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세계문학론 > 중국문학론
· ISBN : 9791186356142
· 쪽수 : 593쪽
· 출판일 : 2015-04-30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제1장 서론
1. 연구 동기
2. 연구 방법
3. 소식 생애
제2장 문학예술관의 완성과정
1. 문예사상의 대일통大一統
1) 당송 시기의 대일통 추세
2) 황주 이전의 유가 중심 대일통 시기
3) 황주 이후의 불로 중심 대일통 시기
2. 문도文道 관념의 독창성
1) 청년 시기의 ‘문이진의文以盡意’ 단계
2) 장년 시기의 ‘우의어물寓意於物’ 단계
3) 노년 시기의 ‘기도양진技道兩進’ 단계
3. 문예 효용가치의 영역확대
1) ‘도통어예道通於藝’-학술적, 예술적 효용
2) ‘유위이작有爲而作’-사회적, 개인적 효용
제3장 작가수양이론의 구체화과정
1. 독서 학습-‘박관약취博觀約取’를 ‘일의구지一意求之’로 구체화
2. 관찰 체험-‘흉유성죽胸有成竹’을 ‘이문목견耳聞目見’으로 구체화
3. 시련 극복-‘궁이후공窮而後工’을 ‘초연광달超然曠達’로 구체화
제4장 심미구상이론의 구현과정
1. 허정虛靜한 마음으로 세상을 마주하는 관조 단계
2. 정신이 만물과 교유交遊하는 상상 단계
3. 경물景物에 흥취가 일어나는 영감 단계
제5장 창작표현이론의 성숙과정
1. 청장년 시기의 창작이론-‘수물부형隨物賦形’
2. 중후년 시기의 창작이론-‘전신傳神’
3. 노년 시기의 창작이론-‘달의達意’
제6장 작품감상이론의 세 가지 안목
1. 자연미
1) 천공자연天工自然의 기교
2) 문동文同, 오도자吳道子, 도연명陶淵明
2. 함축미
1) 언외지의의 발현
2) 도연명陶淵明, 유종원柳元, 위응물韋應物, 두보杜甫
3. 물아일체
1) 물화物化의 경계
2) 문동文同, 도연명陶淵明
제7장 고려.조선에 미친 영향
1. 고려 시기(918~1391)
2. 조선 전기(1392~1567)
3. 조선 중기(1568~1724)
4. 조선 후기(1725~1910)
제8장 결론
참고문헌
[부록 1] 소식연보
[부록 2] <소식문집> 문장 창작연표
[부록 3] 소식 평생 행적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