는 운암 김성숙을 존경하는 노산 81
운암을 향한 추모시, 추도사와 묘비문, 묘비명도 작성한 노산 86
운암은 민주공화당 입당을 거절, 노산은 창당선언문을 작성 88
지조보다 중요한 노산의 ‘새길론’과 강력한 ‘지도자론’ 91
6. 이승만 대통령 후보 지지와 4·19학생혁명기념탑 비문 93
이순신 같은 분이라고 이승만 대통령 후보 지지 유세 94
조지훈의 지조론과 천관우의 노산에 대한 실망 98
4·19정신을 계승했다는 박정희 장군에 의해 기념탑 건립 103
피 끓는 젊은이를 노래한 노산의 「학생의 노래」 106
이승만 대통령의 장례식에서 노산이 쓴 조사를 대독 108
7. 이승만 대통령, 김구 주석과 노산 이은상 111
시조 「목이 그만 멘다」와 헌수송 「송가(頌歌)」 113
계속 대통령 하려고 사사오입 개헌한 이승만을 찬양 117
백범 조가(弔歌) 1949년, 백범 추모시조 1950년 119
3·15를 불상사라고 한 노산 121
8. 「피어린 六百里」, 1962년 첫 번째 휴전선 종주 125
휴전선이 국경선으로 굳어져 가는 600리 128
휴전선을 다녀온 후 청년운동에 앞장서다 134
노산이 생각하는 분단의 원인과 분단극복 방안 136
9. 『기원』, 1980년 두 번째 휴전선 종주 143
평화를 위하여 죽을 때까지 반공청년운동에 매진 145
굳어져 가는 휴전선을 찾은 두 번째 종주 146
이승만 시절 평화통일은 위험한 용공사상 147
평화통일을 말할 수 없던 시절의 북진통일 149
10. 박정희 대통령과 함께 현충사를 성역화 153
노산은 충무공기념사업회 1955~61년, 1972~82년 회장 153
현충사는 성역화, 탄신일은 국가기념일 157
박정희 역사관은 식민사관에서 이순신의 신격화로 161
박정희 대통령은 세종대왕과 이순신을 합해놓은 인물 166
11. 신사임당을 존경하는 박정희와 이은상 169
사임당과 율곡의 영정은 이당 김은호가 그렸다 170
10만 양병설을 주장한 율곡의 어머니, 신사임당 171
무려 6판을 거듭한 『사임당과 율곡』 173
12. 영남대학교 설립은 이은상과 이후락의 작품 177
무리한 시설투자로 경영난에 봉착한 청구대학 177
조윤제는 학교문제를 정치권력에게 가져갔다고 힐책 179
같은 날, 각 이사회가 합병을 결의하고, 합동이사회 열어 최종 의결 181
영남대 교가는 이은상과 김동진의 작품 185
13. 대통령의 입각 권유를 거부한 사람들 189
3선 개헌을 앞둔 1968년, 국민교육헌장 제정 작업에도 참여 189
입각 권유를 거부한 게 유신시대에 저항(?) 194
앞장서서 유신과 유신정권을 찬양한 노산과 문인들 196
1인 독재시대에 위험을 무릅쓰고 어둠을 밝힌 문인들 198
한글전용정책 수립과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활동 200
14. 비통한 심정으로 쓴 박정희 대통령 묘비문 205
비통함과 존경을 담은 박정희 대통령 비문과 조가 205
30년 친구 박정희를 위한 시인 구상의 진혼시 209
똑같이 충무공을 존경하는 박정희와 이은상 212
자유민주주의를 위한 민주공화당 창당선언문 초안 작성 215
노산이 선택한 언론, 교육, 문화 국민운동 218
15. 전두환의 대통령 당선을 축하한 노산 223
쿠데타로 권력을 장악한 전두환의 대통령 당선을 경하하였다 223
이선근, 조병화, 서정주, 김춘수, 이병주, 천금성 225
불과 1년 5개월이었던 국정자문회의 위원 229
16. 1947년 대도론과 1961년 새길론 235
노산이 노래하지 않은 강과 산이 없을 정도 235
노산은 『대도론』에서 좌우익의 폭력을 염려했다 238
친일과 항일을 구별하지 말자는 노산의 『새길론』 240
나라를 구한 이순신 장군에게서 배웠다는 『새길론』 243
민주주의를 이야기하면서, 현실에서는 독재자를 옹호하는 이중성 245
저자소개
책속에서
노산의 시비를 돝섬 이외는 모두 둘러보고서 느낀 점은 정말 각계각층의 많은 사람들이 노산 특히 「가고파」를 사랑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물론 2개를 제외하고 모두 노산이 돌아가신 후에 세워진 것이다. 만약 노산이 이렇게 많은 시비가 세워져 있다는 걸 아신다면 뭐라고 말씀하실까? 분명 고마워하면서 미안하다고 하실 것 같다. 마산 시민들이 자신에게 과분한 사랑을 준다시며 불의에 저항한 3·15를 불상사라고 한 것을 이해해달라고 하실 것 같다.
(시의 거리에서 맑은 영혼을 담은 시를 만나고 싶다)
청우회는 박정희 정권의 반공정책을 지지하는 민간단체로 박정희 정권에 반대하는 시위가 있을 때마다 정권을 지지하는 시위를 벌였다. 노산은 제2~10대 회장을 연임하면서 1965년부터 1983년까지 17년간 활동하였다. 역대 16명의 회장 중에서 가장 오래 활동하였다. 1975년에는 단체 명칭을 한국청년운동협의회로 바꾸었으며 제1회 반공청년운동 순국자 합동추념제를 시작했다. 이후 건국청년운동협의회(1987년), 대한민국건국회(1995년)와 대한민국통일건국회(2017년)로 이름을 바꾸었다.
(1963년, 10년 만에 청우회로 부활)
광양자치위원회 구성을 협의하고, 위원장 김완근, 부위원장 이은상, 정진무를 선출했다. 노산은 이 모임에 참석하지 않았다. 임원 세 사람이 승낙을 받기 위해 노산의 집을 방문하였더니 상임위원 24명 중에서 친일파 몇 명을 교체하자는 등의 수정 제안 몇 가지를 한 뒤 쾌히 승낙하였다고 한다. 노산은 비록 지역민은 아니지만 전국적인 명망가였기 때문에 부위원장으로 선출되었다.
(이은상, 광양건국준비위원회 부위원장으로 추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