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일본사 > 일본근현대사
· ISBN : 9791186356357
· 쪽수 : 323쪽
· 출판일 : 2015-09-03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서론
제1부 근대와 제국의식의 지조(知造)
제 1장 근대일본의 서구숭배와 ‘국수주의’의 발명
1. 세기의 전환점 메이지유신과 청일전쟁
2. 사상의 전형기(轉形期)적 특성과 ‘보수주의’ 계보
3. 서구화와 전통의 복합체로서의 천황
4. 사상의식의 서구화와 제국의식의 형성
5. 선택된 서구, 그리고 패턴적 일본의 서구화
6. 전쟁과 제국형성의 초석
제 2장 ‘윤리적 제국의식’의 내핵(內核)과 천황의 유착(流着)
1. 마쓰무라 가이세키(松村介石)와 도회(道會)의 등장
2. 마쓰무라 가이세키와 선행 연구
3. 마쓰무라 가이세키와 도회(道會)
4. 종교 내부의 종(宗)과 교(敎)의 경계
5. 국가에서 개인의 문제로, 그리고 천황으로
제 3장 종교의 ‘폭력’과 ‘탈종교’의 폭력
1. 오카와 슈메이의 ‘종교론’과 폭력성
2. 오카와 슈메이의 정신 편력과 도회(道會)
3. 종교의 재해석과 종교 ‘내부’의 문제
4. 도(道) 사상과 ‘천황’ 환원주의
제2부 제국의 완성과 전쟁으로의 길
제 4장 ‘국민국가론’ 그 ‘반복’과 ‘탈’반복의 재심
1. 양가적 국가주의 이론과 그 합체 용액물
2. ‘위기의식’과 신(新)유신론의 행방(行方)
3. ‘개인과 국가’ 그리고 ‘주체성’ 발견
4. ‘제도와 정신’의 합일(合一)이라는 ‘원리’의 발견
제 5장 두 개의 ‘제국의식’과 ‘그로테스크(Grotesque)’로서의 천황
1. 오카와 슈메이와 미노다 무네키의 논쟁
2. 오카와 슈메이의 ‘혼효 변증주의’ 원리
3. 미노다 무네키의 ‘일본 변증법’ 원리
4. 일본적 보편주의로서 본조(本朝)주의
5. 충군과 애국의 대립과 천황의 복원
제 6장 일본적 ‘중용’의 해석과 국체(國體) 개념의 비틀림
1. 제3의 종교와 ‘초월성’의 가능성
2. ‘종교’와 ‘유교’의 접목
3. 「대학」과 「중용」의 발견-이중적 시선의 자각
4. 「중용」과 보편적 ‘통합’ 개념의 발견
5. 「중용」과 ‘중용 이데올로기’의 사상화
제 7장 ‘유교’의 변형과 국체론으로서의 천황
1. ‘유교’ 변형론의 전개
2. 아베 요시오와 주자학 그리고 해석
3. 개인의 자아 형상화-야마자키 안사이(山崎闇?)
4. 국가의 발현화(發現化)-모토다 나가자네(元田永孚)
제 8장 ‘일본’ 내부의 ‘포스트 동아시아론’
1. ‘아시아는 하나다’와 ‘일본정신의 부흥’ 논리
2. 아시아 개념과 오카쿠라 덴신
3. 오카와 슈메이의 아시아 부흥론
4. ‘일본의식 에토스’와 아시아
결론
참고문헌
색인